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주세페 디 스테파노 Giuseppe Di Stefano
    리리코의 대표 주자로 각광을 받았던 디 스테파노는 1960년대에 들어서면서 리리코 스핀토나 드라마티코까지 레퍼토리의 폭을 넓혀갔다. 그는 특히 마리아 칼라스와 가장 긴 기간 동안 함께 연주한 테너로도 유명하다. 그와 칼라스와의 인연은 1953년부터 시작되었다. 당시 최고의 소프라노로 활약했던 마리아 칼라스와...
    분류 :
    연주자>성악가>남자 성악가
    출생 :
    1921년 7월 24일, 이탈리아
    사망 :
    2008년 3월 3일
    유형 :
    테너
    수상 :
    • 그래미상 명예의 전당 • 황금 오르페오 상
    데뷔 :
    1946년 오페라 〈마농〉
  • 라 조콘다 아밀카레 폰키엘리, La Gioconda Op.9
    마지막 장면에 조콘다의 자살을 눈앞에서 본 바르나바의 기기묘묘한 웃음은 사랑에 미친 한 남성의 마지막을 보여주기에 지나칠 정도로 리얼하다. 마리아 칼라스를 정상에 세운 오페라 〈라 조콘다〉는 밀라노 초연에서부터 관객의 열렬한 반응을 얻었으나 폰키엘리는 여기서 멈추지 않고 계속되는 개정판을 내놓기에...
    시대 :
    낭만
    분류 :
    낭만주의 음악>오페라
    제작시기 :
    1867년
    작곡가 :
    아밀카레 폰키엘리(Amilcare Ponchielli, 1834~1886)
    원작 :
    빅토르 위고, 《파도바의 폭군 앙겔로》(Angélo, tyran de Padoue)
    초연 :
    1876년 4월 8일, 밀라노 라 스칼라 극장
    출판 :
    1876년
    등장인물 :
    • 라 조콘다(소프라노) • 라 치에타(조콘다의 어머니, 콘트랄토) • 바르나바(베네치아 10인 위원회의 비밀 첩보원, 바리톤) • 알비제 바도에로(베네치아의 대귀족이자 종교 재판장, 베이스) • 라우라(바도에로의 아내, 메조소프라노) • 엔초(추방된 산타피오르 공작 그리말도, 테너)
    배경 :
    17세기 베네치아
    대본(리브레토) :
    아리고 보이토(필명 토비아 고리오)
    구성 :
    그랜드 오페라, 4막 오페라
  • 몽유병의 여인 빈첸초 벨리니, La Sonnambula
    않는 상황을 연기해야 하는 것은 노래 이상의 집중력을 요구하고 있다. 벨리니의 〈몽유병의 여인〉에서 몽유병 장면의 가장 유명한 연기는 아마도 마리아 칼라스의 1955년 라 스칼라 극장의 무대일 것이다. 어두운 무대에서 몽유병을 연기해야 했던 마리아 칼라스는 눈에 초점을 풀고 무대를 비틀거리며 위태위태한...
    시대 :
    낭만
    분류 :
    낭만주의 음악 > 오페라
    제작시기 :
    1831년
    작곡가 :
    빈첸초 벨리니(Vincenzo Bellini, 1801~1835)
    원작 :
    외젠 스크리브와 장 피에르 오머 발레-판토마임 〈몽유병자, 아니면 새로운 왕의 도래〉
    초연 :
    1831년 3월 6일 밀라노 카르카노 극장
    등장인물 :
    • 아미나(테레사가 키운 고아, 소프라노) • 리사(여관의 여주인, 소프라노) • 엘비노(부유한 젊은 지주, 테너) • 로돌포 백작(마을 영주, 베이스) • 테레사(물방앗간의 여주인, 메조 소프라노) • 알레시오(리사를 사랑하는 마을 사람, 베이스)
    배경 :
    19세기 초 스위스 어느 마을
    대본(리브레토) :
    펠리체 로마니
    구성 :
    2막 멜로 드라마
  • 몽세라 카바예 Montserrat Caballe
    되었다. 그러나 너무 아름다운 목소리로 그녀를 ‘탁월한 미성을 지닌 멍청한 암소’라고 조롱하기도 한다. 특히 그녀의 무대를 마리아 칼라스(Maria Callas)와 비교하면서, 칼라스에게서 느껴지는 분노와 격정의 극적 표출이 그녀의 목소리에 의해 온화하게만 느껴진다고도 한다. 그러나 크레셴도에서 데크레셴도로...
