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대전자령 전투
    대전자령 전투는 1933년 7월 한국독립군 지청천 부대, 중국군 부대와 연합하여 일본군을 대파한 전투이다. 봉오동 전투, 청산리 전투에 이어 한국 항일무장투쟁사 3대 대첩으로 평가받는다. 한국독립군과 중국군은 둥징청을 확보하기 위하여 닝안[寧安]을 점령해야 할 필요가 있었다. 그러나 한 ·중 연합군은 전투...
    도서 위키백과
  • 최진동 명록, 崔振東
    金佐鎭)과 협의하여, 부대를 세 방면으로 나누어 연합작전을 펼 것을 계획하고 청산리에서 일본군과 접전을 벌여 적 600여 명을 사살하는 대승을 거두었다(청산리전투). 이어 일본군의 추격을 피해 둥닝 현으로 진출하여 전열을 정비한 뒤 1921년 10개 독립군단체의 연합회의에서 대한독립군단으로의 통합 편성을 주도...
    출생 :
    ?, 함북 온성
    사망 :
    1945
    국적 :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독립운동가
  • 백야기념관
    김좌진장군은 한국 독립투쟁사에서 최고의 전과로 기록되는 청산리 전투를 승리로 이끈 것으로 유명하다. 장군은 이곳에서 15세 때 노비문서를 불사르고 전답을 나눠줬으며, 17세 때는 갈산중고등학교 자리에 호명학교를 세워 신학문을 교육하였다. 백야기념관에서는 김좌진 장군의 출생부터 계몽운동과 독립운동 등...
    위치 :
    충청남도 홍성군 갈산면 백야로546번길 12
  • 지청천 池靑天
    떨쳤다. 1920년 신흥무관학교가 폐쇄되자, 100여 명의 생도 및 서로군정서 병력을 이끌고 백두산 근처로 이동하였고, 독립군연합부대와 청산리 전투를 치렀다. 청산리 전투에서 승리한 독립군 부대는 노령과 접경지대인 북만주 미산(密山)에 집결하여 대한독립군단을 조직했다. 러시아 령으로 이동한 대한독립군단은...
    출생 :
    1888년 1월 25일(음력), 서울
    사망 :
    1957년 1월 15일
    본관 :
    충주(忠州)
    주요활동 :
    1919년 일본군 현역장교 신분으로 서간도 망명, 신흥무관학교 교관 및 서로군정서 사령관, 1921년 고려혁명군관학교 교장, 1925년 정의부 군사위원장 및 총사령관, 1931년 한국독립군 총사령관, 1934년 낙양군관학교 한인특별반 총교도관, 1935년 민족혁명당 군무부장, 1939년 임시정부 군무부장, 1940년 한국광복군 총사령관, 1947년 대동청년단 단장, 1948년 제헌국회의원(서울 성동), 1948년 무임소장관
    포상훈격 :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
    관련 인물/단체 :
    신흥무관학교, 서로군정서, 낙양군관학교 한인특별반, 신한독립당, 한국독립당, 대한민국 임시정부, 한국광복군
  • 자유시사변 自由市事變
    전투에서의 대패에 대한 보복으로 간도를 침략하였는데, 이 보복을 정당화하기 위해 마적단을 매수하여 훈춘사건을 조작하고, 간도에 군대를 투입했지만, 청산리전투에서 김좌진 장군의 북로군정서 독립군에 대패하고 만다. 이후 일본군은 양민학살의 형태로 보복작전을 벌이면서, 간도의 동포들뿐만 아니라, 노령...
    유형 :
    사건
    분야 :
    역사/근대사
  • 이민화 李敏華
    에서, 본인은 오른쪽 90도 벼랑인 고지에서 적이 지나는 것을 기다렸다.”고 기술하고 있다. 그 달 23일까지 계속된 10여 차례의 접전에서 큰 전과를 올렸다. 청산리전투 후, 일본군의 간도출병을 피하여 러시아령 자유시(自由市)에 가서 고려혁명군의 장교가 되었으나, 자유시참변을 겪고 러시아령을 탈출하여 다시...
    시대 :
    근대
    출생 :
    1898년
    사망 :
    1923년
    경력 :
    건국훈장 국민장
    유형 :
    인물
    직업 :
    독립운동가
    성별 :
    분야 :
    역사/근대사
  • 오상서 吳祥瑞
    졸업한 뒤 1919년 백종열(白鍾烈)·박영희(朴寧熙) 등과 함께 북로군정서 장교로 임명되어 사관연성소(士官練成所)의 교관으로 활동했다. 1920년 10월 청산리전투에 제4중대장으로 참전해 백운평(白雲坪)·갑산촌·어랑촌(漁郞村)·천수평(泉水坪) 등지에서 일본군과 싸워 전과를 올렸다. 청산리전투 후 대한독립군단이...
    출생 :
    미상
    사망 :
    1937
    국적 :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독립운동가
  • 지청천 광복군 사령관으로 항일 무장 투쟁의 대미를 장식하다
    독립운동에 투신한 일본 육사 출신의 엘리트 1920년 대 초반, 항일 무장 투쟁을 선언한 독립군들은 홍범도와 김좌진 등의 활약으로 봉오동 전투, 청산리 전투에서 승리를 거두었다. 그러나 독립군에게 패한 뒤 더욱 집요해진 일본군의 보복과 1921년에 일어난 자유시 참변으로 독립군들은 커다란 타격을 입었다. 그래도...
