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부산 시민 대학 釜山 市民 大學서양 철학사-고대 그리스에서 니체까지[화요일], 당시 선독(唐時選讀)-칠언 절구를 중심으로[수요일], 서양 현대 사상[포스트모더니즘]의 이해[목요일], 『육조단경(六祖壇經)』-무엇이 그대의 본래의 얼굴인가?[금요일]이 있다. 해운대 문화 회관에서 열리는 강좌는 현대 미술사조[월요일], 『황제내경(黃帝內經)』과...
- 분야 :
- 문화·교육
- 지역 :
- 부산광역시 수영구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
『대혜보각선사서』 大慧普覺禪師書대해 설명하고 있는데, 특히 간화선을 수행할 것을 아주 상세하고 간곡하게 권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의의와 평가] 『서장(書狀)』은 보조 지눌이 『육조단경(六祖壇經)』과 함께 심요(心要)로 할 정도로 중시한 문서로, 지눌 이후 현대에 이르기까지 한국 선(禪)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또한 고려 시대부터 조선...
- 분야 :
- 종교
- 지역 :
- 부산광역시 금정구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
해인정사 海印精舍내에 재가 불자들을 위한 경전 대학으로 자리 잡은 해인불교경전대학은 매년 4월과 10월 두 번에 걸쳐 개강한다. 수진이 직접 제작한 교재를 바탕으로 『육조단경(六祖壇經)』, 『금강경(金剛經)』, 『천수경(千手經)』, 『금강삼매경(金剛三昧經)』 등을 탄탄한 기초 교리와 함께 공부한다. 이와 함께 시민 선방인 선...
- 분야 :
- 종교
- 지역 :
- 부산광역시 사하구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
『범어사 육조대사법보단경』 梵魚寺 六祖大師法寶檀經모양의 검은 두 개 어미 가운데 위 어미가 아래쪽, 아래 어미가 위쪽을 향하는 형태]이며, 판심제는 단(壇)+장차(一·二)이다. [구성/내용] 표지 제목은 ‘육조단경(六祖檀經)’이고, 첫 장의 1행에는 ‘육조대사법보단경서(六祖大師法寶壇經序)’, 2행에는 ‘고균비구덕이찬(古筠比丘德異撰)’이라 표기한 다음 3행부터...
- 분야 :
- 종교
- 지역 :
- 부산광역시 금정구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
김해 여여정사 육조법보단경의 권말(卷末) 부분에 ‘成化十五年乙亥五月 日 白雲山屛風庵開板’이라는 간기(刊記)를 통해서 ‘1479년’으로 확인된다. 이와 같이 그 간행의 기록(刊記)과 인출(印出) 및 보관상태가 양호하고 15세기 후기에 간행된 육조단경 중 단 3종만 확인할 수 있는 자료이며 시대적 불경 간행을 연구하는데 중요한 참고자료이다...도서 위키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