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시장 평균 환율 제도시장 평균 환율 제도는 우리나라가 1990년 초부터 1997년 말까지 시행했던 환율 제도이다. 이 제도에서는 외국환 은행 간에 거래된 환율을 거래량으로 가중 평균하여 다음 영업일의 기준 환율을 정했다. 이 제도는 기준 환율이 외환 시장에서 외환의 수요와 공급에 의해 결정되도록 하지만 급격한 환율 변동을 막기 위해...
-
독자적 변동환율제도국제통화제도를 환율제도에 의해 분류하면, 고정환율제도, 통화위원회 제도, 관리변동환율제도, 독자적 변동환율 제도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초기 환율제도는 금본위제와 브레튼우즈 체제의 붕괴 이후 고정환율제도에서 변동환율제도로 바뀌었다. 현재 전 세계 국가들은 그 나라 경제구조와 여건에 따라 독자적 변동환율...
-
-
환율정책외환정책 중 하나로 정부가 외환시장에 개입함으로써 특정 목표를 달성하려는 정책 직접적 수단으로는 외환시장에 개입하여 시장환율을 균형환율로 접근시키고자 하는 경우가 있으며, 외환시장에서 환율의 안정화에 실패할 우려가 있는 경우 외환당국이 자본의 유출입을 직접적으로 통제함으로써 환율 안정화를 도모하기...
-
외국인 투자자 환차손 · 환차익 외국인은 환율에 샀다, 팔았다빌이야. 한국 주식시장의 30% 이상은 나 같은 외국인 투자자가 차지하고 좌우해. 우린 정보도 더 많고 더 똑똑하니까. 나는 원화의 환율시세를 하루에도 몇 번씩 들여다봐. 환율변동에 따라 내가 운용하는 펀드가 엄청난 환차익을 볼 수도 환차손을 볼 수도 있으니까. 결과적으로 내 보너스가 달려 있다는 거지. 나는...
-
정부의 외환시장 개입 정부가 외환시장에 은근슬쩍환율이 마구 급등하거나 급락하면 경제에 주는 충격이 매우 크다고 했지? 변동환율제도는 환율이 시장에서 수요와 공급에 의해 자유롭게 결정되지만, 사실 정부나 중앙은행이 알게 모르게 외환시장에 개입하는 경우가 꽤 있어. 구두개입은 구두(口頭), 즉 말로 외환시장에 개입하는 거야. 기획재정부 장관이나 한국은행...
-
매입환율고객의 입장에서 외환을 매도할 때 적용받는 환율 외환딜러나 은행이 일반고객으로부터 외화를 살 때 적용되는 환율로 가격제시자(외국환은행)의 경우 외환을 고객으로부터 싸게 사서 비싸게 팔아야 하기 때문에 항상 매입환율은 매도환율보다 낮게 책정된다.
-
시장 평균 환율외환시장에서 외환에 대한 수요와 공급에 따라 결정되는 환율 우리나라의 경우 1990년 3월부터 시행하였으며 외국환의 매매기준율로서 전날 외국환은행들이 외국환시장에서 타은행과 거래한 환율을 거래량의 가중평균하여 결정하였다. 제한적이나마 환율에 시장 기능을 반영하도록 하여 통상마찰을 완화하며 변동폭을...
-
고시환율외환을 은행으로부터 매입하거나 매도하려는 고객들을 위한 기준금리 환율은 시시각각으로 변동하기 때문에 어느 한 수치로 결정짓기 어렵다. 따라서 은행에서는 거래를 위해 일정 수준의 환율을 고시해 주는데 이 환율이 고시환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