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바이츠 Georg Waitz
    괴팅겐대학 중세사 학파를 세웠다. 레오폴트 랑케에게 비판적 방법론을 배운 수제자로 독일의 가장 뛰어난 법제사 학자로 여겨진다. 많은 사람들은 학문의 엄격성에서 그가 스승 랑케보다 우수하다고 생각하고 있다. 킬대학과 베를린대학에서 공부를 했고 일찍이 랑케의 영향을 받았다. 학생 때 독일 중세사 연구를 시작...
    출생 :
    1813. 10. 9, 슐레스비히 플렌스부르크
    사망 :
    1886. 5. 24, 베를린
    국적 :
    독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학자
  • 하규일 河圭一
    본관은 진주. 자는 성소(聖韶), 호는 금하(琴下). 20세쯤에 삼촌 하중권(河仲權)의 제자 최수보에게 처음 가곡을 배웠으며, 박효관 의 수제자로 대성해 〈가곡원류〉를 물려받았다. 30세가 넘어 1901년 한성부윤(漢城府尹) 겸 한성재판소 판사, 1909년 전라남도 독쇄관(督刷官), 1910년 전북 진안군수 등의 벼슬을...
    출생 :
    1867, 서울
    사망 :
    1937
    국적 :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화가
  • 도베르발 Jean Bercher, Jean Dauberval
    지닌 무용가로 알려지게 되었다. 1773년 발레 조교사가 되었고 1783년에는 보르도에 가서 무용가로 일하다가 발레 교사가 되었다. 안무가 장 조르주 노베르의 수제자였던 도베르발은 스승의 발레닥시옹(ballet d'action:줄거리가 있는 발레) 개념을 전파하는 데 많은 공헌을 했다. 도베르발의 제자 중에는 '러시아 발레...
    출생 :
    1742. 8. 19, 프랑스 몽펠리에
    사망 :
    1806. 2. 14, 투르
    국적 :
    프랑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외국무용
  • 의상 사망 화엄종의 아버지
    통일을 강조하는 화엄종만큼 삼국을 통일한 신라에 적합한 사상은 없었다. 진골 귀족 출신인 의상은 661년 당나라에 유학하여 중국 화엄종 2대조인 지엄의 수제자가 되었다. 중국 불교계에서 의상의 이론적 수준과 명성은 매우 높았다. 신라와 당나라 사이가 나빠졌을 때 신라 왕실의 부탁을 받고 귀국하지 않았다면...
    시대 :
    702년
    국가/대륙 :
    한국
  • 시천교 侍天敎
    1906년 이용구(李容九)가 서울특별시 종로구 견지동에서 창시했다. 이용구는 원래 동학의 접주로서 최시형의 수제자 중의 한 사람이었으나 일진회를 조직, 노골적인 친일활동을 하자 1905년 손병희에 의해 60여 명의 두목들과 함께 출교당했다. 그러자 이용구는 천도교와는 별도로 시천교를 세우고 천도교의 대도주였던...
  • 아뇰로 브론치노, 〈갑옷을 입은 코시모 1세 데 메디치의 초상화〉 외
    아뇰로 브론치노(Agnolo Bronzino, 1503~1572)는 폰토르모의 수제자였다. 피렌체의 대공인 코시모 1세 메디치의 총애를 입은 그는 종교와 신화 주제의 그림뿐 아니라 대공 가족의 초상화로도 명성을 떨쳤다. 특히 그가 그린 초상화들은 무표정하고 차가운 인상, 지나칠 정도로 세밀하게 표현된 옷, 화려하지만 왠지 불길...
    저작자 :
    아뇰로 브론치노(Agnolo Bronzino, 1503~1572)
    제작시기 :
    〈갑옷을 입은 코시모 1세 데 메디치의 초상화〉 1545년 제작〈엘레오노라 디 톨레도와 아들의 초상화〉 1545년 제작〈비아의 초상화〉 1542년경 제작〈루크레치아 판치아티키의 초상화〉 1541~1545년 제작〈바르톨로메오 판치아티키의 초상화〉 1540년경 제작
  • 상제교 上帝敎
    동학 제2대 교주인 최시형(崔時亨)이 처형되자 그의 수제자 김연국(金演局)은 손병희(孫秉熙)와 함께 한때 대도주의 자리에 올라 동학의 재건에 힘을 기울였다. 1908년 손병희와의 의견 대립으로 동학에서 이탈하여 이용구(李容九)와 함께 천도교에서 분리된 시천교를 창시했다. 그후 이용구가 죽자 시천교 간부였던...
  • 마치엔드라나타 Matsyendranatha
    전설에 묻혀버렸다. 한 전설에 따르면 그는 원래 수도승이었으나 실론의 두 여왕의 유혹에 넘어가 파계한 뒤 2명의 아들, 파로세나트와 님나트를 두었고, 이들이 자이나교의 지도자가 되었다고 한다. 그의 수제자 고라크나트는 하타 요가의 실행을 중시하는 종파인 칸파타 요가(Kānphaṭa Yogis)파의 창시자로 알려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키트리지 George Lyman Kittredge
    1917년 최초의 영문학 석좌교수가 되었고, 1936년 은퇴할 때까지 이 직위를 유지했다. 영국과 스코틀랜드의 대중민요 연구가인 프랜시스 J.차일드의 수제자였으며, 1896년 차일드가 죽은 뒤 스승이 맡았던 영문학 강의를 이어받았다. 키트리지는 명쾌하고 논리정연한 강의로 이름을 날렸으며, 번뜩이는 재치와 매력적인...
    출생 :
    1860. 2. 28, 미국 보스턴
    사망 :
    1941. 7. 23, 매사추세츠 반스터블
    국적 :
    미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학자
  • 쿠아즈보 Antoine Coysevox
    조각(1710, 루브르 박물관)과 같이 더욱 친밀감을 주는 인물상에는 이탈리아의 베르니니풍 감각과 공식 초상들의 딱딱함 대신에 로코코 양식의 자연주의와 우아함이 깃들어 있다. 조카인 니콜라와 기욤 쿠스투를 비롯한 그의 수제자들은 그의 영향을 받아 특히 18세기 프랑스 인물 조각을 발전시켜 불멸의 업적을 남겼다...
    출생 :
    1640. 9. 29, 프랑스 리옹
    사망 :
    1720. 10. 10, 파리
    국적 :
    프랑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화가
  • 이청 금초(琴招), 李청
    제자가 되었다. 주요 활동 이청은 과학 기술 분야에 남다른 재능을 보여, 과학 기술 지식과 정보에 상대적으로 해박하지 못했던 정약용의 총애를 받은 수제자였다. 이청은 누구보다 가까이에서 다산초당(茶山草堂)에서의 정약용의 저술 활동을 도왔다. 따라서 정약용의 저술 중에는 이청의 과학적 재능의 도움으로...
    시대 :
    조선후기
    유형 :
    인물/전통 인물
    분야 :
    과학/과학기술
  • 동편제 東便制
    것이 특징이다. 동편제 소리는 송흥록(宋興綠)의 법제를 표준으로 하여 전승되어 온 것이다. 송흥록의 소리제는 그의 아우 송광록(宋光綠)과 송흥록의 수제자인 박만순(朴萬順)에게 전승되었다. 다시 송광록의 소리제는 그의 아들 송우룡(宋雨龍)에게 이어졌고, 송우룡의 소리제는 송만갑(宋萬甲)·전도성(全道成...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예술·체육/국악
이전페이지 없음 1 2 현재페이지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