없는 대체로 다습한 온대 기후이다. 서유럽, 북아메리카 남동부, 양쯔강 하류, 대한민국 서해 연안, 일본 대부분 지역이 이러한 기후에 속한다. 쾨펜기후구분에서 온대로 속하는 기후이며 기호로는 Cf로 나타낸다. 대륙 동쪽은 계절풍의 영향을 받고, 여름철에 강수가 집중되고 추운겨울과 열대성 저기압인 태풍에...
열대와 온대의 중간지점에 있는 점이적인 지역으로 기온은 높으나 비가 적은 곳이 많다. 이 기후대 고유의 기후를 아열대기후라고 한다. W.쾨펜의기후구분에 의하면 1년 중 4~11개월에 걸쳐 월평균기온이 20℃ 이상 되는 지대가 이에 해당한다. 그러나 기후학적으로 반드시 명확한 지역은 아니므로 엄밀하게 지리적...
건조 기후(乾燥氣候)는 무수목 기후 중 건조함으로 인해 식물이 생육할 수 없는 지역에서 나타난다. 쾨펜의기후구분에서 기후대 B로 저위도에서 두 번째에 위치함을 나타낸다. 주로 위도 20에서 30도 부근의 중위도 지대, 이른바 아열대 지역의 한류의 영향이 미치는 대륙 서안과 건조한 내륙 지역에 분포하는데, 이는...
스페인 기후는 크게 세 종류로 나뉘며 고도와 지리적 특성, 산악 지형에 따라 상이하다. 지중해성 기후 : 쾨펜의기후구분에 따르면 지중해성 기후의 특징은 건조하고 온난하다. 이러한 지중해성 기후가 가장 널리 분포하며 Csa와 Csb로 나뉜다. 서안 해양성 기후(Cfb)는 북부 지방에 분포하며 특히 바스크 지방...
열대 기후(熱帶氣候)는 적도 인근의 저위도 지방의 기후이다. 남회귀선과 북회귀선 사이의 지역이 이 기후에 해당한다. 쾨펜의기후구분에 따르면 12달 내내 월 평균 기온이 18 °C 이상인 곳을 열대 기후라고 한다. 열대 기후는 아래와 같이 더 나눌 수 있다. 열대 우림 기후(Af) 12달 내내 월 평균 강수량이 60 mm...
제도, 남극 반도, 쿠릴 열도 일부. 극지방에만 존재한다. 남극 대륙 대부분, 그린란드(덴마크령) 내륙 대부분. 한대는 고산에도 분포하고 있다(이 지대를 고산 기후대(기호 H)라고 부르며 구별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후지산이나 중국의 티베트 자치구의 일부 등이다. 북극 진동 쾨펜의기후구분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대표적인 복잡계로 계절의 변화에 따라 유사한 패턴이 반복되지만 끊임없이 변화하는 특징을 보인다. 다섯 권역의 상호 작용 결과 한 지역의 기후가 결정된다. 쾨펜의기후구분은 이 가운데 식생의 성장에 큰 요인을 미치는 계절에 따른 강우량의 정도와 기온을 중심으로 기후를 구분한 것이다.기후는 어떻게 구분할까...
이집트의 기후(Climate of Egypt)는 대체적으로 보면 쾨펜의기후구분에 따라 전 지역이 사막 기후(BWh)로 판정되어 있다. 그러나 강수량이 가장 많은 지역인 알렉산드리아 같은 경우 스텝 기후(BSh)의 성질을 띈 기후 환경 조건 역시 만족시키는 것으로 보이게 되지만, 전 지역의 지형 특성상 사하라 사막에 영향을...
W. 쾨펜의기후구분에서는 최난월의 평균기온이 10℃ 이하로 강수량이 적은 지역을 가리키고, 식생을 지표로 했을 때는 아한대의 극 쪽에 위치하는 무수목지역을 가리키는데, 이것은 다시 툰드라 지역과 빙설지역으로 나뉜다. 북반구에서는 유라시아와 북아메리카 양 대륙의 극북부, 그린랜드, 아이스랜드 북부 등이고...
좌표 서울특별시의 기후는 건조한 겨울과 함께 냉대 동계 소우 기후를 특징으로 하며, 쾨펜의기후구분에서는 "Dwa"라고 부른다. 여름의 가장 더운 때와 겨울의 가장 추운 때의 온도차가 극심하다. 여름에는 북태평양 고기압의 영향으로 덥고 습한 날씨가 나타나며, 기온이 35°C(95 °F)까지 치솟기도 한다. 겨울에는...
기후대라고 할 때 사용하는 분류기준이다. 연평균기온이 섭씨 10° 이하의 지대를 한대 기후, 10℃에서 20℃ 사이를 온대기후, 섭씨 20° 이상을 열대기후로 나눈다. 현재 많이 사용하는 쾨펜의 분류 방법은 여기에 평균기온, 강수조건에 따라 열대기후, 건조기후, 온대기후, 아한대기후, 한대기후의 5개의 기후대로...
선)이 제안되었다. 1879년 오스트리아의 지리학자 알렉산더 수판은 쾨펜-수판선(Köppen-Supan line)을 제안했고, 1900년 쾨펜은 기후구분에서 처음으로 수목한계선을 툰드라 기후와 나무들이 자라는 기후를 구분하는 경계로 사용했는데 1년중 가장 따뜻한 달의 평균기온이 10℃ 이상 되는 지역을 연결했다. 19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