항목

  • 블라시오 Saint Blaise, ブラシウス
    블라시오가 주교가 된 지 2년 후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의 박해 중에 블라시오는 동굴에 숨어 지내며 은수자로 기도와 묵상에 전념했다. 316년 어느 날, 숨어...지경에 이른 자기 아들을 블라시오에게 데리고 갔다. 아이의 어머니의 눈물어린 호소를 들은 블라시오는 아이의 목에 손을 올려놓고 성호를 그어 소년의 목숨...
    도서 위키백과
  • 카를루스 필리프 시메느스 벨루 Carlos Filipe Ximenes Belo, カルロス..
    공로를 인정받아 조제 하무스 오르타와 함께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다. 네덜란드 주간지 더 흐루너 암스테르다머는 카를루스 벨루 주교가 1990년대 동티모르 수도 딜리에서 가난한 소년들을 성적으로 학대하고 그 대가로 돈을 건넸다고 2022년 9월 28일 보도했다. 이에 대해 교황청은 이튿날 성명을 내고 "당시 주교의...
    도서 위키백과
  • 알로이시오 슈월츠 Aloysius Schwartz
    같은 주교의 명의로 미국 워싱턴 DC 대교구의 성 마틴 성당에서 사제품을 받았고(1957년 6월 29일), 같은 해 겨울 선교지 한국에서 활동하기 위하여 부산교구에 입적하였다(1957.12.8) 소 알로이시오 신부는 루벵 가톨릭대학에서 당시 사회학을 공부하던 장 요셉 신부를 통해 전쟁 이후의 피폐한 한국의 상황을 듣게...
    도서 위키백과
  • 최양업 崔良業
    소년은 중국인 안내원을 따라 중국 대륙을 횡단, 이듬해 6월 7일 목적지인 마카오에 무사히 도착하였다. 마카오 주재 파리 외방전교회 극동 경리부 책임자 르그레즈와(Legregeois) 신부는 경리부 안에 임시로 조선신학교를 세워 조선인 신학생 3명을 교육하기로 결정하였다. 이에 따라 르그레즈와 신부 책임 하에...
  • 샤스탕 Chastan, Jacques Honore
    山東) 교우들을 돌보았다. 그동안 함께 조선 입국을 시도하던 브뤼기에르 주교를 만주 땅에서 잃었고, 동료 신부인 모방신부가 1836년 1월에 먼저 조선 입국에...신부는, 유방제(劉方濟) 신부와 마카오로 유학가는 김대건(金大建) 등 세 소년의 신학생을 전송하던 조선 교우들을 만나, 함께 무사히 국경을 넘어 1837...
  • 구이도 3세 스폴레텐시스 Guy III of Spoleto, グイード・ダ・スポレート (イ..
    당시 서프랑크 왕국의 왕위를 요구하던 소년 단순왕 샤를 3세 생쁠와 893년 1월 28일 동맹을 맺었으나 샤를 3세 생쁠은 아직 소년이었으므로, 귀도는 서프랑크 왕국의 일부 주교들을 통해 샤를을 보호하게 하였다. 894년 아르눌프는 자신의 봉신이기도 한 베렝가리오 1세를 이탈리아 국왕으로 봉했고, 베렝가리오 1세는...
    도서 위키백과
  • 이레네오 Irenaeus
    Irenaeus(140?∼202?). 성인. 초기 교부. 리용(Lyons)의 주교. 생애에 대해 거의 알려진 바가 없으나 소년 때 폴리카르포(Polycarpus)를 따랐다는 사실로 보아 소아시아의 스미르나(Smyrna) 출신으로 추정된다. 로마에서 수학 후 리용의 장로가 되었으며 소아시아의 몬타니즘 신봉자들에게 관용책을 취할 것을 호소하기...
  • 모방 Maubant, Pierre Philibert
    이미 이 해에 김대건(金大建), 최양업(崔良業), 최방제(崔方濟) 등 세 소년을 뽑아 마카오의 경리부로 보냈다. 1837년 샤스탕(Chastan, 鄭) 신부를 맞아 그와...동안 1837년 말 조선교구 제2대 교구장 앵베르(Imbert, 范世亨) 주교가 입국하게 되어 조선교회는 이제 필요한 교회조직을 갖추게 되었다. 또 교세도 급속히...
  • 라므네 Lamennais, Hugo Felicite Robert de
    Lamennais, Hugo Felicite Robert de(1782~1854). 프랑스의 종교철학자, 주교. 소년 시절에 루소의 사상에서 영향을 받았다. 한때 무신론자가 되었으나 22세 때 교회로 복귀, 이후 가톨릭 사상가로 활동하였다. 울트라몬타니즘(ultramontanism)을 기조로 하는 일련의 저작을 발표(1808년), ‘유럽을 몰락으로 이끄는...
  • 김대건 金大建
    소년은 샤스탕 신부를 조선 국경까지 안내한 중국인 안내원들을 따라 요동(遼東)과 만주를 거쳐 중국대륙을 횡단한 끝에 1837년 6월 7일 목적지인 마카오에 무사히 도착하였다. 마카오 주재 파리 외방전교회 경리부장 르그레즈와(Legregois) 신부는 당시 페낭 신학교[파리 외방전교회 경영의 동양인 성직자양성소]의...
  • 위그 (베르망두아) Hugh of Vermandois (bishop)
    서자 상리스와 페로네의 백작 피핀 2세의 증손자였다. 소년 시절 그는 부제(Deacon)에 임명되었다. 그가 부제에 임명된 시점은 알려져 있지 않다. 위그의 아버지...후계자로 승인할 것을 약속받았다. 그러나 위그의 랭스 대주교 임명을 반대하는 이들이 있었다. 925년 주교가 되어 당시 주교 중에는 최연소자였다. 925년...
    도서 위키백과
  • 조선교구 朝鮮敎區, Vicariatus Apostolicus Coreae
    업적은 1836년 말에 3명의 조선인 소년 최양업(崔良業), 최방제(崔方濟), 김대건(金大建)을 선발하여 마카오의 신학교에 보낸 일이다. 샤스탕(Chastan, 鄭) 신부...집행하였다. 1838년에는 2대 교구장 앵베르(Imbert, 范世亭) 주교가 입국하여 당시 9천여 명에 달한 조선신자들을 사목하였다. 한편, 그는 사제직에 적합...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현재페이지5 6 7 8 9 10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