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오일륙 五一六, May 16 coup
    두 번째는 장면 민주당 정권의 내분이었다. 신파와 구파로 분열된 민주당은 극심한 내부 분열로 제대로 된 정치력을 발휘할 수 없었다. 장면 주도의 신파와 윤보선·김도연 등의 구파는 총리와 대통령 자리를 놓고 격돌한 이래 사사건건 대립했다. 결국 장면 총리, 윤보선 대통령이 결정되기는 했지만 분열은 더욱...
    시대 :
    현대
    발생 :
    1961년 5월 16일
    성격 :
    군사쿠데타
    유형 :
    사건
    종결 :
    1963년 12월 16일
    분야 :
    정치·법제/정치
    관련 인물/단체 :
    박정희, 김종필, 장면, 윤보선, 장도영
    관련 장소 :
    서울
  • 국민당 國民黨
    윤보선이 총재로 선출되었고, 총재를 중심으로 한 단일지도체제를 당헌으로 채택하였다. 국민당의 주요강령은 ① 한일 간의 무역불균형 시정, ② 비동맹국 및 준적성 공산국가들과의 무역통상관계 확대, ③ 고도성장정책으로 인한 경제적·사회적 불균형의 시정, ④ 독과점의 배제에 의한 유효경쟁체제의 확립, ⑤ 중소...
  • 신한당 新韓黨
    후, 민중당 의원들은 의원직 사퇴와 당의 해체를 완강히 주장했던 강경파와 당 주류 온건파 간에 대립이 있었다. 결국 의견조정에 실패해 탈당계를 낸 윤보선 외 7명과 민중당 정화동지회가 중심이 되어 선명야당의 기치를 내걸고 신한당을 창당했다. 이들은 창당대회에서 단일지도체제를 골자로 하는 당헌을 채택하고...
  • 정성태 鄭成太, Jung, Sung-tae
    활동했다. 1964년 한일협정 반대운동에 참여했으며, 1965년 8월 13일 한일협정 비준에 항의하는 뜻으로 민중당 탈당계를 제출해 윤보선, 김도연, 서민호, 정일형, 김재광 등 윤보선계열과 함께 국회의원직이 자동 상실되었다. 1967년 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 신민당 소속으로 출마해 광주서 지역구에서 당선되었으며...
    시대 :
    현대
    출생 :
    1915년 7월 28일
    사망 :
    2000년 8월 17일
    경력 :
    국회의원, 국회부의장
    유형 :
    인물
    직업 :
    정치인
    성별 :
    분야 :
    정치·법제/정치
    본관 :
    하동
  • 유신헌법개헌청원백만인서명운동 維新憲法改憲請願百萬人署名運動
    개설 1973년 12월 13일 김관석(NCC 총무), 김수환(추기경), 김홍일(전 신민당 당수), 백낙준(연세대 명예총장), 유진오(전 고려대 총장), 윤보선(전 대통령), 이병린(전 대한변협 회장), 이인(전 법 무장관), 이정규(전 성균관대 총장), 이희승(전 서울대 문리대 학장), 한경직 (목사), 함석헌(민수협), 김재준(민수협...
    시대 :
    현대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역사/현대사
  • 박정희 대한민국 제5·6·7·8·9대 대통령, 朴正熙
    장교들과 함께 군사 쿠데타를 일으켰다. 7월에는 입법권, 사법권, 행정권을 장악한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에 취임해 군정(軍政)을 실시했으며, 1962년 3월 윤보선 대통령이 사임하자 대통령 권한 대행도 함께 맡았다. 1963년에 창당된 민주공화당에 입당해 총재에 추대된 후, 그해 치러진 제5대 대통령선거에서 야당...
