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의상 사망 화엄종의 아버지통일을 강조하는 화엄종만큼 삼국을 통일한 신라에 적합한 사상은 없었다. 진골 귀족 출신인 의상은 661년 당나라에 유학하여 중국 화엄종 2대조인 지엄의 수제자가 되었다. 중국 불교계에서 의상의 이론적 수준과 명성은 매우 높았다. 신라와 당나라 사이가 나빠졌을 때 신라 왕실의 부탁을 받고 귀국하지 않았다면...
- 시대 :
- 702년
- 국가/대륙 :
- 한국
-
아뇰로 브론치노, 〈갑옷을 입은 코시모 1세 데 메디치의 초상화〉 외아뇰로 브론치노(Agnolo Bronzino, 1503~1572)는 폰토르모의 수제자였다. 피렌체의 대공인 코시모 1세 메디치의 총애를 입은 그는 종교와 신화 주제의 그림뿐 아니라 대공 가족의 초상화로도 명성을 떨쳤다. 특히 그가 그린 초상화들은 무표정하고 차가운 인상, 지나칠 정도로 세밀하게 표현된 옷, 화려하지만 왠지 불길...
- 저작자 :
- 아뇰로 브론치노(Agnolo Bronzino, 1503~1572)
- 제작시기 :
- 〈갑옷을 입은 코시모 1세 데 메디치의 초상화〉 1545년 제작〈엘레오노라 디 톨레도와 아들의 초상화〉 1545년 제작〈비아의 초상화〉 1542년경 제작〈루크레치아 판치아티키의 초상화〉 1541~1545년 제작〈바르톨로메오 판치아티키의 초상화〉 1540년경 제작
-
이청 금초(琴招), 李청제자가 되었다. 주요 활동 이청은 과학 기술 분야에 남다른 재능을 보여, 과학 기술 지식과 정보에 상대적으로 해박하지 못했던 정약용의 총애를 받은 수제자였다. 이청은 누구보다 가까이에서 다산초당(茶山草堂)에서의 정약용의 저술 활동을 도왔다. 따라서 정약용의 저술 중에는 이청의 과학적 재능의 도움으로...
- 시대 :
- 조선후기
- 유형 :
- 인물/전통 인물
- 분야 :
- 과학/과학기술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동편제 東便制것이 특징이다. 동편제 소리는 송흥록(宋興綠)의 법제를 표준으로 하여 전승되어 온 것이다. 송흥록의 소리제는 그의 아우 송광록(宋光綠)과 송흥록의 수제자인 박만순(朴萬順)에게 전승되었다. 다시 송광록의 소리제는 그의 아들 송우룡(宋雨龍)에게 이어졌고, 송우룡의 소리제는 송만갑(宋萬甲)·전도성(全道成...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예술·체육/국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