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유최기 양보(良甫), 兪最基
    지목되어 웅천현감으로 좌천되었다. 영조가 유최기의 강직함을 가상히 여겨 다시 기용함으로써 그뒤 동부승지·대사성·대사헌·지의금부사 등을 역임하였다. 1763년 정헌대부(正憲大夫)에 오르고 기로소(耆老所)에 들어갔다. 뒤에 판의금부사를 거쳐 우참찬에 이르렀다. 시문에 능하였다. 시호는 정간(貞簡)이다. 참고문헌
    시대 :
    조선
    출생 :
    1689년(숙종 15)
    사망 :
    1768년(영조 44)
    경력 :
    동부승지, 대사성, 대사헌, 판의금부사
    유형 :
    인물
    관련 사건 :
    신임사화
    직업 :
    문신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기계(杞溪: 지금의 경상북도 포항)
  • 정수기 순년(舜年), 鄭壽期
    않았다. 1727년 10월 대사간으로 복직된 이후 승정원승지·대사성·대사간·공조참판 등을 역임하고, 1734년 개성유수로 전보되었다. 1736년 대사헌에 임용되어 서울로 올라와 지돈녕부사·우참찬·예조판서 등을 역임하고 기로당상(耆老堂上)이 되었다. 1753년 영의정에 추증되었다. 시호는 정간(貞簡)이다. 참고문헌
    시대 :
    조선
    출생 :
    1664년(현종 5)
    사망 :
    1752년(영조 28)
    경력 :
    예조판서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연일(延日)
  • 최현 계승(季昇), 崔晛
    부종사관을 거쳐 형조참의 · 부제학 · 강원도관찰사에 이르렀다. 1627년 횡성사람 이인거(李仁居)의 모반에 관련되었다는 혐의를 받고 투옥되었으나 왕의 특명으로 곧 석방되었다. 숙종 때 선산의 송산서원(松山書院)에 제향되었고, 저서로는 『인재집』이 있다. 예조판서에 추증되었고, 시호는 정간(定簡)이다. 참고문헌
    시대 :
    조선
    유형 :
    인물/전통 인물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정문 의덕(懿德), 鄭文
    보내어 구원하려 했으나 마침내 그가 죽자 매우 슬퍼하며 특진 좌복야 참지정사(特進 左僕射 叅知政事)에 추증하고 관비(官費)로 장례를 치러 주었다. 시호는 정간(貞簡)이라 하였다. 청렴 · 공정하여 형조를 10여 년 맡았으나 일을 잘 처리하였고, 송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오면서 받은 금백(金帛)을 종자에게 나누어...
    시대 :
    고려
    유형 :
    인물/전통 인물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서문유 계용(季容), 徐文礻+谷
    개설 본관은 대구(大丘). 자는 계용(季容). 판서 서성(徐渻)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제조(提調) 서경주(徐景霌)이고, 아버지는 남원부사 서정리(徐貞履)이며, 어머니는 형조판서 이시발(李時發)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673년(현종 14) 사마시에 합격, 군자감주부(軍資監主簿)를 지내고, 1684년(숙종 10) 정시...
