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팔정도 Noble Eightfold Path, 八正道
    출세간으로 나눌 때, 12연기 달리 말하면, 성인의 선법 즉 성인이 수행하는 선법 또는 완전한 성인 즉 부처가 되게 하는 선법에 속한다. 정견은, 보다 넓은 뜻으로는, 5견(五見)을 멀리 떠난 상태를 말한다. 불교에서 인정하는 바른 세계관 또는 인생관 모두를 가리킨다. 즉 정견은 4성제와 연기법을 비롯한 모든 불교...
    도서 위키백과
  • 불교 용어 목록 (ㅎ)
    cw인(忍).cw세제일(世第一法)의 4단계로 이루어져 있다.sfn 세제일에 들어가는 것이다.sfn 달리 말하자면, 세제일의 번뇌만이 남게 된다. 이와 같이...行相) 전체를 직접적이고도 즉각적으로 통찰하는 상태, 즉 4제 16행상에 대한 무루 현관의 상태, 즉 견도에 의해 견소단(見所斷) 즉 견도소단(見道所斷)의 번뇌...
    도서 위키백과
  • 불교 용어 목록 (지)
    집이 원인이 되어 일어나는 소지장(所知障)이 2승(二乘)에게는 존재하므로, 이들의 무루지를 진무루지 즉 참된 무루지라고 할 수 없다고 본다.sfnsfn 진소유성(盡所有性)은 문자 그대로의 뜻은 '다함이 있는 성질 → 필멸하는 성질' 또는 '그 존재하는 바를 다하는 성질 → 필멸하는 성질'로, 줄여서 진소유(盡所有...
    도서 위키백과
  • 이도 (불교)
    소변(小便)의 2처(二處) 무간도(無間道).cw해탈도(解脫道) 유루도(有漏道).cw무루도(無漏道) 정도(正道).cw사도(邪道) 유루도(有漏道,무루도(無漏道,《문수사리...선정(禪定)의 5가지 바라밀은 유루도이고 반야바라밀(般若波羅蜜)은 무루도이다.sfnsfnsfn 2 서적 인용언어링크 서적 인용언어링크 서적 인용 불교 둘러보기
    도서 위키백과
  • 불교 용어 목록 (정)
    불교 용어로는 심불상응행 가운데 하나인 득이 있고, 무언가가 없던 것이 새로 생겨난다는 뜻의 불교 용어로는 역시 심불상응행 가운데 하나이자 유위4상...위법]에 대해서는 적용되는 용어가 아니다. 진리 즉 무위법은 비록 유위 무루의 수행력이 쌓여서 그것이 원인이 되어 획득 또는 성취[得]되는 결과이지는...
    도서 위키백과
  • 아라한 Arhat, 阿羅漢
    것이다. 무루의 지혜에 의해 번뇌를 소멸하고 깨달음의 열반의 경지에 이르는 길이 출세간의 길, 곧 성도이다. 설일체유부 아비달마에서는 이에 견도, 수도, 무학도의 세 길을 제시하고 있다. 여기서 무학도는 수도의 과정이라기보다 견도 수도에 의한 목적이다. 더 이상 배울 것이 없는 것이 무학이다. 견도의 견은 4제...
    도서 위키백과
  • 오근과 육근 六根
    또는 무루의 뿌리가 된다는 뜻에서 5선근(五善根) 또는 5무루근(五無漏根)이라고도 한다.sfnsfnsfn 5선근의 산스크리트어 원어는 다음과 같다.sfn 신근(信根) 믿음 진근(進根) 정진 염근(念根) 깨어있음, 주의력, 주시력, 위빠사나 정근(定根) 선정, 사마타 혜근(慧根) 지혜 안근이므로 5색근(五色根)이라고도 한다...
    도서 위키백과
  • 고 (불교) Duḥkha, 苦 (仏教)
    것[苦諦現觀] 또는 보지 않을 수 있는 것[苦智]을 뜻한다. 5온은 변하고 바뀌는 [變易法] 즉 유위법 전체를 의미하므로 궁극적으로 모든 유위법에 대해 이렇게...욕계 즉 고제현관(苦諦現觀) 불교 교의에 따르면, 유위법이지만 무루인 것, 즉, 출세간의 무루법인 4성제 이들과 이들에 따른 즐거움은 고제의 관찰 대상...
    도서 위키백과
  • 불교 용어 목록 (명)
    논서 《아비달마품류족론》 제3권에 따르면, 명촉(明觸)은 무루촉(無漏觸) 즉 무루의 촉(觸)의 마음작용이다. 즉, 출세간의 촉(觸)을 말한다.sfnsfn 묘 1. 묘(妙...는 추(麤) 즉 미(美)하고 묘(妙)하다는 것을 뜻하며, 또한 상지(上地)의 온갖 유루(有漏法)이 능히 위해(違害) 즉 거스름[違]이나 해로움[害]을...
    도서 위키백과
  • 이십이문
    한편, 이와 같이 여러 측면[門] 또는 범주[門]에서 어떤 또는 법체계를 분별하는 것을 전통적인 용어로 제문분별(諸門分別)이라 한다. 대승불교의 유식...cw무기(無記)의 3성(三性) 욕계(欲界).cw색계(色界).cw무색계(無色界)의 3계(三界) 유루(有漏).cw무루(無漏) 유심유사(有尋有伺).cw무심무사(無尋無伺) 유소연...
    도서 위키백과
  • 불교 용어 목록 (선)
    무루지(無漏智), 성혜(聖慧) 또는 무루성혜(無漏聖慧)라고도 하며, 간단히 무루(無漏)라고도 한다. 성질이 가진 자기만의 특성으로, 다른 법과 구별되게 하는 것...별도로 성질을 가진 자를 세우지 않는다. 따라서 어떤 성질[自性]이 곧 이라고 본다.sfnsfn 예를 들어, 영납성 즉 지각이 곧 수(受)라는 이며, 영납성...
    도서 위키백과
  • 구십팔수면
    cw무루 번뇌.cw잡염 근본번뇌.cw수면 3근본번뇌.cw6수면.cw7수면.cw10수면 설일체유부의 98근본번뇌 견혹: 설일체유부의 88근본번뇌 수혹: 설일체유부의 10근본번뇌 유식유가행파의 128근본번뇌 견혹: 유식유가행파의 112근본번뇌 수혹: 유식유가행파의 16근본번뇌 수번뇌 8전.cw10전.cw6번뇌구 유부무기와 불선 유부...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현재페이지5 6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