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다. 이것을 미식적 정류균열이라 한다. 따라서 피로한도는 균열진전한계응력으로 간주할 수가 있다. 피로한도는 어느정도의 강도레벨까지는 인장강도, 항복점 굳기에 비례하여 증대한다. 그러나 충격치와는 그다지 상관이 없다. 또 일반적으로 피로한도는 응력진폭으로 표시하고, 양진(평균응력=0, 응력비=-1)의 결과...
102회의 반복정도 하의 반복수로 파괴하는 피로현상을 저사이클 피로 혹은 저반복수피로라고 한다. 기계, 구조물의 부재가 항복점을 넘는 응력이나 변형을 반복해서 받는 경우에 저사이클 피로가 문제가 된다. 따라서 소성피로(plastic fatigue)라고도 부른다. 저사이클 피로특성은 편진 하중 제어 혹은 양진변위(변형...
페라이트 중에 소량의 마르텐사이트를 분산시킨 조직의 강으로, 그 특징은 인장시험에서 명료한 강복점을 나타내지 않고, 동일 인장강도에서 비교한 경우 항복점이 낮고 신장이 큰 것 등이다. 자동차용의 고장력강판으로서 개발되고, 프레스 가공성이 뛰어나다. 제조방법은 최초는 Ac1와 Ac3의 중간 이상혼합 온도역으로...
대표적인 것에는 암슬러만능시험기로 암슬러식 진자동력계를 설비하고 진자의 각변위에 따라서 하중을 측정하는 방식의 것으로 하중→신율선도를 묘사하고, 항복점, 인장하중의 측정에 편리하다. 이것 이외에 하중용실린더의 유압을 브르동관압력계에서 직접 측정하는 방식으로 시험편에 가한 하중을 금속다이어프램에...
연강 등을 항복점을 넘어서 잡아당긴 후 하중을 제거하고 즉시 재부하하면 항복현상이 나타나지 않는데 재부하후 장시간 방치한 후 재부하하면 다시 항복현상이 나타난다. 이와같이 상온가공한 재료가 시간의 경과와 함께 경화하는 현상을 말한다. 이와같은 변형 시효는 체심입방 철중의 탄소 혹은 질소원자의 크기에...
냉간 단조에 의하여 기계적 성질이 향상된 강으로 전후의 성질을 비교하면 항복점 23→40kgf/mm2, 인장강도 35~38→50~65kgf/mm2, 연신율 30→10%, 단면수축 60→40%, 경도 100→190HB, 성분은 Co 1% 이하, Si 0.03~0.7, Mn 0.2-0.4, 용도는 자동차 부품 등 정보 가공품에 널리 사용된다.
시험편이 항복을 개시하고, 일정응력으로 소성변형이 보이는 범위에서의 서험편의 표면에 나타내는 육안적으로 보이는 규칙 정연한 줄무니모양의 변형부∙항복점에서 응력강하가 보일 때는 류티스띠의 형성이 보인다. 처음에 시험편을 가로질러 급속히 성장하고, 이어서 대를 확대하도록 성장한다. 하항복점은 류더스대를...
하중의 성질이나 재료의 성질에 응용하는 것으로 인장강도, 항복점, 피로한도, 크리프한도 등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안전율 S의 값은 하중 견적의 불확실성, 응력계산의 근사성, 재료의 불균일성 공작정도나 예상하는 부식마모 작용 요구하는 수명을 고려하여 정한다. S=σs/σa으로 정의하는 수치 S>|1은 안전율이라...
의 이론식의 적용범위 밖에 있는 짧은 기등의 소성적인 좌굴에 대한 실험식의 하나이다. 압축응력을 σB' 상당세장비 le/i=λ σB'=σYC(1-σYCλ2/4π2E) σYC=압축항복점 응력으로 이 포물선은 오일러 좌굴 1/2 응력의 곡선과 σB'=σYC/2, λ=2π(EBYC)으로 점섬한 것으로 이 λ 이하의 짧은 기등에 대하여 적용된다.
요소이고, 코스트 면에서 봐도 그 영향은 크다. 예를 들면, 차체의 강성·강도를 향상시키려고 할 때 단순히 말하면 두께를 높이면 효과는 크다(재료 역학적인 면에서 봐도, 두께를 늘리면 항복점 강도가 올라가고, 강도향상에 기여함). 반면 코스트 업으로 이어지므로 개발단계부터 설계품질의 빠짐없는 평가가 중요.
강재 인장시험에 있어서 하중이 항복점(降伏点)을 넘으면 시험편(試驗片)의 단면 일부가 급격히 줄어드는 형상을 말한다. 줄어드는 진행에 의해 부담 하중은 줄지만, 시험편은 파단(破斷)한다. 특히 금속이나 수지 품이 주조, 다이캐스팅, 수지성형 등의 제조과정에서 냉각 한 때, 일부가 줄어드는 현상도 국부수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