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문묘제례악 석전악, 文廟祭禮樂관련된다. 현행 문묘제례악에 쓰이는 악기의 특징을 보면 12율(12반음)만 낼 수 있는 악기(훈·약·슬·생)와 12율4청성(16반음)을 낼 수 있는 악기(편종·편경·지·소)로 되어 있다. 문묘제례악은 『세종실록』 권137과 147, 그리고 『악학궤범』 권2에 악장과 함께 전해오며, 원나라 임우(林宇)의 『대성악보(大晟...
- 성격 :
- 제례음악
- 유형 :
- 작품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대성아악 大晟雅樂중성 각 2, 소에 정성·중성 각 2, 소생(巢笙)에 정성·중성 각 2, 화생(和笙)에 정성·중성 각 2, 훈에 정성·중성 각 2, 박부(搏拊) 2, 축(柷) 1, 어(敔) 1점 등이었다. 헌가악기는 편종 9, 편경 9, 금에 1현 5, 3현 13, 5현 13, 7현 16, 9현 16, 슬 42, 지에 정성·중성 각 24, 적에 정성·중성 각 24, 소에 정성...
- 시대 :
- 고려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쇤베르크 악파의 중심인물, 안톤 베베른 Anton Friedrich Wilhelm von W..빠르게 자극적인 음을 연주한다. 제3곡은 오스트리아 산 속에서 울려 퍼지는 소방울 소리를 연상시키는 곡이다. 북이 트레몰로를 연주하는 가운데 소방울을 비롯한 여러 악기들이 트릴과 반복음을 연주한다. 제4곡에서는 여러 악기들의 음향이 여섯 마디 반의 짧은 시간 동안 그물 무늬처럼 펼쳐진다. 제5곡에서는 여러...
- 출생 :
- 1883년 12월 03일
- 사망 :
- 1945년 09월 15일
- 국적 :
- 오스트리아
- 대표작 :
- 〈현악 4중주를 위한 5악장〉, 〈5개의 관현악 소품〉 등
-
삼국 시대의 음악시대별로 중국의 음악을 받아들여 각국에 맞는 문화를 발전시켜 나갔다. 고구려의 음악은 안악 제3호분의 벽화를 통해 알 수 있다. 입고, 소, 북, 각, 요 등의 악기에 맞추어 노래를 부르는 그림과 거문고와 유사하게 생긴 현악기에 맞추어 춤을 추는 그림이 남아 있다. 고구려의 악기로는 약 14종 정도가 알려져 있는데...
-
검은털 일본소혀 소금구이 680엔 Kuroge Wagyu Joshio Tan..이하 "735엔 버전")〉을 편곡한 곡이다. "735엔 버전"은 비교적 부드럽고 조용하게 노래가 이어지는데, "680엔 버전"은 이에 비해 공격적이고, 강렬한 악기 소리를 들을 수 있다. 오오츠카 아이 본인에 의하면 가사는 "680엔 버전"을 먼저, 편곡은 "735엔 버전"을 먼저 제작했다고 한다. 대중들에게는 "680엔 버전"이...도서 위키백과
-
단소 짧은 퉁소, 短簫유래와 역사 단소(短簫)는 ‘짧은 퉁소’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다. 고대에 소(簫)는 봉소(鳳簫)나 배소(排簫)와 같이 여러 개의 관을 묶어 연주하는 편관(編管) 악기였으며, 단관(單管)으로 되어 있는 세로로 부는 관악기를 적(笛)이라 불렀다. 적은 그 길이에 따라 장적(長笛), 단적(短笛)이라 이름하였는데, 『체원초...
- 시대 :
- 조선
- 유형 :
- 물품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
고취 鼓吹제3호고분의 벽화에서 볼 수 있다. 357년(고국원왕 27)에 건축된 이 고분의 벽화에 기마악대(騎馬樂隊)의 그림이 전하는데, 기마악대에서 사용한 악기들은 고(鼓), 소(簫), 가(笳) 또는 각(角), 요(鐃)의 네 가지였다. 4세기 당시 고취 편성의 대표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이 네 악기들은, 한나라의 황문고취(黃門鼓吹)와...
- 유형 :
- 개념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군례악 軍禮樂혹은 60명도 훨씬 넘는 큰 군악편대였다. 소취타는 대취타 편제에서 세악내취가 빠져 축소된 짜임새를 일컫는 것으로, 작으면 10여 명의 소편대도 가능하였다. 대체로 이와 같은 악기 편성법이 오늘날까지 전해지고 있으나 이름만 있고 전하지 않는 악기로 나(鑼), 큰 물소뿔로 만든 대각(大角), 주라(朱刺:붉게 칠한...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예술·체육/국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