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영친왕 부처 관련 사진 英親王 夫妻 關聯 寫眞
    유물설명 20세기 초 촬영된 흑백 사진이다. 사진은 덕수궁 석조전에서 촬영한 4명의 남성 사진이다. 테라스 중앙에 남성 4명이서 중앙을 바라보며 서 있다. 양쪽 두 명의 남성은 정장차림이며 가운데 남성 두 명은 군복을 입고 있다. 사진은 전체적으로 갈색 빛을 띠며 사진 뒷부분 네 모서리에는 붙였다가 떼어낸 흔적...
    분류 :
    유물 > 기타
    크기 :
    세로: 8.2cm, 가로: 13.5cm
    재질 :
    종이에 인쇄
  • 영친왕 부처 관련 사진 英親王 夫妻 關聯 寫眞
    유물설명 20세기 초 촬영된 흑백 사진으로 덕수궁 석조전 테라스에 서 있는 남성을 찍은 사진이다. 사진 속 남성은 테라스 중앙에 홀로 서 있으며 긴 코트 안에 나비넥타이를 하고 있다. 사진은 전체적으로 갈색 빛을 띤다. 사진 뒷부분 네 모서리에는 붙였다가 떼어낸 흔적이 있다.
    분류 :
    유물 > 기타
    크기 :
    세로: 13.4cm, 가로: 8.1cm
    재질 :
    종이에 인쇄
  • 영친왕 부처 관련 사진 英親王 夫妻 關聯 寫眞
    유물설명 20세기 초의 흑백사진으로 풍경을 찍은 것이다. 사진의 왼쪽 상단은 덕수궁 석조전 모서리로 중화전 행각과 배재학당의 지붕이 함께 찍혔다. 사진의 뒷면에는 사진을 붙였다 떼어낸 흔적이 있다.
    분류 :
    유물 > 기타
    크기 :
    세로: 13.5㎝cm, 가로: 8.3㎝cm
    재질 :
    종이에 인쇄
  • 영친왕 부처 관련 사진
    유물설명 덕수궁 석조전 계단에서 영친왕 일행을 찍은 흑백사진이다. 사진에는 정장 차림을 한 두 명의 남성과 군복을 입은 세 명이 함께 찍혀 있다.
    분류 :
    유물 > 기타
    크기 :
    세로: 13.5cm, 가로: 8.4cm
    재질 :
    종이에 인쇄
  • 국립고궁박물관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国立古宮博物館
    일제에 의해 헐린 경복궁 전각들을 복원해나가기 시작했다. 그 과정에서 1992년 10월에는 4대 궁궐과 종묘, 능원 등에 흩어져 있던 궁중문화재를 모아 덕수궁 석조전에 궁중유물전시관을 개관하기도 했다. 하지만 덕수궁 석조전은 전시공간과 수장 공간이 턱없이 부족하고 규모조차 너무 작아 왕실문화를 홍보하고 연구...
    도서 위키백과
  • 영친왕 부처 관련 사진 英親王 夫妻 關聯 寫眞
    유물설명 20세기 초 촬영한 흑백 사진이다. 사진은 덕수궁석조전의 테라스에서 촬영한 사진이다. 정장을 입은 남성 둘과 군복을 입은 남성 1명이 테라스 중앙에 서 있으며 사진은 초점이 빗나가 흐릿하고 전체적으로 갈색 빛을 띤다. 사진 뒷부분 네 모서리에는 붙였다가 떼어낸 흔적이 있다.
    분류 :
    유물 > 기타
    크기 :
    세로: 18.3cm, 가로: 13.5cm
    재질 :
    종이에 인쇄
  • 박물관 博物館
    할 수 있다. 이어 1915년 12월 1일 경복궁(景福宮) 안에 조선총독부박물관이 세워졌다. 1938년 이왕가박물관(李王家博物館)이 덕수궁(德壽宮)으로 이전하면서 1933년부터 덕수궁 석조전에서 전시되기 시작한 일본 근대 미술전과 결합해 이왕가 미술관이라 불렀다. 1945년 9월 21일 이후 조선총독부박물관은 국립박물관이...
    분야 :
    문화·교육
    지역 :
    부산광역시
  • 덕혜옹주 Princess Deokhye, 徳恵翁主
    하였으나 결국 9월 정신장애인 조현병 진단을 받게 되었다. 같은 해 3월 27일 여자 가쿠슈인 본과를 졸업하였다. 파일:Imperial family of Korea 02.jpg|덕수궁 석조전에서(1918년) 파일:Princess Deokhye 04.jpg|일본으로 떠나기 전 모습(1925년) 파일:Princess Deokhye 02.jpg|양장을 착용한 모습(1925년) 파일...
    도서 위키백과
  • 창경궁 장서각
    앞에는 괴석(怪石)을 진열하였다. 1915년에는 명정전과 낙선재 사이에 4층 규모의 장서각을 지었다. 이 건물은 1938년에 이왕가박물관의 물품들이 덕수궁 석조전 서편에 새로 지은 이왕가미술관(李王家美術館)으로 옮길 때 장서각의 기능을 기존 이왕가박물관 건물로 넘겨주고, 표본실로 사용되었다.昌慶苑에大文化殿堂...
    도서 위키백과
  • 근대시설의 수용
    1898년에는 덕수궁 안에 전화가 최초로 가설되었다. 전신이 가설된 해에는 갑신정변으로 중단된 우정국이 재개되어 만국우편연합에 가입하기도 했다. 근대 교통시설의 대명사라 할 수 있는 철도는 1899년 미국과의 합작으로 경인선을 부설하였고, 일본과 합작하여 경부선, 경의선을 부설하기도 했다. 하지만 러일전쟁 중...
    시대 :
    19세기 후반
  • 포치 Porch
    차를 세워 바로 입구로 향하게 하거나, 비바람을 피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Bank of Korea 20070103.jpg|한국은행 구본관 입구의 포치 Seokjo jeon.JPG|덕수궁 석조전의 포치 Tripurantakesvara Temple at Balligavi.jpg|인도 만다파의 포치 Aurangabad - Ajanta Caves (57).JPG|인도 아잔타 석굴의 포치 형태 입구 처마...
    도서 위키백과
  • 국립현대미술관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
    소장품은 0점이었다.뉴스 인용 1969년 개관 당시 제18회 대한민국미술전람회 (국전)을, 1972년 '한국근대미술 60년전'을 개최하였으며, 1973년 7월 5일 덕수궁 석조전으로 청사를 이전 개관하였다. 1986년 8월 25일에는 경기도 과천시 청계산 부지에 과천관이 신설 개관하였으며, 백남준의 〈다다익선〉이 공개됨과 동시...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현재페이지5 6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37건

덕수궁 석조전
덕수궁 석조전
덕수궁 석조전
덕수궁 석조전
덕수궁 석조전
덕수궁 석조전
덕수궁 석조전
덕수궁 석조전
덕수궁 석조전
덕수궁 석조전
덕수궁 석조전
덕수궁 석조전
덕수궁 석조전
덕수궁 석조전
덕수궁 석조전
덕수궁 석조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