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맥문동 겨우살이풀, 麥門冬특징 땅속줄기가 흰색 덩어리로 되기도 하는데, 봄·가을에 캐서 껍질을 벗긴 다음 햇볕에 말린 것을 맥문동이라고 하여 한방에서 강장·진해·거담제·강심제로 쓰고, 식용하기도 한다. 개맥문동은 맥문동과 비슷하나 잎맥의 수가 7~11개로 11~15개의 맥이 있는 맥문동과 구별된다. 개맥문동의 뿌리도 맥문동의 뿌리...
- 분류 :
- 속씨식물 > 외떡잎식물강 > 백합목 > 백합과
- 원산지 :
- 아시아 (일본,대한민국,대한민국,중국)
- 서식지 :
- 그늘진 곳
- 크기 :
- 약 30cm ~ 50cm
- 학명 :
- Liriope platyphylla F.T.Wang & T.Tang
- 꽃말 :
- 겸손, 인내
- 용도 :
- 약용, 보양식, 양조용, 차용
-
디기탈리스 심장풀, Digitalis purpurea다치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 이는 잎자루에 수분이 많아 잎이 마르는 것을 더디게 할 뿐만 아니라 유효성분이 분해되는 것을 막기 때문이다. 잎은 보통 4월부터 시작하여 6월까지 딴다. 말린 잎은 강심제 및 이뇨제로 쓴다. 꽃송이가 화려하여 관상용으로도 인기가 좋으며, 식물원이나 꽃박람회 등에서 자주 볼 수...
- 분류 :
- 속씨식물 > 쌍떡잎식물강 > 통화식물목 > 현삼과
- 원산지 :
- 유럽
- 서식지 :
- 따뜻한 기후의 모래참흙
- 크기 :
- 약 1m
- 학명 :
- Digitalis purpurea
- 꽃말 :
- 열애, 나는 애정을 숨길 수가 없습니다, 비성실, 화려
-
은방울꽃 오월화, Convallaria keiskei달린 것 같다. 생태 나무 아래 반그늘지고, 배수가 잘되는 부식질 토양에서 잘 자란다. 산지의 숲 속에서 흔히 볼 수 있다. 활용 꽃과 잎 모양, 열매가 아름답고 향기도 좋아 관상용으로 많이 심는다. 식물 전체나 뿌리줄기를 말린 영란은 한방에서 강심제나 이뇨제로 사용한다. 최근에는 고급 향수의 원료로도 사용된다...
- 분류 :
- 속씨식물 > 외떡잎식물강 > 아스파라거스목 > 은방울꽃과 > 은방울꽃속
- 원산지 :
- 아시아 (대한민국,일본,중국)
- 서식지 :
- 산지
- 크기 :
- 약 25cm ~ 35cm
- 학명 :
- Convallaria keiskei Miq.
- 꽃말 :
- 행복이 돌아옴, 희망, 섬세함, 순애
-
하늘말나리 소근백합(小芹百合)약용한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죽을 쑤어 사용한다. 또한 술을 담가서도 쓴다. 효능 주로 호흡기 질환과 각종 염증을 다스린다. 관련질병: 각혈, 강심제, 강장보호, 구역증, 기관지염, 동통, 보기, 보폐·청폐, 신경불안, 신경쇠약, 오장보익, 유방발육부전, 유방염, 종기, 중독, 진정, 토혈, 폐렴, 해수...
- 학명 :
- Lilium tsingtauense
- 분포지역 :
- 전국 각지
- 자생지역 :
- 산과 들
- 번식 :
- 실생, 비늘줄기
- 약효 부위 :
- 비늘줄기
- 생약명 :
- 백합(百合)
- 키 :
- 1m 정도
- 과 :
- 백합과
- 생활사 :
- 여러해살이풀
- 채취기간 :
- 가을
- 취급요령 :
- 날것 또는 햇볕에 말려 쓴다.
- 특징 :
- 평온하고 달며 약간 쓰다.
- 독성여부 :
- 없다.
- 1회 사용량 :
- 10~12g
- 주의사항 :
- 오래 써도 무방하다.
- 동속약초 :
- 말나리·하늘나리의 비늘줄기
-
협죽도 홍화협죽도, 夾竹桃꽃밥 끝에 털이 달린 실 같은 부속체가 있다. 열매는 골돌, 선형, 길이 10cm 정도이다. 씨에 연한 갈색 털이 밀생한다. 생태 꽃은 7-8월에 핀다. 이용 관상용으로 심으며, 수피와 뿌리는 강심제로 약용한다. 해설 마삭줄속(Trachelospermum)에 비해 직립하는 목본이고 잎은 돌려난다. 한반도 생물자원 포털(현진오...
