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러지의 농도를 침강법으로 농축시키는 장치를 말한다. 배수처리의 공정 중에서 발생되는 슬러지는 그대로 여과기에 넣어 케이크화하는 것보다 슬러지의 농도를 높여, 고체 농도를 50% 전후로까지 한 다음 여과기에 넣어 여과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장치의 형식은 청징기와 비슷하고, 데칸터도 일종의 침강농축...
유체속에 부유하는 입자를 중력의 작용에 의해서 낙하시켜서 침강분리시키는 조작 또는 부상시키는 조작이 있다. 전자를 침강분리, 후자를 부상분리라고 부르고 있다. 넓은 뜻에서는 중력이외에 원심력, 정전기 등의 작용을 받아서 침강하는 경우나 약품에 의해서 입자를 응집시켜서 조대화에 의하여 침강 분리를...
응집성의 부유 입자군이 명확한 계면을 형성하며 침강하는 현상으로 활성슬러지 및 응집성 화약 부유물질의 농도가 500mg/l 정도 이상 일 때 볼 수 있다. 현탁액을 실린더에 넣어 침강 시킬 때 고체와 고체가 응집하거나 간섭하면서 침강하여 고체 층과 액과의 계면이 명백하게 구별되는 침강이다.
역전층이 대기중에서 낮고 넓게 형성되면 대기의 얇은 층만이 가열되어 온도 상승이 매우 커지게 된다. 일반적으로 역전은 ① 접지역전, ② 난류역전, ③ 침강역전, ④ 전선역전의 4가지로 구분된다. 접지역전은 공기가 상부에 있는 공기층보다 더 차갑게 냉각될 때까지 차가운 지표면과 접촉하고 있을 때 발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