    출생 :
    1888년
    사망 :
    1957년
    본명 :
    지석규(池錫奎), 지대형(池大亨)
    본관 :
    충주(忠州)
    도서 명장열전 | 태그 역사인물 , 한국사
  • 윤기섭 중규, 尹琦燮
    교섭으로 마적들로부터 풀려날 때까지 약 두 달 동안 말할 수 없는 고초를 당하였다. 각고의 노력으로 명맥이 유지된 신흥무관학교 출신의 군사인재들은 청산리전투뿐만 아니라 만주지역의 무장투쟁단체, 그외 노령, 중국 관내의 조선혁명군, 한국독립군, 고려혁명군, 의열단, 한국광복군 등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
    출생 :
    1887년 4월 4일, 경기 파주(坡州)
    사망 :
    1959년 2월 27일
    본관 :
    해평(海平)
    주요활동 :
    1909년 신민회 가입, 1911년 서간도 망명 후 경학사 ・ 신흥학교 등 설립, 1920년 임시의정원 서간도 의원, 1922년 한국노병회, 1923년 임시의정원 의장 역임, 임시정부 국무원, 내무장, 군무장, 한국독립당, 한국혁명당, 민족혁명당 중앙집행위원, 임시의정원 경기도의원 활동
    포상훈격 :
    1989년 건국훈장 대통령장
    관련 인물/단체 :
    신민회, 경학사, 대한민국 임시정부, 한국노병회, 한국독립당, 한국혁명당, 민족혁명당
  • 북간도 北間島
    일본과의 갈등과 충돌을 겪어야 했다. 이 작품은 1부와 2부에서는 간도의 역사적 성격을 밝히는 백두산정계비의 원문을 직접 인용하고 있고, 5부에서는 청산리전투를 서사의 주된 축으로 삼고 있다. 이 작품은 백두산정계비가 있는 곳이자 식민지 시기 독립군의 활동이 전개되기도 했던 간도라는 지역의 특수성에 초점을...
    시대 :
    현대
    유형 :
    작품/문학
    분야 :
    문학/현대문학
  • 홍범도 홍범도(洪範道)
    사살하는 대전과를 올렸으며, 두만강 대안의 봉오동(鳳梧洞)에서 일본군 대부대를 전멸시키는 큰 성과를 올리니, 이것이 유명한 봉오동전투이다. 또한 같은 해 10월 청산리전투에서도 제1연대장으로 참가, 제2연대장 김좌진(金佐鎭), 제3연대장 최진동 등과 함께 일본군을 크게 격파하였다. 봉오동과 청산리에서 치욕적...
    유형 :
    인물/근현대 인물
    분야 :
    역사/근대사
  • 김좌진 명여, 金佐鎭
    10월 21일 오전 9시 일본군 선발대 야마다보병연대(山田步兵聯隊)가 삼도구 청산리 골짜기에 진입하자 백운평(白雲坪) 부근에서 잠복 대기하고 있다가 선제공격...투’에서부터 청산리 독립전쟁이 시작되었다. 북로군정서 독립군은 백운평 전투에서 대승한 후 이도구 갑산촌(甲山村)으로 철수하여 주둔했을 때 일본군...
    출생 :
    1889년 12월 16일, 충청남도 홍성(洪城)
    사망 :
    1930년 1월 24일
    관련 사건 :
    대한광복회, 성동사관학교, 청산리전투, 경신대학살, 자유시참변, 민족유일당운동
    본관 :
    안동(安東)
    주요활동 :
    청년학우회 한성연회 간부, 기호흥학회 창립, 호명학교 설립, 대한광복회 부회장, 대한독립선언서 서명, 북로군정서(대한군정서) 사령관으로 청산리독립전쟁(청산리전투) 수행, 대한독립단(대한의용군총사령부) 부총재, 신민부(新民府) 군사위원장 겸 총사령관, 성동사관학교 설립, 혁신의회와 한족총연합회 조직
    포상훈격 :
    1962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
    관련 인물/단체 :
    대한광복회, 북로군정서, 대한독립단, 신민부, 한족총연합회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현재페이지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20건

청산리 전투
김좌진
봉오동 전투와 청산리 전투
디자인 - 청산리 전투
청산리 전투도
청산리전투 현장 입구에 세워진 청산리항일대첩기념비
청산리 전투 전승 100주년 - 전지
청산리전투 / 부상당한 일본인 후송
1920년 청산리 전투 승전 기념
청산리 전투에서 대패한 일본군
청산리 전투에서 승리한 대한 독립군
청산리 전투에 패해 후퇴하는 일본군
청산리 전투에서 사용한 무기류(1920.7.28)
청산리 전투에서 패하고 철수하는 일본군 사진
청산리전투에서 사용한 독립군 탄약과 탄띠
북로군정서 청산리전투 승전자축 기념사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