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수수미꾸리 多帶後鰭花鰍
    생물 분류 수수미꾸리미꾸리의 일종이다. 한국의 고유종토막글
    도서 위키백과
  • 북방종개 Northern loach
    잉어목 기름종개과인 민물고기로 한국 고유종이며 중국, 몽고, 시베리아에도 분포한다. 우리나라에서는 강릉 남대천 이북의 동해로 유입하는 하천에 분포하며 수서곤충등을 섭식하는 잡식성이다.
    분류 :
    척추동물 > 조기어강 > 잉어목 > 기름종개과 > 기름종개속
    원산지 :
    아시아 (대한민국)
    서식지 :
    하천 중.하류에 모래가 깔린 바닥
    크기 :
    약 8cm ~ 10cm
    학명 :
    Cobitis granoei (NICHOLS)
    식성 :
    잡식
  • Misgurnus 미꾸리속
    "Weatherfish" and "weather loach" redirect here. The species Cobitis taenia is sometimes called "spotted weather loach". Misgurnus is a genus of loaches from Europe and Asia. Commonly known as weatherfishes or weather loaches, they are commonly eaten in Asia, while some have found their way into...
  • 기름종개 Chinese spined loach
    분류 :
    척추동물 > 조기어강 > 잉어목 > 기름종개과
    원산지 :
    아시아 (중국,대한민국)
    서식지 :
    모래가 깔린 하천의 중.상류 지역
    크기 :
    약 7cm ~ 15cm
    학명 :
    Cobitis sinensis (SAUVAGE and DABRYI)
    식성 :
    육식
  • 미꾸라지 Chinese weatherfish
    전 하천에 서식하며, 중국, 타이완 등에도 분포한다. 봄부터 가을까지 포획된다. 양식 대상종이며 추어탕 및 숙회 등의 요리 재료로 이용한다. 시장에서 미꾸리는 몸이 둥글다고 하여 동글이, 미꾸라지는 납작하다고 하여 납작이라고 구분하여 부르기도 한다. 형태 수염은 3쌍이며 가장 긴 수염은 동공의 4배 정도이다...
    분류 :
    척삭동물문 > 조기어강 > 잉어목 > 미꾸리과 > 미꾸리속
    서식지 :
    하천의 진흙바닥이나 농수로 등
    학명 :
    Misgurnus mizolepis Günther, 1888
    국내분포 :
    우리나라 전 하천
    해외분포 :
    중국, 대만 등
  • 고마리 조선꼬마리, Persicaria thunbergii
    한국과 중국, 일본, 러시아 극동부 등지에 분포하며, 한국에서는 전국 각지에서 발견할 수 있다. 종류 고마리와 유사한 종류로는 이삭여뀌, 며느리배꼽, 미꾸리낚시 등의 식물이 있다. 이삭여뀌는 고마리와 달리 식물 전체에 거친 털이 퍼져 나 있다는 특징이 있고, 미꾸리낚시의 경우 털은 없지만 갈고리 모양의 가시로...
    분류 :
    속씨식물 > 쌍떡잎식물강 > 마디풀목 > 마디풀과 > 여뀌속
    원산지 :
    아시아
    서식지 :
    들, 냇가
    크기 :
    약 1m
    학명 :
    Persicaria thunbergii
    꽃말 :
    꿀의 원천
  • 새코미꾸리
    형태, 축소된 구엽, 수컷 가슴지느러미의 골질반 등은 참종개속 물고기와 같은 특징을 보이고, 불규칙적인 구름 모양의 반점이 온 몸에 산재하고 있는 것은 미꾸리속 어류와 같은 특징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새코미꾸리는 이 두 속의 중간에 위치하는 독립된 속이라 생각되어 1997년 새로운 속으로 분류되었다. 우리...
    분류 :
    미꾸리과
    원산지 :
    대한민국
    서식지 :
    임진강 및 한강 수계
    출산시기 :
    5월∼6월
    성격 :
    동물, 민물고기
    유형 :
    동식물
    크기 :
    몸길이 15cm
    학명 :
    Koreocobitis rotundicaudata (Wakiya and Mori, 1929)
