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단오 수릿날
    그런 까닭에 남쪽이 추석을 중요하게 여길 때 북쪽에서는 단오를 더 중시했다. 오늘날도 단오를 쇠는 곳이 더러 있어 해서지방에서는 봉산탈춤·강령탈춤·은율탈춤 등 탈놀이를 하기도 하며, 지금도 강릉지방에서는 남대천의 넓은 공터에서 단오굿판이 전승되고 있으나 차츰 사라져가는 추세다. 무형유산 정책이 전문...
    분류 :
    명절, 비공휴일
    날짜 :
    음력 5월 5일
  • 김용익 金龍益
    내용 1907∼1979. 황해도 사리원에서 태어났다. 사리원보통학교를 졸업하고 이발사로 지내다가, 1954년 월남하여 1956년부터 김진옥(金辰玉)으로부터 「봉산탈춤」을 배워 취발이 · 먹중 · 거사 · 사자마부역의 춤을 추었다. 1970년 7월에 「봉산탈춤」의 먹중 예능보유자로 인정되었다. 후계자로는 최창주(崔昌柱...
    시대 :
    현대
    유형 :
    인물/근현대 인물
    분야 :
    예술·체육/연극
  • 강령군 康翎郡
    강령군 등암리에 있는 옛 성터로 길이는 6km, 밑 너비는 5m, 윗 너비는 1m, 높이는 3m이다. 도로에는 큰 성문이 있었다. 강령탈춤봉산탈춤과 함께 해서탈춤의 쌍벽을 이루는 가면극의 하나였다. 이 탈춤의 기원은 삼한시대라 하는데, 1920년 경에 점차 시들어져서 거의 자취를 감추었다가 광복 이후에 월남한 몇 사람...
    시대 :
    현대/대한민국
    유형 :
    지명
    분야 :
    지리/인문지리
  • 목중 먹중
    사자에게 혼나고 나서는 곧 회개하여 다시 절로 되돌아간다. 즉, 목중이 세속에서 인간적 체험을 하고 난 뒤 승려 본연의 자세로 되돌아간다는 이야기이다. 봉산탈춤의 경우, 목중은 저고리와 잠방이 위에 장삼과 더그레를 걸치고 방울을 무릎에 달았으며 버드나무가지를 허리에 꽂은 모습을 하고 있다. 그러나 양주...
    유형 :
    인물
    직업 :
    배역
    분야 :
    예술·체육/연극
  • 할미춤
    내용 탈놀이 춤사위의 하나. <봉산탈춤>이나 <고성오광대> 등의 탈놀이에서 할미역의 사위춤으로 추어지며, 북부·해서 지방의 춤과 중부·남부 지방의 춤으로 구분된다. 북부·해서 지방의 할미춤은 한 손에 부채를 들고 다른 한손에는 방울을 들며, 궁둥이를 좌우로 심하게 흔들어대면서 제자리에서 맴돌거나...
    성격 :
    탈춤사위
    유형 :
    작품
    분야 :
    예술·체육/무용
  • 송석하 석남(石南), 宋錫夏
    보존과 보급, 학술단체에의 기여 등 문화운동에 더욱 노력과 자질을 발휘한 사람이다. 조선일보사와 협력하여 전국의 농악놀이를 중앙에서 경연시켰고, 봉산탈춤을 7월 백중에 놀게 하는 한편, 방송국을 동원시켜 이를 전국에 실황을 중계하게 한다. 스웨덴의 동물학자 베르그만(Bergman)이 백두산으로 동물생태연구차...
    시대 :
    근대
    출생 :
    1904년
    사망 :
    1948년
    유형 :
    인물
    직업 :
    학자
    대표작 :
    한국민속고
    성별 :
    분야 :
    생활/민속·인류
  • 오명옥 吳明玉
    내용 경기도 과천 출신. 어려서부터 고향에서 경기해금 삼현육각(三絃六角)을 배웠다. 1930년대부터 서울에 올라와 악사로 있다가 1961년부터 「봉산탈춤」 악사로 참가하면서 박동신(朴東信)으로부터 황해도 해주삼현육각을 배웠다. 1971년 9월 13일 국가무형문화재(현, 국가무형유산) 「봉산탈춤」 피리, 해금 보유자...
