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김희조 金熙祚단과 교향악단의 연주자로 활약하며 현장감을 익혔다. 서울 시립 교향악단 부지휘자, 육군본부 군악대장, KBS 스몰 오케스트라 상임지휘자, 서울시립국악관현악단 상임지휘자, 국립가무단 단장, 경희대학교 음악과 교수, 서울국악예고 서양음악 담당 강사, 서울예술대학 국악과 교수 등을 역임하였다. 작곡가, 지휘가로...
- 시대 :
- 현대
- 출생 :
- 1920년 11월 21일
- 사망 :
- 2001년 9월 4일
- 경력 :
- 서울시립국악관현악단 상임지휘자, 서울예술대학 국악과 교수
- 유형 :
- 인물
- 직업 :
- 작곡가
- 대표작 :
- 「창과 관현악 범피중류」, 『김희조 고희 기념 작ㆍ편곡집』(수서원, 1989)
- 성별 :
- 남자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본관 :
- 모름. 호는 춘봉(春峰)
-
김용만 金容萬우헌도곡(1992)」 등 협주곡과 합주곡, 실내악과 독주곡, 성악곡, 연극음악 등 다양한 형식의 작품을 남겼다. 특히 그가 시립국악관현악단의 지휘자로 있던 1988년에 처음으로 ‘국악성가의 밤’을 정기공연으로 연주하기 시작하였다. 그는 196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꾸준히 작품 활동을 계속하였으며, 그의 작품집...
- 시대 :
- 현대
- 출생 :
- 1947
- 사망 :
- 2003
- 경력 :
- 서울시립국악관현악단 지휘자
- 유형 :
- 인물
- 직업 :
- 작곡가, 지휘자
- 대표작 :
- 「해뜨는소리(1991)」, 「대마루 댓바람(1986)」등
- 성별 :
- 남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이강덕 李康德활동사항 1944년 양성소의 졸업과 동시에 이왕직 아악부 아악수가 되었으며, 광복 후 1959년부터 국립국악원 국악사로 재직하였다. 1968년에 서울시립국악관현악단 악장으로 취임했고 1987년 정년퇴임할 때까지 많은 작품을 남겼다. 정년 이후에도 1988년부터 청주시립국악관현악단 지휘를 맡았고, 1991년부터 충주시립...
- 시대 :
- 현대
- 유형 :
- 인물/근현대 인물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전북도립국악원 全北道立國樂院6월 국악단 창단공연(창극 「심산의 별들」외), 1990년 12월 창무극「하늘이여 땅이여」(서울 호암아트홀), 1991년 6월 영호남문화교류「국악합동연주회」부산시립국악관현악단 초청공연, 1992년 11월 제2회 한국민속음악제 「전라도의 흥과 소리」(KBS 공개홀), 1993년 2월 제14대 김영삼대통령 취임 경축공연 「우리의...
- 시대 :
- 현대
- 유형 :
- 단체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국립전통예술고등학교법인 국악학원으로 조직변경 1984년 12월 17일 : 서울국악예술고등학교 교명 변경 1992년 10월 29일 : 금천구 시흥3동 신축교사로 이전 1998년 7월 : 국악예술학교 부설 '국악관현악단' 창설 2003년 3월 2일 : 기숙사 ‘향사생활관’ 개관(272명 수용) 2005년 10월 29일 : 도서관 ‘기산서관’ 개관 2008년 3월 1...도서 위키백과
-
한만영 韓萬榮학사 및 석사학위를 취득하였다. 1969년부터 1991년까지 서울대 전임강사, 조교수, 부교수, 교수를 역임하였다. 또한 1974년부터 1975년까지 서울시립국악관현악단 단장을, 1983년부터 1985년까지 국립국악원 제6대 원장을 겸임하기도 하였다. 1984년부터 1988년까지 유네스코 한국위원을 지냈고, ’86 아시안게임과...
- 시대 :
- 현대
- 유형 :
- 인물/근현대 인물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홍원기 洪元基장진주사 연구」로 석사학위를 받았고, 역시 건국대학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1962년 동아일보사 주최 전국 명인명창대회에 출연했고, 1965년에는 서울시립국악관현악단에 입단하여 9년 동안 작곡 담당과 악장, 지휘자 등을 지냈다. 당시 작곡한 음악으로 「망향」 · 「회상」 · 「산장의 밤」 등이 있다. 방송 경력...
- 시대 :
- 현대
- 유형 :
- 인물/근현대 인물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