- 분류 :
- 현화식물문 > 목련강 > 용담목 > 협죽도과 > 협죽도속
- 서식지 :
- 민가 주변(식재)
- 학명 :
- Nerium indicum Mill.
- 국내분포 :
- 남부지방(식재)
- 해외분포 :
- 인도
-
연꽃 연실(蓮實), 蓮꽃생지황·건지황·숙지황)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를 쓰지 않는다. 효능 주로 신경계·순환계·이비인후과 질환을 다스린다. 관련질병: 각혈, 강심제, 강장보호, 강정제, 건망증, 건위, 고혈압, 구내염, 구토, 근골위약, 기관지염, 노이로제, 다몽, 당뇨병, 대하증, 동상, 명목, 몽설, 방광염, 백전풍...
- 학명 :
- Nelumbo nucifera
- 분포지역 :
- 전국 각지
- 자생지역 :
- 늪, 연못, 방죽
- 번식 :
- 분근·씨
- 약효 부위 :
- 뿌리(연근)·씨·잎
- 생약명 :
- 석련자(石蓮子)
- 키 :
- 1~2m
- 과 :
- 수련과
- 생활사 :
- 여러해살이풀(수생식물)
- 채취기간 :
- 가을(씨), 9월~이듬해 3월(뿌리)
- 취급요령 :
- 날것(뿌리) 또는 말려(열매) 쓴다.
- 특징 :
- 평온하며, 달고 떫다.
- 독성여부 :
- 없다.
- 1회 사용량 :
- 씨 2~4g, 뿌리 20~35g
- 주의사항 :
- 많이 먹어도 몸에 해롭지 않다.
-
백선 백양피, 白鮮것이 특징이다. 활용 관상식물 활용된다. 약재로 쓸 수도 있는데, 가을에 뿌리의 겉껍질을 벗겨 햇볕에 말린 것을 ‘백선피’라고 하여 한방에서 해독·황달·강심제로 사용한다. 흔히 '봉삼'이라고 알려져 있다. 약성이 강하여 간장에 큰 독이 될 수 있으므로 오남용은 금기이며, 약재로 사용할 때에는 반드시 자격이...
- 분류 :
- 속씨식물 > 쌍떡잎식물강 > 쥐손이풀목 > 운향과
- 원산지 :
- 아시아 (대한민국,일본,중국)
- 서식지 :
- 산기슭
- 크기 :
- 약 50cm ~ 90cm
- 학명 :
- Dictamnus dasycarpus
- 꽃말 :
- 방어
-
참골담초 조선골담초, Manchurian peashrub5개로 얕게 갈라진다. 열매는 협과, 납작하다. 생태 낙엽 떨기나무이다. 꽃은 4-5월에 피고 열매는 9-10월에 성숙한다. 이용 관상용, 전초는 약용(이뇨제, 강심제, 진통제) 해설 최근에 남한에서 자생지가 확인된 한국특산식물이다. 2007년에 국립수목원에 의해서 강원지역에서 분포가 확인되었으며, 이후 2010년에 국립...
- 분류 :
- 현화식물문 > 목련강 > 콩목 > 콩과 > 골담초속
- 서식지 :
- 석회암지대 산지
- 꽃색 :
- 노랑빛을 띤 붉은색
- 크기 :
- 높이 약 2m
- 학명 :
- Caragana koreana Nakai
- 분포지역 :
- 한국(강원, 황해도, 평남)
- 개화기 :
- 5월
-
차나무 아차(芽茶), 茶나무쓸 때는 차로 마실 때보다 약간 진하게 달여 사용한다. 효능 주로 심장 질환과 소화기 질환을 다스리며, 피로 해소에 효험이 있다. 관련질병: 간염(급성간염), 강심제, 결막염, 고혈압, 구내염, 권태증, 기관지염, 당뇨병, 대변불통, 두통, 변비, 불면증, 비만증, 설사, 소갈증, 소화불량, 수종(심장성 수종), 심번...
- 분류 :
- 상록 활엽 관목
- 학명 :
- Thea sinensis
- 분포지역 :
- 전남, 경남
- 자생지역 :
- 경사지에 재배
- 번식 :
- 꺾꽂이·분주·접목
- 약효 부위 :
- 잎·뿌리·열매
- 생약명 :
- 차엽(茶葉)
- 키 :
- 자생 2~3m, 재배 50~100cm
- 과 :
- 차나뭇과
- 채취기간 :
- 수시(뿌리), 3월 하순(잎), 10월(씨)
- 취급요령 :
- 햇볕에 말려 쓴다.