    분류 :
    연주자>성악가>여자 성악가
    출생 :
    1933년 4월 12일, 스페인 바르셀로나
    유형 :
    소프라노
    데뷔 :
    1954년 푸치니의 〈라 보엠〉
    레퍼토리 :
    로시니, 벨리니, 도니체티, 베르디 등 벨칸토 오페라
  • 에바 마르톤과 관련된 동유럽권의 소프라노
    명성을 구가했다. 이탈리아 오페라와 동구권 오페라를 중심으로 폭넓은 레퍼토리를 갖고 있지만 무엇보다도 푸치니에 가장 어울리는 가수라 할 것이다. 칼라스를 연상시키는 자태와 기품 있는 음성을 갖춘 리리코 스핀토의 명가수이며 《토스카》와 《나비부인》의 영상물을 통해 명성에 어울리는 실력을 확인할 수 있다...
  • 마리오 델 모나코 황금 트럼펫의 슈퍼마리오
    조국에서의 인기도 대단해 스릴러(thriller movie)와 오페라를 포함, 5편의 영화에 출연한 것으로 알려졌다. 델 모나코는 1950년대 전반기에 마리아 칼라스와 많은 공연을 가졌다. 특히 《노르마》는 전설적인 명연으로 회자된다. 다만 워낙 무대에서의 카리스마가 대단한 두 사람이라 상대방이 더 많은 박수를 받는 것...
    출생 :
    1915년 07월 27일
    사망 :
    1982년 10월 16일
    국적 :
    이탈리아
    대표작 :
    베르디 《오텔로》, 베르디 《일 트로바토레》, 레온카발로 《팔리아치》, 《위대한 목소리》
    성부 :
    테너
  • 안나 모포 오페라계의 리즈 테일러 혹은 지나 롤로브리지다
    란프란키는 엄청난 강행군으로 아내를 몰아붙였고 계속 새로운 레퍼토리를 추가하면서 아내의 목소리를 혹사시키고 무리한 일정을 요구했다. 특히 "마리아 칼라스에 견줄 만하다."는 주변의 찬사에 현혹되어 칼라스의 다양한 벨칸토 레퍼토리를 모방한 프로그램을 짠 것은 치명적이었다. 그나마 연이은 성공이 그녀를...
    출생 :
    1932년 06월 27일
    사망 :
    2006년 03월 09일
    국적 :
    미국
    대표작 :
    베르디 《라 트라비아타》, 도니체티 《람메르무어의 루치아》, 베르디 《루이자 밀러》, 《안나 모포》
    성부 :
    소프라노
  • 아그네스 발차 Agnes Baltsa
    접했다. 음악에 관심을 가지게 되면서 피아노를 배웠고 9세부터는 성악 레슨을 받았다. 14세에 아테에 음악원에 진학해 최상의 성적을 유지하며 마리아 칼라스 장학생으로 선정된 발차는 20세에 조르주 에네스쿠 콩쿠르에 출전해 우승을 차지한 후 독일로 건너가 뮌헨에서 오페라 공부와 연주를 병행했다. 1968...