    출생 :
    1917년
    사망 :
    1979년
  • 유진산 옥계(玉溪), 柳珍山
    정권에 도전, 민주당의 신구파를 보수양당으로 분당시켜 1961년 2월 김도연(金度演)과 구파 중심의 신민당(新民黨)을 창당하였다. 간사장이 되어 그 해 3월 윤보선(尹潽善) 대통령이 초청한 청와대시국수습4자회담에 참석하였다. 5 · 16 군사정변 때에는 55일간 마포형무소에 구금되었고, 1962년 박정희(朴正熙)의 3...
    시대 :
    현대
    유형 :
    인물/근현대 인물
    분야 :
    정치·법제/정치
  • 유원식 (군인)
    입대하였다 하여 그의 아버지 유림은 그와 의절하였다. 5·16 군사정변에 주도적으로 참여하였으나 후에 스스로 공직을 사양하고 은퇴한다. 후에 그는 윤보선이 5·16 군사정변을 알고도 묵인했다 주장하여 논란이 벌어지기도 했다. 경상북도 안동 출신으로, 일제 강점기의 유명한 항일 운동가 중 한 명인 유림의 아들...
    도서 위키백과
  • 김상진 할복 사건
    칼로 자신의 배를 찌른 후 다음날 사망한 사건이다. 이는 명동민주구국선언의 도화선이 되었다. 서울대학교 농과대학 4학년에 재학 중이던 김상진은윤보선, 《윤보선회고록:외로운 선택의 나날들》 (동아일보사, 1991) 400페이지 1975년 4월 11일 경기도 수원에 있는 서울대 농대생 300명과 함께 모여 성토대회를 가졌다...
    도서 위키백과
  • 윤치호 묘역
    윤일선, 윤치호의 고향으로 윤보선 대통령 생가와 윤일선 가옥, 윤제형 가옥, 윤승구 가옥 등이 소재해 있다. 충청남도 아산시 둔포면 석곡1리 330-2번지 독골마을 부락에 있으며, 산 중턱 윤취동의 묘소 아래 좌측에 소재해 있다. 아산 둔포면 석곡리 윤치호일가의 가옥, 윤일선 가옥, 윤승구 가옥, 윤제형 가옥...
    도서 위키백과
  • 대한민국 제7대 대통령 선거 국민당 후보 선출
    당 운영과 40대 기수론 등에 불만을 품은 신민당 내 일부 중진 인사들이 탈당해 만든 국민당이 독자 대통령 후보를 물색한 과정을 말한다. 이범석 전 총리, 윤보선 전 대통령, 장기영 전 의원, 장준하 의원, 백낙준 전 참의원 의장, 이인 전 법무부 장관 등이 후보로 거론됐으나, 최종적으론 박기출 의원이 낙점되었다...
    도서 위키백과
  • 윤택중 오천(嗚川), 尹宅重
    창당되면서 전라북도 이리 · 익산지구당 조직책, 같은 해 7월 민중당 중앙상무위원을 맡았다. 1965년 8월 국회에서 한일협정비준 동의안이 처리되자 윤보선을 비롯한 민중당 강경파 당원이 탈당해 조직한 신한당 창당에 참여했다. 윤보선의 측근으로 1966년 2월 창당운영위원회 위원, 이리 · 익산 지구당 조직책, 4월...
    시대 :
    현대
    유형 :
    인물/근현대 인물
    분야 :
    정치·법제/법제·행정
이전페이지 없음 1 2 현재페이지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7건

윤보선
윤보선
아산 윤보선 대통령 생가 안채
아산 윤보선 대통령 생가 정면
고 윤보선 전 대통령 영결식
3.16성명에 반기를 든 윤보선씨와 허정씨의 데모
제4대 대통령 취임식
윤보선 vs 장면
윤보선 전대통령 생가
윤보선 전대통령 생가
윤보선 전대통령 생가
윤보선 전대통령 생가
윤보선전대통령생가
장면 총리와 윤보선 대통령
대통령 취임식(제4대) / 윤보선
윤보선 전대통령 생가 배치평면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