- 특징 :
- 서늘하며, 달고 쓰다.
- 독성여부 :
- 없다
- 1회 사용량 :
- 0.5~1.0g
- 주의사항 :
- 오래 써도 몸에 이롭다.
-
오갈피나무술을 담그면 좋다. 복용 중에 현삼이나 뱀 껍질을 금한다. 효능 주로 순환계·신경계·운동계 질환을 다스리며, 건강 생활에 유용하다. 각기, 강근골, 강심제, 강장보호, 강정제, 건망증, 골증열, 관절염, 구안와사, 근골동통, 근골무력증(근골(跟骨)을 못 펼 때), 냉병, 당뇨병, 동맥경화, 보간·청간, 보신·보익...
- 분류 :
- 낙엽 활엽 관목
- 학명 :
- Acanthopanax sessiliflorus
- 분포지역 :
- 전국 각지
- 자생지역 :
- 깊은 산골짜기의 반그늘
- 번식 :
- 분주·씨
- 약효 부위 :
- 나무껍질·뿌리
- 생약명 :
- 오가피(五加皮)
- 키 :
- 3~4m
- 과 :
- 두릅나뭇과
- 채취기간 :
- 여름~가을
- 취급요령 :
- 햇볕에 말려 쓴다.
- 특징 :
- 따뜻하며, 맵다.
- 독성여부 :
- 없다.
- 1회 사용량 :
- 나무껍질·뿌리 5~8g
- 주의사항 :
- 장기간 복용해도 무방하다.
- 동속약초 :
- 서울오갈피·섬오갈피
-
골담초 금작근(金雀根), 骨擔草하거나 술을 담가 사용한다. 흔히 내환(內患) 등의 통증에 쓰인다. 효능 주로 순환계·신경계 질환에 효험이 있으며, 운동계의 통증을 다스린다. 관련질병: 각기, 강심제, 견인통, 고혈압, 골절번통, 골절증, 관상동맥질환, 관절염, 근육통, 담, 대하증, 동맥경화, 류머티즘, 변형성관절증, 상완신경통, 설사, 신경통...
- 분류 :
- 낙엽 활엽 관목
- 학명 :
- Caragana sinica
- 분포지역 :
- 경기 이남
- 자생지역 :
- 마을 부근 식재
- 번식 :
- 분주
- 약효 부위 :
- 뿌리껍질
- 생약명 :
- 골담초(骨擔草)
- 키 :
- 2m 정도
- 과 :
- 콩과
- 채취기간 :
- 연중
- 취급요령 :
- 날것 또는 햇볕에 말려 쓴다.
- 특징 :
- 평온하며, 쓰고 맵다.
- 독성여부 :
- 약간 있다.
- 1회 사용량 :
- 뿌리껍질 4~6g
- 주의사항 :
- 너무 많이 쓰면 이롭지 않다.
- 동속약초 :
- 반용골담초·좀골담초·참골담초
-
질경이 차전초혈증에 즙을 내어 5~6회 복용한다. 술을 담가서도 쓴다. 효능 주로 비뇨기·호흡기 질환을 다스린다. 관련질병: 가슴답답증, 각기, 간경변증, 간염, 감기, 강심제, 고혈압, 곽란, 관절염(화농성관절염), 관절통, 구열, 구충, 구토, 금창, 기관지염, 난산, 냉한, 뇌기능장애, 뇌일혈, 늑막염, 담, 독창(백독창), 동맥경화...
- 학명 :
- Plantago asiatica
- 분포지역 :
- 전국 각지
- 자생지역 :
- 들, 빈터, 길가, 풀밭, 인가 주변
- 번식 :
- 씨
- 약효 부위 :
- 온포기·씨
- 생약명 :
- 차전자(車前子)
- 키 :
- 10~50cm
- 과 :
- 질경잇과
- 생활사 :
- 여러해살이풀
- 채취기간 :
- 6~9월
- 취급요령 :
- 그늘에 말려 쓴다.
- 특징 :
- 차며, 달고 짜다.
- 독성여부 :
- 없다.
- 1회 사용량 :
- 온포기·씨 4~8g
- 주의사항 :
- 많이 먹어도 무방하다.
- 동속약초 :
- 왕질경이·털질경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