    분류 :
    연주자>성악가>여자 성악가
    출생 :
    1944년 11월 19일, 그리스
    유형 :
    메조소프라노
    수상 :
    1964년, 조르주 에네스쿠 콩쿠르 우승
    데뷔 :
    1968년, 모차르트 오페라 〈피가로의 결혼〉, 프랑크푸르트 오페라 극장
  • 페르네에서 이룬 볼테르의 업적
    끊임없이 되돌아왔다. 그가 이무렵에 일어난 몇몇 사건에 개입한 것은 이런 원칙에 따른 행동이었다. 그중에서도 가장 유명한 것은 칼라스 사건이었다. 툴루즈의 상인인 신교도 장 칼라스는 로마 가톨릭으로 개종하려는 이들을 죽였다는 혐의로 고발당해 결백을 주장했지만, 결국 능지처참형을 받았다(1762. 3. 10...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가
  • 빅토리아 데 로스 앙헬레스 미소 천사의 승리
    안정적인 상태에 있다."고 발표했지만 오래전부터 위중하다는 소문이 돌던 할머니가 중환자실에 실려갔다면 결코 심상치 않은 상황 아닌가. 마리아 칼라스, 레나타 테발디와 함께 1950년대를 풍미한 '스리 소프라노'라 할 빅토리아 데 로스 앙헬레스는 역시 우려한 대로 수일 만에 타계했다. 그녀의 이름을 원래대로...
    출생 :
    1923년 11월 01일
    사망 :
    2005년 01월 15일
    국적 :
    스페인
    대표작 :
    《스페인의 노래》, 푸치니 《라 보엠》, 비제 《카르멘》, 캉틀루브 《오베르뉴의 노래》
    성부 :
    소프라노
  • 루치아노 파바로티 하이 C의 제왕, 그를 위한 변명
    가장 훌륭한 순간들을 떠올릴 것이다. 그리고는 재평가하리라. 파바로티야말로 이탈리아 오페라의 새로운 매력을 일깨워준 진정 위대한 테너였다고. 마리아 칼라스에 견줄 만한 거대한 존재였으나 너무 탄탄대로를 달렸기에 시샘을 받았을 뿐이라고. 서정성과 장대함을 겸비한 전대미문의 초대형 테너 파바로티의 음성에...
    출생 :
    1935년 10월 12일
    사망 :
    2007년 09월 06일
    국적 :
    이탈리아
    대표작 :
    베르디 《가면무도회》, 도니 체티 《람메르무어의 루치아》, 푸치니 《투란도트》, 《하이 C의 제왕》
    성부 :
    테너
  • 알프레도 크라우스 내 사전에 은퇴란 없다
    적역이었다. 이중에서도 알프레도 역이 큰 주목을 받아 2년 후 절친한 동료이기도 했던 레나타 스코토와 런던에서, 마리아 칼라스와 리스본에서 공연할 수 있었다. 특히 칼라스와의 리스본 공연은 매우 열악한 음질에도 불구하고 EMI에서 전곡 음반이 발매되어 크라우스의 첫 음반이자 이 곡에 대한 스튜디오 녹음이...
    출생 :
    1927년 11월 24일
    사망 :
    1999년 09월 10일
    국적 :
    스페인
    대표작 :
    도니체티 《람메르무어의 루치아》, 베르디 《리골레토》, 마스네 《베르테르》, 《오페라 아리아집》
    성부 :
    테너
이전페이지 없음 1 2 현재페이지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25건

마리아 칼라스
마리아 칼라스
마리아 칼라스
마리아 칼라스
마리아 칼라스
마리아 칼라스(Maria Callas)
오페라 〈토스카〉에서의 마리아 칼라스
마리아 칼라스의 초상화
음악 공부 중인 마리아 칼라스
스승 이달고(오른쪽)와 마리아 칼라스(가운데)
1954년도 산 레모 공연에서의 마리아 칼라스.
1954년도 산 레모 공연에서의 마리아 칼라스
열창하고 있는 오페라의 디바 마리아 칼라스
〈노르마〉 공연 전 메이크업을 확인하는 마리아 칼라스
메데아의 화신으로 평가받는 소프라노 마리아 칼라스
오페라 〈토스카〉 공연 후 마리아 칼라스와 함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