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윤용선 尹容善
    회원들로부터 맹공격을 받아 탄핵 대상으로 지목되고, 체직(遞職) 처분을 받기도 하였다. 하지만 보수 내각이 재집권한 뒤 의정부 의정에 임명되고, 대광보국숭록대부(大匡輔國崇祿大夫) 작위를 받았다. 윤용선은 대한 제국이 선포된 후 주로 보수적 성향을 나타내던 정부의 요직에서 주요한 요직을 두루 역임하였다...
    분야 :
    역사
    지역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 하직의
    조현대부사순위 정용호군(精勇護軍)이 되었으며, 이후 충렬왕(忠烈王)으로부터 자금어대(紫金魚袋)를 하사받는 영예를 얻었다. 세상을 떠난 후, 대광보국숭록대부 문하부도첨의정승(大匡輔國崇祿大夫 門下部都僉議政丞)에 증직되었다. 아버지 : 하보(河保) 부인 : 진양 정씨(晉陽鄭氏, 정경부인) 아들 : 하즙(河楫) 손자...
    도서 위키백과
  • 대저동 평강 마을 진주 강씨 세거지 大渚洞 平江 마을 晋州 姜氏 世居地
    올랐고, 7세 강회백(姜淮伯)은 이조 판서, 예문관 대제학, 정당문학 겸 대사헌을 하였다. 8세 강석덕(姜碩德)은 대사성, 이조 참판, 개성부 유수, 대광보국숭록대부, 세자사를 지내면서 고려 시대 명문 집안을 자랑하였다. 조선 시대에 들어와 9세 강희맹(姜希孟)은 대학자로서 집현전 지제교 겸 경연사가되어...
    분야 :
    성씨·인물
    지역 :
    부산광역시 강서구
  • 정세호 (1486년)
    祖)의 아들이다. 본관은 하동으로 자는 자인(子仁), 호는 서계(西溪), 시호는 효간이다. 숭정대부 호조판서를 거쳐 판돈녕부사에 이르렀다. 사후 증직으로 대광보국숭록대부 의정부 영의정에 추서되었다. 1519년(중종 14)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고 의정부사인에 재직중, 홍우룡(洪遇龍)을 심문할 때 담당관인 사헌부...
    도서 위키백과
  • 신면 申㴐
    위급함을 알고 이를 진압하기 위해 나섰다가 패하고 죽임을 당했다. 증 숭록대부 좌찬성 겸 이조판서에 추증되었다가 후일 아들 신용개의 영귀로 증 대광보국숭록대부 의정부영의정에 가증되었다. 1438년 당시 집현전 학사인 신숙주(申叔舟)와 무송군부인 윤씨의 아들로 한성부에서 태어났다. 본관은 고령이고, 공조참의...
    도서 위키백과
  • 이란 (여말선초)
    완창대군(完昌大君) 이자흥(李子興)의 양자로 입적되었다. 따라서 이란은 태조 이성계의 당질(堂姪, 오촌조카)이 된다. 사후 아들 이사철의 출세로 증 대광보국숭록대부 의정부좌의정에 추증되었다가 다시 고종 때 가서 밀양군에 추봉되었다. 포은 정몽주, 삼봉 정도전의 문인이다. 영성군(永城君)에 추봉된 이천계(李天...
    도서 위키백과
  • 진주 강씨 晋州 姜氏
    姜淮伯)[1357~1402]은 이조 판서, 예문관 대제학, 정당문학 겸 대사헌을 했다. 8세 강석덕(姜碩德)[1395~1459]은 대사성, 이조 참판, 개성부 유수, 대광보국숭록대부, 세자사를 지내면서 고려 시대 명문 집안을 자랑했다. 조선 시대에 들어와서 9세 강희맹(姜希孟)[1424~1483]이 조선 전기의 대학자로서 집현전 지제교...
    분야 :
    성씨·인물
    지역 :
    부산광역시
  • 이순신 증직교지
    출처 필요이순신 증직교지는 1604년 7월 12일에 선조가 대광보국숭록대부의정부우의정겸경연사(大匡輔國崇祿大夫議政府右議政兼經筵事)에 증직되었던 이순신을 다시 효충장의적의협력선무공신대광보국숭록대부의정부좌의정겸영경연사덕풍부원군(效忠仗義迪毅協力宣武功臣大匡輔國崇祿大夫議政府左議政兼領經筵事德豊府...
    도서 위키백과
  • 김문근 金汶根, 金汶根
    딸이 철종의 왕비로 책봉되면서 보국숭록대부 영돈녕부사 영은부원군(永恩府院君)을 지내고 군권을 장악했으며, 철종이 죽기 직전에 죽어 사후 대광보국숭록대부 의정부영의정에 증직되었으며 충순의 시호가 추서되었다. 자는 노부(魯夫), 호는 사교재(四敎齋), 시호는 충순(忠純), 본관은 신 안동이다. 영안부원군 풍고...
    도서 위키백과
  • 목서흠
    임명되었으나 곧 사망하였다. 사후 의정부좌찬성에 추증되었으며, 충정(忠貞)의 시호가 내려졌다. 그 뒤 아들 목내선이 대광보국숭록대부의 품계에 올랐으므로 다시 증 대광보국숭록대부 영의정에 추증되었다. 증조부 : 목희안(睦希顔) 조부 : 목세칭(睦世枰) 조모 : 조격(趙激)의 딸 아버지 : 목첨(睦詹) 어머니 : 이보...
    도서 위키백과
  • 황군서
    황수신과 황치신의 할아버지이다. 고려때 판강릉대도호부사를 지냈고, 조선에 와서도 충주절제사와 선위사로 활동했다. 사후 서자 황희의 출세로 증 대광보국숭록대부 영의정부사에 추증되었다. 전라북도 남원부 출신이다. 신라 경순왕의 부마인 시중(侍中) 황경(黃瓊)의 후손으로, 할아버지는 황석부(黃石富)는 사후 증...
    도서 위키백과
  • 허교
    1630년 금천현감(衿川縣監), 1632년 포천 현감을 거쳐 양주진관 병마동첨절제사로 있을 때 사망했다. 아들 허목이 높은 관직에까지 올랐으므로 증 대광보국 숭록대부 의정부영의정겸 영경연홍문관 예문관 춘추관 관상감사에 추증되었다. 허목, 《기언》 권42, 포천현감 부군 묘지; 권43, 증 대광보국숭록대부 의정부...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현재페이지5 6 7 8 9 10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