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키르티무카 Kirtimukha
    그에게 "키르티무카"이라는 이름을 붙이고 항상 사원 문에 있어야한다고 선언했다. 따라서 키르티무카는 시바 자신의 상징이다. 키르티무카는 특히 인도 건축에서 사원의 꼭대기 또는 신의 형상을 극복하는 모티브로 자주 사용된다. 짐머가 쓴 바에 따르면, "키르티무카는 주로 아포트로피적인 악마 가면, 섬뜩하고...
    도서 위키백과
  • 팔라바 왕조 Pallava dynasty, パッラヴァ朝
    유명한데, 가장 좋은 예는 마말라푸람에 있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인 쇼르 사원이다. 칸치푸람은 팔라바 왕국의 수도의 역할을 했다. 그 왕조는 웅장한 조각들...일부 학자들은 고대 힌두 논문 마나사라가 영감을 주었다고 믿는 중세 인도 건축의 기초를 세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인용 그들은 궁극적으로 팔라바...
    도서 위키백과
  • 상인방 Lintel, まぐさ石
    호이살라 건축 전통은 인도 남부 데칸 고원 지역에서 정교하게 조각된 비구조적 석조 상인방을 많이 만들어냈다. 호이살라 제국 시대는 인도 칸나디가 문화의 예술과 건축이 발전하는 데 중요한 시기였다. 오늘날에는 주로 힌두 사원의 만다파, 상인방, 그리고 첸나케샤바 사원과 같은 다른 건축 요소들로 기억되고...
    도서 위키백과
  • 고푸람 Gopuram, ゴープラム
    고푸람은 보통 인도의 타밀나두주, 안드라프라데시주, 케랄라주, 카르나타카주 및 텔랑가나주의 드라비다 건축 양식으로 지어진 힌두교 사원에 있는 화려한 기념비적인 입구탑이다. 고대 및 초기 중세 사원은 작은 고푸람을 특징으로 하는 반면 후기 사원들은 드라비다 양식의 힌두교 사원 칼라삼이 얹혀있으며, 사원...
    도서 위키백과
  • 동남아시아의 미술 Southeast Asian arts
    힌두교 건축의 모방이 행해졌던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南)인도의 힌두교 청동소상(靑銅小像)도 이 고장에 박재(舶載)되었던 것으로 보이며 실론섬 각지에서 출토되고 있다. 12세기에 제2의 수도가 되었던 곳인 포론나르와에도 불교유적이 많고 불상이나 불전도(佛傳圖)·열반상(涅槃像) 등이 만들어졌으나 조형상...
    도서 위키백과
  • 서찰루키아 왕조 Western Chalukya Empire, 後期チャールキヤ朝
    왕조의 양식과 후기 호이살라 제국의 양식 사이의 건축적 연결고리인 과도기적 양식으로 알려진 건축 양식을 발달시켰다. 그것의 기념물들의 대부분은...칸나다어와 산스크리트어로 작가들을 격려했기 때문에 특히 문학에서 인도의 예술 발전에 중요한 시기였다. 서찰루키아 역사에 대한 지식은 왕들이 남긴 수많은...
    도서 위키백과
  • 라자라자 1세 Rajaraja I, ラージャラージャ1世
    인용A Journey through India's Past by Chandra Mauli Mani p.51sfn 라자라자 1세는 또한 그의 건축과 문화적 업적을 통해 중요한 족적을 남겼다. 그는 중세 인도 건축 양식의 가장 중요한 예 중 하나로 추앙받는 촐라 수도 탄자부르에 라자라제슈와람 사원의 건설을 의뢰했다. 게다가, 그의 재임 기간 동안, 아페르...
    도서 위키백과
  • 촐라 왕조 Chola dynasty, チョーラ朝
    사원 건축은 라자라라 1세와 그의 아들 라젠드라 1세의 정복 및 천재성으로 큰 자극을 받았다. 당시 모든 인도 사원 중 가장 크고 높은 규모를 지니며 인도 건축의 정점에 서 있다. 강가이콘다 촐라푸람에 있는 강가이콘다촐리스바람 사원은 라젠드라 1세가 전임자를 능가하기 위해 건설한 것이다. 탄자부르 사원이...
    도서 위키백과
  • 비자야나가라 제국 Vijayanagara Empire, ヴィジャヤナガル王国
    주었다. 비자야나가라 제국의 유산들 중에는 인도에 퍼져있는 많은 기념비가 포함되어 있으며 그중 가장 잘 알려진 것은 함피의 비이다. 인도 남부와 중부에서 다른 사원 건축 전통이 비자야나가라 양식으로 결합되었으며, 이 양식은 힌두 사원 건축건축 혁신에 영감을 주었다. 효율적인 행정 활발한 해외 무역은...
    도서 위키백과
  • 라슈트라쿠타 제국 Rashtrakuta Empire, ラーシュトラクータ朝
    p200 사원의 벽에는 라바나, 시바, 파르바티 등 힌두 신화에 나오는 경이로운 조각들이, 천장에는 그림들이 그려져 있다. 카일라나트 사원 프로젝트 라슈트라쿠타 지배가 데칸에서 인도로 확산된 이후 크리슈나 1세가 의뢰한 것이다. 사용된 건축 양식은 아담 하디에 따르면 카르나타 드라비다라는 건축 양식이다...
    도서 위키백과
  • 동강가 왕조 Eastern Ganga dynasty, 東ガンガ朝
    투입되었다. 동강가의 통화는 강가 파남(Ganga fanam)이라고 불렸으며, 인도의 촐라 및 동찰루키아의 화폐와 유사하였다. B. 마스타나야에 따르면 동강가 왕조...은 무칼링감 사원이 부바네스와르 사원보다 먼저 지어졌으며(부바네스와르에는 무칼링감보다 앞선 여러 사원이 있기 때문에 설명할 수 없음) 서기 4세기...
    도서 위키백과
  • 판디아 왕조 Pandya dynasty, パーンディヤ朝
    워낙 인도의 끄트머리에 자리하고 있었기에, 해상 교역로에서 필수적인 지정학적 위치를 점하는 이점을 누렸다. 상인들은 해로를 통하여 동남아시아로 향할 적에 판디아 지방을 반드시 거쳐갔고, 이로 힘입어 판디아 경제는 나날이 발전하였다. 판디아에서 가장 번창하던 산업은 진주 어장 산업으로, 항구도시 코카이...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현재페이지5 6 7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1건

남인도 사원건축 (South Indian temple architecture)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