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트리비얼리즘 Trivialism, 瑣碎論
    않고, 사소한 문제를 상세하게 설명하려는 태도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자연주의적 예술에서 필요 이상의 묘사가 많은 경우에 이를 경멸하여 이르는 말이다. ‘평범한, 통속적인, 진부한’이라는 뜻의 라틴어 ‘트리 비알 리스(Trivialis)에서 유래했는데, 쇄말주의(瑣末主義)라고도 한다. 이중사고 운명론 배중률 일원론
    도서 위키백과
  • 가곡 Lied, 歌曲
    가곡은 통속가곡에 대하여 예술가곡이라 구별하게 되었으며, 각각 로망스, 멜로디라는 별칭을 가지게 되었다. 가곡을 좀더 자세히 역사적으로 관찰하면, 가곡이 정돈된 음악형식으로 일단 완성을 본 14세기 이후 르네상스 음악기까지 프랑스에서는 발라드나 샹송, 이탈리아에서는 마드리갈의 형으로 크게 발전하였으며...
    도서 위키백과
  • 소환술 Evocation, 召喚魔術
    둘은 통속적인 서적에서는 「소환마술」이라고 일괄로 되기도 하지만, 본래는 「의식마술」이라는 괄리안의 다른 기법이다. 그렇지만, 일본에서 이 용어법은 주로 황금의 새벽 유파의 의식식 마술이나 그 파생인 알레이스터 크로울리계의 마술에서 통용되고 있는 것이며, 그 이외의 분야에서는 「소환」의 말만 이용되는...
    도서 위키백과
  • 칠죄종 Seven deadly sins, 七つの大罪
    한국어 라틴어 영어 교만 lang lang 인색 lang lang 시기(질투) lang lang 분노 lang lang 음욕 lang lang 탐욕 lang lang 나태 lang(중세에는 lang) lang 머릿글자를 모아 SALIGIA로 줄여 사용하기도 한다. 중세의 크리스트교의 세계관이 가장 잘 나타내지고 있는 단테 알리기에리의 서사시, 「신곡」연옥편에서도...
    도서 위키백과
  • 악마학 Demonology, 悪魔学
    문서를 라틴어 번역해 서유럽 세계에 소개, 스스로도 다이몬 마술(신령 마술)이나 정기 마술을 연구해, 독자적인 이론을 수립했다. 피치노에 이어 트리테미우스의 「스테가노그라피아」나 하인리히 코르네리우스 아그립파의 「오칼트 철학」, 파라셀수스의 「요정의 책」 등이 발표되어 크리스트교에서의 악마나 정령에...
    도서 위키백과
  • 바실리 트레디아콥스키 Vasily Trediakovsky
    프랑스 통속소설을 러시아어로 번역 출판하였다. 이것이 러시아에서 활자화된 최초의 문학작품일 것이다. 번역으로서는 이 밖에 프랑스 작가 페늘롱의 <텔레마크의 모험> 러시아어 역(譯) <치레마히다>가 있다. 1734년에 쓴 <단치히 함락의 찬양>은 고전주의의 온갖 규칙에 부합하는 러시아 최초의 송시이다. 그는 또한...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1 2 현재페이지3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