    시대 :
    현대
    유형 :
    인물/근현대 인물
    분야 :
    예술·체육/연극
  • 양주 별산대놀이 楊州 別山臺놀이
    대한 풍자를 보여준다. 제4과장 ‘연잎과 눈끔적이’에서는 초월적 능력을 가진 고승 연잎과 눈끔적이가 나타나 파계승 옴중과 목중을 벌한다. 이 과장은 봉산탈춤의 사자의 출현과 견주어지나, 사자보다 훨씬 숭고하고 초월적인 모습을 지녔다는 점이 다르다. 제5과장 ‘팔목중놀이’는 염불놀이 · 침놀이 · 애사당북...
    유형 :
    작품
    분야 :
    예술·체육/연극
  • 사자놀이 獅子─
    나와 싸웠으며, 하회가면극(河回假面劇)에도 두 마리가 나와 싸웠다. 한국의 민속 가면극에는 사자놀음이 한 과장(科場)을 차지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봉산탈춤에서는 마부(사자몰이)가 채찍으로 사자를 때리면 사자는 성이 나서 날뛰기 시작한다. 마부가 겁이 나서 이리저리 쫓겨다니다가 나중에는 사자에게 잡혀...
    성격 :
    민속놀이
    유형 :
    놀이
    놀이시기 :
    정월 대보름날
    분야 :
    생활/민속·인류
  • 말뚝이
    봉산탈춤·강령탈춤·양주별산대놀이·송파산대놀이·동래들놀음·수영들놀음·고성오광대·통영오광대 등에서 양반의 종으로 등장해 자기가 모시고 다니는 양반을 풍자하는 역할을 한다. 북청사자놀음에서는 꼭쇠(꺽쇠)라 이름으로 등장하기도 한다. 다른 여러 배역보다 양반과의 갈등관계를 직접적으로 드러낸다. 때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무용
  • 동구(인천광역시) 東區(仁川廣域市)
    문화재로 지정된 강령탈춤이 전승되고 있다. 강령탈춤은 황해도 일대에서 행해지던 탈놀이 가운데 하나이다. 황해도의 탈춤은 내륙 평야지대인 황주, 서흥, 봉산 등지의 탈춤을 대표하는 봉산탈춤과 해주, 옹진, 강령 등 해안지대를 대표하는 강령탈춤(해주탈춤)으로 나뉜다. 강령탈춤은 대사의 내용에서 말뚝이와 양반...
    시대 :
    현대
    유형 :
    지명/행정지명ˑ마을
    분야 :
    지리/인문지리
  • 무용음악 舞踊音樂
    쓰이며, 살풀이는 살풀이(시나위)와 자진살풀이가 쓰인다. 이러한 민간예술춤은 삼현음악 반주로 되어 있다. (2) 탈춤의 반주음악 탈춤반주음악은 지역에 따라 다르다. 봉산탈춤 · 강령탈춤 · 은율탈춤과 같이 해서가면극(海西假面劇)의 반주음악은 삼현육각으로 긴염불 · 굿거리 · 허튼타령 · 당악장단 등을 연주...
    유형 :
    개념
    분야 :
    예술·체육/국악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현재페이지5 6 7 8 9 10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28건

봉산탈춤
봉산탈춤
봉산탈춤
봉산탈춤
봉산탈춤
봉산탈춤 양반춤
봉산탈춤 / 제7과장 미얄영감춤
봉산탈춤(목중과 사자)
봉산탈춤 제1과장 사상좌춤
봉산탈춤 제4과장 노장춤
봉산탈춤 제4과장 노장춤
봉산탈춤 제5과장 사자춤
봉산탈춤 제3과장 사당춤
봉산탈춤 / 제2과장 목중춤
봉산탈춤 / 까치걸음
봉산탈춤(鳳山─)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