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남자현 독립군의 어머니, 南慈賢
    생전에 독립을 보지 못하면 자손에게 유언하라 "만일 너의 생전에 독립을 보지 못하면 너의 자손에게 똑같은 유언을 하여 내가 남긴 돈을 독립 축하금으로 바치도록 하라." 일평생을 오로지 조국의 자주독립과 민족의 자존을 위하여 싸우다 옥고로 순국한 남자현(南慈賢, 1872.12.7~1933.8.22) 여사의 유언입니다. 여사...
    출생 :
    1872년 12월 07일
    사망 :
    1933년 08월 22일
  • 학생독립운동기념일
    댕기머리 소녀 이광춘이 학생운동에 불을 댕겼습니다 애비 놈들 남의 나라 삼키더니 그 자식들 통학하며 싸가지 없이 조선인 여학생 댕기를 잡아 당겼것다 아야야야 아야야야 그 광경보다 못해 조선 남학생들 왜놈 학생 멱살 잡고 한 대 날렸것다 …… 어린 학생 잡아다가 고문하던 왜놈 순사들 머리채 잡아끈 후쿠다...
    날짜 :
    11월 03일
  • 덕수궁 중명전 비운의 현장
    끝까지 조선을 지키려던 한규설을 가두다 1905년 11월 17일 오후 을사늑약이 강행된 덕수궁 앞과 회의장 안은 완전무장한 일본군이 겹겹이 둘러싸고 있었으며, 기병 800명, 포병 5,000명, 보병 2만 명이 서울 시내 전역을 장악하고 있었다고 하지요. 《한말외교비화》(1930)에 따르면 '슬피 부르짖는' 참정대신 한규설이...
  • 송편 설에는 얻어 입고, 한가위에는 얻어먹는다
    "설에는 옷을 얻어 입고, 한가위에는 먹을 것을 얻어먹는다"라는 우리나라 옛 속담에서도 알 수 있듯이 한가위는 곡식과 과일이 풍성한 때이므로 여러 가지 시절음식이 있습니다. 《동국세시기》에는 송편, 시루떡, 인절미, 밤단자를 시절음식으로 꼽았는데, 송편에 꿀송편, 밤송편, 깨송편, 콩송편, 대추송편 따위가...
  • 옹기 甕器
    질박함이 느껴지는 서민의 다용도 그릇 옹기(甕器)는 삼국 시대 이전부터 만들어 쓴 것으로 짐작되는 우리의 독특한 그릇입니다. 옹기를 사전에서 찾아보면 '질그릇과 오지그릇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라고 풀이합니다. '사람의 손길조차 닿지 않았던 것 같은 원시 그대로의 자연성이 있다'라는 설명도 있습니다. 옹기는...
  • 김유신 기생 천관의 집으로 향한 말의 목을 벤 철저한 자기관리, 金庾信
    김유신은 죽어 산신이 되었습니다 경북 경주에 있는 천관사터는 신라화랑 김유신(金庾信, 595~673)과 관계 깊은 곳입니다. 평소 기생 천관의 집을 자주 찾던 유신은 어머니의 따끔한 훈계 한마디에 천관과 왕래를 끊습니다. 그러나 유신의 결심을 알 리 없는 유신의 말은 버릇처럼 술에 취한 김유신을 천관의 집까지...
    출생 :
    595년
    사망 :
    673년
  • 동장군 general frost를 일본이 번역한 말, 冬將軍
    동장군은 우리말이 아니랍니다 흔히 지금을 동장군(冬將軍)의 계절이라 합니다. 경기도 포천에서는 동장군 잔치(축제)를 어느새 7회째 열고 있다고 하지요. 한겨울 몹시 추울 때 '동장군이 맹위를 떨친다'는 말을 종종 듣게 되는데 한자로 '冬將軍'이라고 쓰는 이 말은 대체 어디서 온 말일까요? 《표준국어대사전》에는...
  • 소담잔치국수
    인천 간석동 간석오거리에 있는 작은 국수가게이다. 가게 내부는 아담하고 깔끔한 편이고 잔치국수가 대표 메뉴이다. 진하게 우린 멸치육수는 깔끔한 맛으로 잔치국수가 일품이다. 가격도 저렴하고 맛도 있어 점심시간이면 단골손님들로 북적인다. 잔치국수뿐만 아니라 매일 반찬이 다른 백반과 만둣국, 칼국수, 제육...
    위치 :
    인천광역시 남동구 경인로644번길 28-1
  • 몽유도원도 안견의 몽유도원도에서 세월을 잊습니다, 夢遊桃源圖
    '몽유도원도'는 지금 외출 중 이맘때쯤이면 앞산, 뒷산 불그스레한 복숭아꽃이 곱게 필 때입니다. 안견의 '몽유도원도'에 등장하는 복숭아꽃도 그런 예쁜 꽃이었을까요? '몽유도원', '무릉도원'처럼 신비하고 아름다운 절경에 반드시 등장하는 도원(桃源)이라는 복숭아꽃밭은 중국 송나라 시인 도연명의 '도화원기'에...
  • 약밥, 찰밥, 조리밥 정월대보름 풍습
    갖은 나물과 갖은 밥으로 한겨울 밥상을 풍요롭게 하는 대보름 둥그런 달이 떠오르는 2월 중순 정월대보름의 먹을거리로 단연 돋보이는 것은 약밥입니다. 약밥은 찹쌀을 밤, 대추, 꿀, 기름, 간장과 섞어서 함께 찐 후 잣을 섞어 먹으면 고소한 맛을 더합니다. 요즈음은 전기압력밥솥에다 밥하듯이 해도 맛있게 만들어...
  • 스승의 날이 세종대왕 탄신일인 까닭
    5월 15일은 세종대왕 태어나신 날 5월 15일 하면 으레 스승의 날을 먼저 떠올리지만, 이날은 세종이 태어나신 날이기도 합니다. 세종은 우리의 삶에 끼친 공이 지대하지요. 그런데 세종대왕이 언제 어디서 태어났는지 아는 사람은 적습니다. 《세종실록》 총서에는 "태조 6년 정축 4월 임진에 한양 준수방(俊秀坊) 잠저...
    날짜 :
    05월 15일
  • 신사임당
    현모양처일까, 당당한 여성일까 우리나라 돈 가운데 가장 액수가 큰 것은 5만 원권입니다. 2009년 6월 23일 처음 발행했는데 도안인물로 신사임당이 들어가, 역대화폐 가운데 여성이 도안으로 들어간 최초의 사례가 되었습니다. 그런데 이때 신사임당이 5만 원권에 들어가는 것을 놓고 말들이 많았습니다. 특히 여성단체...
    출생 :
    1504년 10월 29일
    사망 :
    1551년 5월 17일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현재페이지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관련항목

출처1건

멀티미디어48건

잔치
의금부도사 김도언 유물 / 태평연도
평양감사향연도 / 월야선유도
기로세련계도 / 김홍도
동해안 별신굿 / 화해굿
강릉단오제 / 난장
대동굿 / 제석굿
밀양 백중놀이
속리산 국중대회
회갑연 장면
백일잔치
잔치국수
잔치국수
잔치국수
타이포잔치 도록
타이포잔치 도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