    분야 :
    과학/동물
  • 언덕집 북정점
    양산시 중앙로에 있는 언덕집 북정점은 100% 토종 자연산 미꾸리를 사용하는 추어탕 전문점이다. 하얀 기와로 단장한 언덕집은 북정 먹거리타운 입구에 있어 찾기 쉽다. 가게 앞에 전용 주차장이 있고, 넓은 내부엔 입식 테이블과 신발을 벗고 들어가는 입식, 좌식 테이블이 있다. 식당 한쪽에 미끄럼틀, 장난감, 오락기...
    위치 :
    경상남도 양산시 중앙로 278
  • 남원 추어탕 거리
    통째로 갈아 넣고 채소와 된장을 함께 끓여 내는 음식으로, 사계절 보양식으로 잘 알려져 있다. 남원 사람들은 아주 오랜 옛날부터 논두렁이나 수로에서 미꾸리를 잡아 보양식으로 즐겼다. 남원의 청정하고 기름진 땅에서 자란 토종 미꾸리로 만든 추어탕은 남원 지역 식당에 공급하기에도 부족하기 때문에 남원에서만...
    위치 :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천거동 (천거동)
  • 강중개 Misgurnus sp
    배쪽이 남색 계통이며 머리에 작은 암색 점들이 모여 있다. 주둥이가 길며 입은 그 끝이 아래쪽에 있고 입가에는 입수염이 5쌍 있다. 비늘은 작고 대부분 살갗에 덮여 있다. 강중개는 습성이 미꾸리·미꾸라지 등과 비슷한데, 연목의 얕은 진흙 속에 살며 호흡한다. 6월에서 7월 중순 사이에 산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분류 :
    척추동물 > 조기어강 > 잉어목 > 기름종개과
    원산지 :
    아시아 (대한민국)
    서식지 :
    강, 연못, 늪
    크기 :
    약 13cm ~ 20cm
    학명 :
    Misgurnus sp.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동물 , 어류 , 난생동물
  • 어류시리즈(네번째묶음) 자가사리
    우리나라 남부 이남 연해(야수, 부산, 제주도) 및 일본의 전연안, 남중국 연해에 분포하고 있으며 겉모양은 몸높이가 몹시 높으며 측편되어 있다. 2. 수수미꾸리(Cobitis multifasciata) 우리나라 낙동강 수계에서 밖에는 발견되지 않았고, 우리나라 특산어로서 그 분포의 범위가 매우 좁다. 맑은 물의 얕은 자갈밭의 돌...
    발행일 :
    1989.9.30
    발행량 :
    3000000
    종수 :
    4
    액면가격 :
    80원
    디자인 :
    자가사리
    우표번호 :
    1580
    인면 :
    33×23
    천공 :
    13
    전지구성 :
    5×4
    용지 :
    백색무투문지
    인쇄 및 색수 :
    그라비아 6도색
    디자이너 :
    김성실
    인쇄처 :
    한국조폐공사
    도서 한국우표 | 태그 문화 일반
  • 어류시리즈(네번째묶음) 돌돔
    우리나라 남부 이남 연해(야수, 부산, 제주도) 및 일본의 전연안, 남중국 연해에 분포하고 있으며 겉모양은 몸높이가 몹시 높으며 측편되어 있다. 2. 수수미꾸리(Cobitis multifasciata) 우리나라 낙동강 수계에서 밖에는 발견되지 않았고, 우리나라 특산어로서 그 분포의 범위가 매우 좁다. 맑은 물의 얕은 자갈밭의 돌...
    발행일 :
    1989.9.30
    발행량 :
    3000000
    종수 :
    4
    액면가격 :
    80원
    디자인 :
    돌돔
    우표번호 :
    1578
    인면 :
    33×23
    천공 :
    13
    전지구성 :
    5×4
    용지 :
    백색무투문지
    인쇄 및 색수 :
    그라비아 6도색
    디자이너 :
    김성실
    인쇄처 :
    한국조폐공사
    도서 한국우표 | 태그 문화 일반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현재페이지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없음

관련항목

멀티미디어1건

미꾸리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