    시대 :
    조선
    출생 :
    1651년(효종 2)
    사망 :
    1707년(숙종 33)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대구(大丘)
  • 홍만용 정간(貞簡), 洪萬容
    사직하고 고향인 고양으로 돌아가 오직 음주로써 세월을 보내며 세상일을 말하지 않았다. 왕실의 지친이면서도 직언을 서슴지 않아 숙종이 송시열(宋時烈)·송준길(宋浚吉)을 귀양보낼 때에는 조정에서 감히 아무도 이를 말리지 못하였으나 이들을 위하여 적극 원통함을 풀어 구제하였다. 시호는 정간(貞簡)이다. 참고문헌
    시대 :
    조선
    출생 :
    1631년(인조 9)
    사망 :
    1692년(숙종 18)
    경력 :
    겸문학, 시강관, 부응교, 이조참의, 예조판서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풍산(豊山, 지금의 경상북도 안동)
  • 김재창 덕여(德汝), 金在昌
    헌종 1) 병조판서가 되었다. 병조판서를 지내던 중, 정시 무과 초시의 시험날짜를 통지하지 못하여 지방무사들이 응시하지 못한 책임으로 한때 파면되기도 하였다. 1837년 이조판서로 복직되고, 1843년에는 판중추부사가 되었다. 편서로는 『광주부공도회과작(廣州府公都會科作)』이 있다. 시호는 정간(貞簡)이다. 참고문헌
    시대 :
    조선
    출생 :
    1770년(영조 46)
    사망 :
    미상
    경력 :
    판중추부사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대표작 :
    광주부공도회과작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광산(光山)
  • 임영대군 헌지(獻之), 臨瀛大君
    신임을 받았다. 그는 어려서부터 천성이 활달하였고 무예와 의론(議論)에 뛰어났으며, 왕손이면서도 근검하였고 사람들을 대하는 데 교만하지 않았다. 아들로 이주(李澍)·이준(李浚)·이순(李淳)·이정(李淨)·이징(李澄)·이함(李涵)·이인(李潾)·이탁(李濯)·이옥(李沃) 등을 두었다. 시호는 정간(貞簡)이다. 참고문헌
    시대 :
    조선
    출생 :
    1420년(세종 2)
    사망 :
    1469년(예종 1)
    유형 :
    인물
    직업 :
    왕자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전주
  • 임한호 경소(景昭), 林漢浩
    직전에 건의된 서얼(庶孼)을 위한 인재등용책은 간접적이나마 세도정치로 부패된 관계숙정(官界肅正: 관료들의 세계를 바로 잡음)의 한 방안이 되기도 하였다. 성품이 청렴결백하고 소박하여 권세와 이익을 좇는 데에 물들지 않았으며, 자손이 번성하여 세칭 ‘복인(福人)’이라 하였다. 시호는 정간(貞簡)이다. 참고문헌
    시대 :
    조선
    출생 :
    1752년(영조 28)
    사망 :
    1827년(순조 27)
    경력 :
    우의정, 대사헌, 판의금부사, 좌참찬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나주(羅州)
  • 이수언 미숙(美叔), 李秀彦
    사직하고 고향인 청주에 내려갔다. 그 뒤 예조판서를 비롯하여 판윤·참찬·지중추부사 등의 벼슬로 조정에서 여러 번 불렀으나 뜻을 굽히지 않고 끝내 벼슬에 나아가지 않았다. 김창협(金昌協)은 이수언의 용퇴와 지조를 높이 칭찬하였다 한다. 청주의 국계사(菊溪祠)에 제향되었다. 시호는 정간(正簡)이다. 참고문헌
    시대 :
    조선
    출생 :
    1636년(인조 14)
    사망 :
    1697년(숙종 23)
    경력 :
    대사헌, 전라도관찰사, 형조판서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학자
    성별 :
    분야 :
    종교·철학/유교
    본관 :
    한산(韓山: 지금의 충청남도 서천)
  • 이륜 여명(汝明), 李倫
    官)이 되었고, 1666년 대비가 온양온천으로 행차할 때 별운검(別雲劒)으로 수행하기도 하였으며, 1695년 덕흥대원군의 봉사손(奉祀孫)으로 지명되었다. 특히, 영조의 총애가 깊어, 죽자 구재(柩材)가 하사되었으며, 예관을 보내 치제(致祭)하기도 하였다. 회원군(檜原君)에 봉하여졌으며, 시호는 정간(貞簡)이다. 참고문헌
    시대 :
    조선
    출생 :
    1636년(인조 14)
    사망 :
    1731년(영조 7)
    경력 :
    도총부도총관
    유형 :
    인물
    직업 :
    왕족, 종실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전주(全州)
  • 정석오 유호(攸好), 鄭錫五
    홍(咸平君泓)과 함께 청나라에 다녀왔다. 그 뒤 호조판서를 거쳐 1746년 우의정에 특진, 곧 좌의정에 승진되고, 1748년 영돈녕부사로서 동지 겸 사은사(冬至兼謝恩使)가 되어 효현황후(孝賢皇后) 시호 올린 것을 진하하고 연공(年貢)을 진헌하기 위하여 청나라에 가던 중 병사하였다. 시호는 정간(貞簡)이다. 참고문헌
    시대 :
    조선
    출생 :
    1691년(숙종 17)
    사망 :
    1748년(영조 24)
    경력 :
    좌의정, 영돈녕부사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동래(東萊)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현재페이지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관련항목

멀티미디어2건

정간(coffer)
장백정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