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오일륙 五一六, May 16 coup두 번째는 장면 민주당 정권의 내분이었다. 신파와 구파로 분열된 민주당은 극심한 내부 분열로 제대로 된 정치력을 발휘할 수 없었다. 장면 주도의 신파와 윤보선·김도연 등의 구파는 총리와 대통령 자리를 놓고 격돌한 이래 사사건건 대립했다. 결국 장면 총리, 윤보선 대통령이 결정되기는 했지만 분열은 더욱...
- 시대 :
- 현대
- 발생 :
- 1961년 5월 16일
- 성격 :
- 군사쿠데타
- 유형 :
- 사건
- 종결 :
- 1963년 12월 16일
- 분야 :
- 정치·법제/정치
- 관련 인물/단체 :
- 박정희, 김종필, 장면, 윤보선, 장도영
- 관련 장소 :
- 서울
-
정성태 鄭成太, Jung, Sung-tae활동했다. 1964년 한일협정 반대운동에 참여했으며, 1965년 8월 13일 한일협정 비준에 항의하는 뜻으로 민중당 탈당계를 제출해 윤보선, 김도연, 서민호, 정일형, 김재광 등 윤보선계열과 함께 국회의원직이 자동 상실되었다. 1967년 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 신민당 소속으로 출마해 광주서 지역구에서 당선되었으며...
- 시대 :
- 현대
- 출생 :
- 1915년 7월 28일
- 사망 :
- 2000년 8월 17일
- 경력 :
- 국회의원, 국회부의장
- 유형 :
- 인물
- 직업 :
- 정치인
- 성별 :
- 남
- 분야 :
- 정치·법제/정치
- 본관 :
- 하동
-
유신헌법개헌청원백만인서명운동 維新憲法改憲請願百萬人署名運動개설 1973년 12월 13일 김관석(NCC 총무), 김수환(추기경), 김홍일(전 신민당 당수), 백낙준(연세대 명예총장), 유진오(전 고려대 총장), 윤보선(전 대통령), 이병린(전 대한변협 회장), 이인(전 법 무장관), 이정규(전 성균관대 총장), 이희승(전 서울대 문리대 학장), 한경직 (목사), 함석헌(민수협), 김재준(민수협...
- 시대 :
- 현대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역사/현대사
-
박정희 대한민국 제5·6·7·8·9대 대통령, 朴正熙장교들과 함께 군사 쿠데타를 일으켰다. 7월에는 입법권, 사법권, 행정권을 장악한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에 취임해 군정(軍政)을 실시했으며, 1962년 3월 윤보선 대통령이 사임하자 대통령 권한 대행도 함께 맡았다. 1963년에 창당된 민주공화당에 입당해 총재에 추대된 후, 그해 치러진 제5대 대통령선거에서 야당...
- 출생 :
- 1917년
- 사망 :
- 1979년
-
유진산 옥계(玉溪), 柳珍山정권에 도전, 민주당의 신구파를 보수양당으로 분당시켜 1961년 2월 김도연(金度演)과 구파 중심의 신민당(新民黨)을 창당하였다. 간사장이 되어 그 해 3월 윤보선(尹潽善) 대통령이 초청한 청와대시국수습4자회담에 참석하였다. 5 · 16 군사정변 때에는 55일간 마포형무소에 구금되었고, 1962년 박정희(朴正熙)의 3...
- 시대 :
- 현대
- 유형 :
- 인물/근현대 인물
- 분야 :
- 정치·법제/정치
-
대한민국 제7대 대통령 선거 국민당 후보 선출당 운영과 40대 기수론 등에 불만을 품은 신민당 내 일부 중진 인사들이 탈당해 만든 국민당이 독자 대통령 후보를 물색한 과정을 말한다. 이범석 전 총리, 윤보선 전 대통령, 장기영 전 의원, 장준하 의원, 백낙준 전 참의원 의장, 이인 전 법무부 장관 등이 후보로 거론됐으나, 최종적으론 박기출 의원이 낙점되었다...도서 위키백과
-
윤택중 오천(嗚川), 尹宅重창당되면서 전라북도 이리 · 익산지구당 조직책, 같은 해 7월 민중당 중앙상무위원을 맡았다. 1965년 8월 국회에서 한일협정비준 동의안이 처리되자 윤보선을 비롯한 민중당 강경파 당원이 탈당해 조직한 신한당 창당에 참여했다. 윤보선의 측근으로 1966년 2월 창당운영위원회 위원, 이리 · 익산 지구당 조직책, 4월...
- 시대 :
- 현대
- 유형 :
- 인물/근현대 인물
- 분야 :
- 정치·법제/법제·행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