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김용재 김준, 金容宰
    金卜乭) 등의 이명을 사용하였다. 1919년 만세운동 후 만주로 넘어갔다. 1920년 헤이룽장성(黑龍江省) 냐오윈현(鳥雲縣) 페이다둔(倍達屯)에서 조직된 애국청년혈성단(愛國靑年血誠團)에 가입하여 서무부에서 활동하였다. 그 후 난징(南京)으로 옮겨가 의열단(義烈團)에 가입하였다. 1926년 의열단의 노선이 의열투쟁...
    출생 :
    1896년, 전라남도 담양(潭陽)
    사망 :
    1945년 12월
    주요활동 :
    1920년 만주 애국청년혈성단 활동, 이후 의열단 활동, 1930년대 조선혁명간부학교 교관, 1935년 민족혁명당 가입, 1940년 조선의용대 대원, 1942년 한국광복군 입대
    포상훈격 :
    1977년 건국훈장 독립장
    관련 인물/단체 :
    의열단, 민족혁명당, 광복군 제1지대
  • 남극 남성극, 南極
    李範允)의 사위로 1908년 이범윤 의병부대에 속하여 부대의 행동시찰을 위해 이만에서 블라디보스토크 ・ 추풍(秋豊) 지방 등으로 근거지를 옮겨 다녔다. 혈성단(血誠團) ・ 신민단(新民團) ・ 대진단(大震團) 등 9개 단체의 일부 대표 인사들이 대한독립군단(大韓獨立軍團)을 재조직하기 위해 이범윤을 임시 단장으로...
    출생 :
    1881년, 함남
    사망 :
    미상
    관련 사건 :
    흥륭진 전투
    주요활동 :
    1922년 대한독립군단 심사위원부 부원과 1925년 신민부 참의원으로 활동, 1927년 흥륭진에서 붙잡혀 옥고를 치름
    포상훈격 :
    2013년 건국훈장 애족장
    관련 인물/단체 :
    대한독립군(대한독립군단), 신민부, 부여족통일회의
  • 마정덕 마문관, 馬正德
    洞), 휘봉동(揮鳳洞))이다. 야단은 1919년 만세운동 직후 동불사(銅佛寺)에 본부를 두고 설립되었고, 청산리대첩 이후 광복단(光復團) ・ 의군부(義軍府) ・ 혈성단(血誠團) 등 독립운동 단체들과 대한독립군단(大韓獨立軍團)으로 통합되었다. 임대성(林大聖)을 회장으로 남홍윤(南鴻允)을 단장으로 조직된 야단에서...
    출생 :
    1888년, 함북 무산(茂山)
    사망 :
    미상
    주요활동 :
    1920년 중국 지린성 허룽현에서 야단에 가입하고 통신원으로 활동
    포상훈격 :
    2012년 건국훈장 애국장
    관련 인물/단체 :
    야단
  • 김덕윤 金德潤
    한국에 주둔한 19사단을 중심으로 대규모 일본군을 투입하는 대토벌을 벌였다. 이에 북간도의 대한군정서 ・ 대한독립군 ・ 대한국민군 ・ 대한신민회 ・ 혈성단 ・ 군무도독부 등 대다수 독립군단은 일본군의 토벌을 피해 북만주 밀산(密山)으로 향하였고, 일부는 백두산 방면으로 향하였다. 밀산에 집결한 독립군단들...
    출생 :
    1894년, 함경북도 명천(明川)
    사망 :
    미상
    주요활동 :
    1921년 간도와 러시아령에서 활동, 1923년 무정단(武政團) 가입, 무정단 제1대에 소속 안툰(安圖)ㆍ허룽(和龍) 양현을 중심으로 군자금 모집 활동
    포상훈격 :
    2015년 건국훈장 애국장
    관련 인물/단체 :
    무정단
  • 군무도독부
    지린성 왕칭현 봉오동에서 일어난 봉오동 전투는 홍범도 장군이 이끈 대한독립군, 안무가 이끈 국민회군, 최진동이 이끈 군무도독부가 결성하며 만들어낸 승리의 전투입니다. 최진동 서로군정서(1919.5) 북로군정서(1919.12) 삼둔자 전투(1920.6) 봉오동 전투(1920.6) 청산리 대첩(1920.10) 혈성단(1920.11) 군무도독부
    도서 위키백과
  • 구길서 具吉書
    元)과 조종서(趙鍾瑞), 잡화상 최봉학(崔奉學), 그리고 문무현(文武鉉)이 주도적으로 준비하였다. 3월 23~24일경 조명원 집에 모인 조종서 ・ 최봉학 등은 ‘혈성단(血誠團)’을 조직하고 3월 28일을 기해 독립 만세를 외치기로 결의하였다. 네 사람은 구한국기(舊韓國旗)와 격문 등을 함께 만들며 시위를 준비하였다...
    출생 :
    1896년 12월 12일, 경기도 부천(富川)
    사망 :
    1971년 12월 3일
    주요활동 :
    1919년 3월 28일 경기도 부천군 용유면 관청리 3・1운동 참여
    포상훈격 :
    1996년 대통령표창
  • 대한독립군단
    지청천) 대한국민회 (구춘선, 이명순) 대한신민단 + 군비단 (의군부 잔여부대, 김홍일) 광복단 의 직함을 가졌던 김성륜이 단의 실제 책임을 맡았다. 혈성단 (김국초) 군무도독부 (최진동) 야단 (아소래) 대한정의군정사 (이규) 의민단 (방우룡) 자유시에 간 부대 박두희 : 밀산 → 이만 → 북만주로 회군 기타 부대...
    도서 위키백과
  • 박덕실 청천덕자, 朴德實
    활동에 앞장섰다. 1919년 9월 광림학교 교사였던 강우석(姜佑錫)과 진주교회 서기 홍수원(洪秀瑗)은 국권 회복을 목표로 임시정부 지원과 청년 규합을 위해 혈성단(血誠團) 조직을 논의하였는데, 10월 11일 밤 두 사람이 통영의 교회학교 교사 여병섭(吕炳燮)과 이후의 활동을 논의할 때 자택을 회의장으로 제공하기도...
    출생 :
    1901년 3월 4일, 경남 진주(晋州)
    사망 :
    1971년 3월 1일
    관련 사건 :
    대한민국애국부인회 사건
    주요활동 :
    1919년 대한민국애국부인회 진주지부장과 대한적십자회 진주지부 회원, 1928년 근우회 진주지회 위원
    포상훈격 :
    2018년 대통령표창
    관련 인물/단체 :
    혈성단, 대한민국애국부인회, 근우회
이전페이지 없음 1 2 현재페이지3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1건

혈성단 조직 관련 일제 측 보고(1920. 11. 13)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