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맹사성 孟思誠
    후세인들은 맹고불이라 하면 검은 등에 앉아 피리를 불고 있는 노인을 연상할 정도로 친근한 존재였다. 성격이 소탈했던 그는 외출할 때면 타기를 즐겼고 손수 악기를 만들어 연주했다. 집에 벼슬이 낮은 사람이 찾아와도 복장을 갖추고 예의를 다해 맞이했으며, 손님에게는 반드시 상석을 내줄 정도로 겸손했다...
    시호 :
    문정(文貞)
    호 :
    고불(古佛), 동포(東浦)
  • 문묘제례악 석전악, 文廟祭禮樂
    관련된다. 현행 문묘제례악에 쓰이는 악기의 특징을 보면 12율(12반음)만 낼 수 있는 악기(훈·약·슬·생)와 12율4청성(16반음)을 낼 수 있는 악기(편종·편경·지·)로 되어 있다. 문묘제례악은 『세종실록』 권137과 147, 그리고 『악학궤범』 권2에 악장과 함께 전해오며, 원나라 임우(林宇)의 『대성악보(大晟...
    성격 :
    제례음악
    유형 :
    작품
    분야 :
    예술·체육/국악
  • 대성아악 大晟雅樂
    중성 각 2, 에 정성·중성 각 2, 소생(巢笙)에 정성·중성 각 2, 화생(和笙)에 정성·중성 각 2, 훈에 정성·중성 각 2, 박부(搏拊) 2, 축(柷) 1, 어(敔) 1점 등이었다. 헌가악기는 편종 9, 편경 9, 금에 1현 5, 3현 13, 5현 13, 7현 16, 9현 16, 슬 42, 지에 정성·중성 각 24, 적에 정성·중성 각 24, 에 정성...
    시대 :
    고려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예술·체육/국악
  • 쇤베르크 악파의 중심인물, 안톤 베베른 Anton Friedrich Wilhelm von W..
    빠르게 자극적인 음을 연주한다. 제3곡은 오스트리아 산 속에서 울려 퍼지는 방울 소리를 연상시키는 곡이다. 북이 트레몰로를 연주하는 가운데 방울을 비롯한 여러 악기들이 트릴과 반복음을 연주한다. 제4곡에서는 여러 악기들의 음향이 여섯 마디 반의 짧은 시간 동안 그물 무늬처럼 펼쳐진다. 제5곡에서는 여러...
    출생 :
    1883년 12월 03일
    사망 :
    1945년 09월 15일
    국적 :
    오스트리아
    대표작 :
    〈현악 4중주를 위한 5악장〉, 〈5개의 관현악 소품〉 등
  • 찰현악기 Bowed string instrument, 擦弦楽器
    활로 마찰시켜 소리를 내는 현악기다. 지속음을 낼 수 있다는 점에서 발현악기와는 다르다. 가둘카(불가리아) 고큐(일본) 단니(베트남) 마두금(몽골) 바이올린족...비올라, 첼로, 콘트라베이스) 사랑기(인도) 사린다(북동인도, 파키스탄) 우(태국, 캄보디아, 라오스) 요우힉코(핀란드) 아기아루트(캐나다와 알래스카...
    도서 위키백과
  • 삼국 시대의 음악
    시대별로 중국의 음악을 받아들여 각국에 맞는 문화를 발전시켜 나갔다. 고구려의 음악은 안악 제3호분의 벽화를 통해 알 수 있다. 입고, , 북, 각, 요 등의 악기에 맞추어 노래를 부르는 그림과 거문고와 유사하게 생긴 현악기에 맞추어 춤을 추는 그림이 남아 있다. 고구려의 악기로는 약 14종 정도가 알려져 있는데...
  • 검은털 일본혀 소금구이 680엔 Kuroge Wagyu Joshio Tan..
    이하 "735엔 버전")〉을 편곡한 곡이다. "735엔 버전"은 비교적 부드럽고 조용하게 노래가 이어지는데, "680엔 버전"은 이에 비해 공격적이고, 강렬한 악기 소리를 들을 수 있다. 오오츠카 아이 본인에 의하면 가사는 "680엔 버전"을 먼저, 편곡은 "735엔 버전"을 먼저 제작했다고 한다. 대중들에게는 "680엔 버전"이...
    도서 위키백과
  • 단소 짧은 퉁소, 短簫
    유래와 역사 단소(短簫)는 ‘짧은 퉁소’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다. 고대에 (簫)는 봉소(鳳簫)나 배소(排簫)와 같이 여러 개의 관을 묶어 연주하는 편관(編管) 악기였으며, 단관(單管)으로 되어 있는 세로로 부는 관악기를 적(笛)이라 불렀다. 적은 그 길이에 따라 장적(長笛), 단적(短笛)이라 이름하였는데, 『체원초...
    시대 :
    조선
    유형 :
    물품
    분야 :
    예술·체육/국악
  • 황종척 黃鐘尺
    존재하지 않았다. 고려 예종(睿宗) 때에 송 휘종(宋徽宗)이 제악(祭樂)의 종(鍾)·경(磬) 각각 1가(架)와 금(琴)·슬(瑟)·생(笙)·우(竽)·화(和)·(簫)·관(管) 등 악기 각각 2부(部)씩을 보냈는데, 음율이 매우 정밀했다. 그러나 고려말 홍건적(紅巾賊)의 난에 종과 경을 제외한 악기가 모두 멸실되어 이후 제례악...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고취 鼓吹
    제3호고분의 벽화에서 볼 수 있다. 357년(고국원왕 27)에 건축된 이 고분의 벽화에 기마악대(騎馬樂隊)의 그림이 전하는데, 기마악대에서 사용한 악기들은 고(鼓), (簫), 가(笳) 또는 각(角), 요(鐃)의 네 가지였다. 4세기 당시 고취 편성의 대표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이 네 악기들은, 한나라의 황문고취(黃門鼓吹)와...
    유형 :
    개념
    분야 :
    예술·체육/국악
  • 군례악 軍禮樂
    혹은 60명도 훨씬 넘는 큰 군악편대였다. 소취타는 대취타 편제에서 세악내취가 빠져 축소된 짜임새를 일컫는 것으로, 작으면 10여 명의 편대도 가능하였다. 대체로 이와 같은 악기 편성법이 오늘날까지 전해지고 있으나 이름만 있고 전하지 않는 악기로 나(鑼), 큰 물소뿔로 만든 대각(大角), 주라(朱刺:붉게 칠한...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예술·체육/국악
  • 오노 히데유키 小野秀幸
    오노 히데유키(小野 秀幸, おの ひでゆき)는 코나미 디지털 엔터테인먼트 소속 게임 음악 작곡가이며, 혈액형은 O형이다. 주로 사용하는 악기는 기타, 베이스, 피아노 외에 트럼펫, 플루호른이 있다. 색소폰도 불 수 있으나, 본인은 "노후의 즐거움"을 위해 아직은 자신의 악곡에 색소폰 연주를 담당하지 않는다. (오노...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현재페이지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관련항목

멀티미디어1건

알프스 지방의 민속 악기인 알펜 호른. 소를 부르는 데 사용하기도 한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