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한국음악 Korean music
    전해 와서 순음악으로 보존되고 있고 음악회에서 연주하고 있다. 국악고등학교·서울대학교 국악과·이화여대 국악과·한양대학교 국악과와 서울시립 국악 관현악단에서도 순음악으로 연주하고 있다. 예전에 대갓집 사랑에서 성행하던 이른바 율방(律房)은 거의 자취를 감추었고 정악전습소(正樂傳習所)와 이왕직 아악부...
    도서 위키백과
  • 국악한마당
    10월 31일 3.3% 1097회 2015년 11월 7일 4.2% 1098회 2015년 11월 14일 3.2% 1099회 2015년 11월 21일 2.6% 1100회 2015년 11월 28일 3.2% 1101회 2015년 12월 5일 3.2% 1102회 2015년 12월 12일 3.1% 1103회 2015년 12월 19일 3.6% 1104회 2015년 12월 26일 3.2% KBS 국악대상 KBS 국악관현악단 국악의 향기 KBS 1TV
    도서 위키백과
  • 김희조 金熙祚
    단과 교향악단의 연주자로 활약하며 현장감을 익혔다. 서울 시립 교향악단 부지휘자, 육군본부 군악대장, KBS 스몰 오케스트라 상임지휘자, 서울시립국악관현악단 상임지휘자, 국립가무단 단장, 경희대학교 음악과 교수, 서울국악예고 서양음악 담당 강사, 서울예술대학 국악과 교수 등을 역임하였다. 작곡가, 지휘가로...
    시대 :
    현대
    출생 :
    1920년 11월 21일
    사망 :
    2001년 9월 4일
    경력 :
    서울시립국악관현악단 상임지휘자, 서울예술대학 국악과 교수
    유형 :
    인물
    직업 :
    작곡가
    대표작 :
    「창과 관현악 범피중류」, 『김희조 고희 기념 작ㆍ편곡집』(수서원, 1989)
    성별 :
    남자
    분야 :
    예술·체육/국악
    본관 :
    모름. 호는 춘봉(春峰)
  • KBS 국악대상 KBS 국악대상
    12월 하순에 열리는 국악 전문 시상식 프로그램이다. 대상 부문은 1987년부터 시상하기 시작했다. 연도 수상자 1987년 안숙선 1988년 성우향 1989년 중앙국악관현악단 1990년 김혜란 1991년 김일구 1992년 조창훈 1993년 이상규 1994년 김혜란 1995년 김영임 1996년 김호성 1997년 박인기 1998년 한국창작음악연구회...
    도서 위키백과
  • 김용만 金容萬
    우헌도곡(1992)」 등 협주곡과 합주곡, 실내악과 독주곡, 성악곡, 연극음악 등 다양한 형식의 작품을 남겼다. 특히 그가 시립국악관현악단의 지휘자로 있던 1988년에 처음으로 ‘국악성가의 밤’을 정기공연으로 연주하기 시작하였다. 그는 196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꾸준히 작품 활동을 계속하였으며, 그의 작품집...
    시대 :
    현대
    출생 :
    1947
    사망 :
    2003
    경력 :
    서울시립국악관현악단 지휘자
    유형 :
    인물
    직업 :
    작곡가, 지휘자
    대표작 :
    「해뜨는소리(1991)」, 「대마루 댓바람(1986)」등
    성별 :
    분야 :
    예술·체육/국악
  • 민속악회시나위
    민속악을 왕성히 연주함으로써 국악계는 물론 사회적인 관심을 모아왔다. 이 단체를 통해 '김덕수 사물놀이패'가 탄생되었고 최초의 순수 민간 국악관현악단인 중앙국악관현악단이 탄생했으며, 〈신모듬〉의 작곡가 박범훈 등을 비롯한 뛰어난 음악가들이 배출되었다. 민속악회시나위는 전통을 어떻게 현대화시킬 것인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음악
  • 이강덕 李康德
    활동사항 1944년 양성소의 졸업과 동시에 이왕직 아악부 아악수가 되었으며, 광복 후 1959년부터 국립국악원 국악사로 재직하였다. 1968년에 서울시립국악관현악단 악장으로 취임했고 1987년 정년퇴임할 때까지 많은 작품을 남겼다. 정년 이후에도 1988년부터 청주시립국악관현악단 지휘를 맡았고, 1991년부터 충주시립...
    시대 :
    현대
    유형 :
    인물/근현대 인물
    분야 :
    예술·체육/국악
  • 전북도립국악원 全北道立國樂院
    6월 국악단 창단공연(창극 「심산의 별들」외), 1990년 12월 창무극「하늘이여 땅이여」(서울 호암아트홀), 1991년 6월 영호남문화교류「국악합동연주회」부산시립국악관현악단 초청공연, 1992년 11월 제2회 한국민속음악제 「전라도의 흥과 소리」(KBS 공개홀), 1993년 2월 제14대 김영삼대통령 취임 경축공연 「우리의...
    시대 :
    현대
    유형 :
    단체
    분야 :
    예술·체육/국악
  • 국립전통예술고등학교
    법인 국악학원으로 조직변경 1984년 12월 17일 : 서울국악예술고등학교 교명 변경 1992년 10월 29일 : 금천구 시흥3동 신축교사로 이전 1998년 7월 : 국악예술학교 부설 '국악관현악단' 창설 2003년 3월 2일 : 기숙사 ‘향사생활관’ 개관(272명 수용) 2005년 10월 29일 : 도서관 ‘기산서관’ 개관 2008년 3월 1...
    도서 위키백과
  • 한만영 韓萬榮
    학사 및 석사학위를 취득하였다. 1969년부터 1991년까지 서울대 전임강사, 조교수, 부교수, 교수를 역임하였다. 또한 1974년부터 1975년까지 서울시립국악관현악단 단장을, 1983년부터 1985년까지 국립국악원 제6대 원장을 겸임하기도 하였다. 1984년부터 1988년까지 유네스코 한국위원을 지냈고, ’86 아시안게임과...
    시대 :
    현대
    유형 :
    인물/근현대 인물
    분야 :
    예술·체육/국악
  • 홍원기 洪元基
    장진주사 연구」로 석사학위를 받았고, 역시 건국대학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1962년 동아일보사 주최 전국 명인명창대회에 출연했고, 1965년에는 서울시립국악관현악단에 입단하여 9년 동안 작곡 담당과 악장, 지휘자 등을 지냈다. 당시 작곡한 음악으로 「망향」 · 「회상」 · 「산장의 밤」 등이 있다. 방송 경력...
    시대 :
    현대
    유형 :
    인물/근현대 인물
    분야 :
    예술·체육/국악
  • 황병기 黃秉冀
    다시 한 번 음악계의 이목을 끌었다. 그는 음악관련 기관과 단체에서도 활발하게 활동했는데, 문화재전문위원, 작곡가협회 이사를 역임했으며. 국립국악관현악단 예술감독, 백남준문화재단 이사장, 아르코(ARKO) 한국창작음악제 추진위원장 등을 역임했다. 1985~1986년에는 미국 하버드 대학교에서 객원 교수로 국악의...
    출생 :
    1936. 5. 31, 서울
    사망 :
    2018. 1. 31, 서울
    국적 :
    한국
    직업 :
    국악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음악가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현재페이지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건

서울시립국악관현악단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