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이스라엘 건국과 중동전쟁이스라엘도 동맹을 맺고 이집트 시나이 반도를 침공했다. 이스라엘 군은 시나이 반도를 침공해, 이집트 군을 격파하고 수에즈 운하를 점령했다. 하지만 이 전쟁이 자칫 세계대전으로 번질 위험이 있어 미국과 소련이 압력을 가했고 유엔이 중재해 삼국 군대가 철수하면서 끝났다. 그 뒤 이스라엘은 미국이 주요 무기의...
-
하우크비츠 크리스티안 아우구스틴 하인리히 쿠르트 그라프 폰 하우크비츠, Christian..분할에 관해 러시아와 협상을 벌였다. 혁명 프랑스와의 전쟁에 반대하면서 그는 별도의 바젤 평화조약(1795)을 체결했다. 이 조약으로 프로이센은 제1차 대(對) 프랑스 동맹전쟁에서 빠지게 되었다. 하우크비츠는 나폴레옹이 위협해올 위험성을 깨닫고 1799년 제2차 대 프랑스 동맹전쟁에 프로이센을 가담시키기를...
- 출생 :
- 1752. 6. 11, 슐레지엔 포이케바이욀스(지금의 폴란드에 있음)
- 사망 :
- 1832. 2. 9, 베네치아
- 국적 :
- 독일
-
-
웰링턴과 나폴레옹 전쟁비토리아에서 거둔 승리에 고무받은 유럽 각국은 나폴레옹에 대항하는 대(對)프랑스 동맹을 형성했으며, 프랑스의 술트가 피레네 산맥에서 초기에 거둔 성과도...하나씩 돌파했고 1814년 4월 10일 툴루즈로 진격해 마침내 이베리아 반도 전쟁을 끝냈다(그보다 4일 전에 나폴레옹은 퇴위했음). 이미 후작작위를 받고 원수...
-
-
신라 29대 왕, 태종무열왕 신라 제29대 왕, 太宗武烈王고구려와의 동맹관계 수립에 실패한 후 당나라와의 관계강화를 위해 648년(진덕왕 2) 아들 문왕(文王)과 함께 당나라에 건너갔다. 당 태종은 신하를 보내 교외(郊外)에서 그들을 맞게 했으며, 자신이 지은 온탕비(溫湯碑)·진사비(晉祠碑)와 신찬(新撰)한 〈진서 晉書〉를 주는 등 후대했다. 김춘추는 백제 공격을 위한...
- 출생 :
- 604(진평왕 26)
- 사망 :
- 661(태종무열왕 8)
- 국적 :
- 신라, 한국
- 종교 :
- 불교
- 재위 :
- 654년∼661년
- 능묘 :
- 경주 무열왕릉(慶州 武烈王陵)
-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War of the Spanish Succession..레오폴트는 스페인의 영토를 부르봉 왕가와 합스부르크 왕가가 분할하는 데 합의했었다. 그러나 1689년 영국의 윌리엄 3세가 황제에게 프랑스에 대항하는 대동맹 전쟁에 참여할 것을 요청했을 때, 윌리엄 3세는 스페인 제국 전 영토에 대한 황제의 권리주장을 도울 것을 약속했다. 스페인의 왕위에 대한 새로운 경쟁자는...도서 위키백과
-
벌거숭이 군대로 얻은 미국의 독립, 조지 워싱턴 미국의 국부, George Washington대령의 딸 앤과 결혼했고, 장인에게 물려받은 땅에 마운트버넌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조지는 이곳에서 살면서 넓은 세계와 접했다. 성장해서는 대프랑스 전쟁과 대인디언 전쟁에 참전했으며, 고향으로 돌아온 이후에는 미망인 마사 댄드리지와 결혼하여 편안한 일상을 보냈다. 그가 정치 일선에 나선 것은 13주의 대표들...
- 출생 :
- 1732년
- 사망 :
- 1799년
- 국적 :
- 미국
-
말버러 John Churchill, 1st Duke of Marlborough루이 14세의 야심에 맞서 크고 작은 나라들이 참가하는 대동맹을 탄생시키고 이를 유지해 나가는 등 외교관으로서도 대단한 능력을 발휘했다(→ 대동맹 전쟁). 정치적 흥망 영국에서도 말버러는 정치적으로 중요한 인물이었으며 그로부터 지지를 얻는 일이 모든 대신들에게 필수적인 일이었다. 이 같은 영향력의 이면...
- 출생 :
- 1650. 5. 26, 잉글랜드 데번 애시
- 사망 :
- 1722. 6. 16, 런던 근처 윈저
- 국적 :
- 영국
-
진흥왕 眞興王결혼동맹을 파기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백제 성왕은 554년 대가야와 연합해 신라를 공격하다가 관산성(管山城 : 지금의 충청북도 옥천)전투에서 오히려 신주 군주 김무력에게 붙잡혀 죽음을 당해 백제군은 거의 전멸되었다. 신라의 한강유역 점령은 인적·물적 자원의 획득 외에도 황해를 통한 중국과의 교통로를...
- 시대 :
- 고대/삼국
- 출생 :
- 534년
- 사망 :
- 576년
- 유형 :
- 인물
- 직업 :
- 왕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고대사
-
태종무열왕 무열(武烈), 太宗武烈王고구려와의 동맹관계 수립에 실패하자, 다시 당나라와의 관계강화를 위해 648년(진덕여왕 2)에 당나라에 파견되어 적극적인 친당정책을 추진하였다. 이에 당 태종으로부터 백제공격을 위한 군사지원을 약속받았다. 김춘추에 의한 친당정책은 650년에 신라가 중고시대 전기간을 통해 계속 사용해오던 자주적인 연호를...
- 유형 :
- 인물/전통 인물
- 분야 :
- 역사/고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