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둥근잎나팔꽃 견우자(堅牛子)
    것을 흑축(黑丑)이라 한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사용한다. 효능 주로 소화기 질환과 각종 부종을 다스리며, 방광경에 효험이 있다. 관련질병: 감기, 견비통, 낙태, 대변불통, 복수, 부종, 사하, 산후체증, 소변불통, 수종, 습열, 식체, 야맹증, 요통, 음종(남성외음부부종), 이질, 중풍
    학명 :
    Pharbitis purpurea
    분포지역 :
    전국 각지
    자생지역 :
    들이나 밭둑
    번식 :
    실생
    약효 부위 :
    씨·잎·온포기
    생약명 :
    견우자(堅牛子)
    키 :
    1.5m 정도
    과 :
    메꽃과(나팔꽃과)
    생활사 :
    한해살이 덩굴풀
    채취기간 :
    8~10월(씨 파종기)
    취급요령 :
    햇볕에 말려 쓴다.
    특징 :
    차며, 쓰다.
    독성여부 :
    있다.
    1회 사용량 :
    4~6g
    주의사항 :
    독성이 있으므로 복용할 때 주의를 요한다.
    동속약초 :
    나팔꽃의 씨
  • 쥐참외 토화분(土花粉)
    질환을 다스린다. 관련질병: 간기능회복, 간염, 건위, 근골무력증(근골을 못 펼 때), 나력, 낙태, 담, 당뇨병, 대변불통, 동상, 번갈, 변비, 변혈증, 살갗이 튼 데, 소갈증, 소변불통, 수렴제, 악창, 야뇨증, 어혈, 열성하리, 옹종, 완하, 월경불순, 유즙분비부전, 이뇨, 주황병, 탕화창(화상), 피부염, 해수, 행혈, 황달
    학명 :
    Trichosanthes cucumeroides
    분포지역 :
    전국 각지
    자생지역 :
    숲 속, 들, 인가의 담장 밑
    번식 :
    약효 부위 :
    뿌리·열매
    생약명 :
    왕과(王瓜)
    키 :
    3~4m
    과 :
    박과
    생활사 :
    여러해살이 덩굴풀
    채취기간 :
    10월~이듬해 3월
    취급요령 :
    그늘에서 말려 쓴다.
    특징 :
    평온하며, 쓰다.
    독성여부 :
    없다
    1회 사용량 :
    뿌리 5~9g, 열매 4~6g
    주의사항 :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 아욱 규자(葵子)
    씨는 볶아서 산제로 하여 쓴다. 효능 주로 소화기·비뇨기 질환을 다스린다. 관련질병: 강화, 구토, 난산, 대변불통, 동전을 삼켰을 때, 번위, 산욕열, 설사, 소변불통, 수종, 숙취, 식체(가물치 고기), 신장병, 유방염, 유즙분비부전, 윤장, 이뇨, 주황병, 탄산, 피부윤택, 해산촉진, 해수, 해열, 황달 소아질환: 토유
    학명 :
    Malva verticillata
    분포지역 :
    전국 각지
    자생지역 :
    습기 있는 밭에 재배
    번식 :
    약효 부위 :
    온포기·씨
    생약명 :
    동규자(冬葵子)
    키 :
    60~90cm
    과 :
    아욱과
    생활사 :
    한해살이 또는 두해살이풀
    채취기간 :
    6~9월
    취급요령 :
    날것으로 쓴다.
    특징 :
    차며, 달다.
    독성여부 :
    없다.
    1회 사용량 :
    온포기 10~15g, 씨 6~8g
    주의사항 :
    많이 먹어도 해롭지 않다.
  • 민들레 금잠초, Dandelion
    금창, 기관지염, 나력(나력루), 녹내장, 늑막염, 담궐, 담낭염, 담즙분비, 대변불통, 대장염, 대하증, 변비, 복부팽만, 부종, 불면증, 사마귀, 선창, 소변불통, 소염제, 소화불량, 수종, 식욕부진, 신기허약, 신부전, 심장병, 십이지장궤양, 아토피성피부염, 악창, 안질, 암(간암, 위암), 열독증, 옹종(외옹), 완하...
    학명 :
    Taraxacum platycarpum
    분포지역 :
    전국 각지
    자생지역 :
    야산·들·길가의 양지
    번식 :
    약효 부위 :
    잎·뿌리
    생약명 :
    포공영(蒲公英)
    키 :
    20~30cm
    과 :
    국화과
    생활사 :
    여러해살이풀
    채취기간 :
    3~4월(잎), 9~10월(뿌리)
    취급요령 :
    날것 또는 햇볕에 말려 쓴다.
    특징 :
    차며, 달고 쓰다.
    독성여부 :
    없다.
    1회 사용량 :
    잎·뿌리 10~15g
    주의사항 :
    많이 오래 복용해도 이롭다.
    동속약초 :
    산민들레·서양민들레·좀민들레
  • 미국자리공 창륙(昌陸), 美國자리공
    적색 염료로 이용하고 간혹 임시 잉크로 대용하기도 한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여 사용한다. 다만 열매는 사용하지 않는다. 효능 주로 소화기·신경계·비뇨기 질환을 다스린다. 관련질병: 각기, 구충, 늑막염, 대변불통, 복부팽만, 설사, 소변불통, 수종, 신경통, 신장병, 옹종, 인후염·인후통, 종독, 창종, 풍습
    학명 :
    Phytolacca americana
    분포지역 :
    전국 각지
    자생지역 :
    길가, 빈터, 야산
    번식 :
    분근·씨
    약효 부위 :
    뿌리
    생약명 :
    미상륙(美商陸)
    키 :
    1~1.5m
    과 :
    자리공과
    생활사 :
    한해살이풀
    채취기간 :
    가을
    취급요령 :
    햇볕에 말려 쓴다.
    특징 :
    차며, 쓰다.
    독성여부 :
    있다(특히 열매의 독성이 강하다).
    1회 사용량 :
    뿌리 4~6g
    주의사항 :
    많이 복용하면 해롭다.
    동속약초 :
    섬자리공·자리공
  • 나팔꽃 금령(金鈴), 喇叭꽃
    운동계 질환과 음식 체증을 다스린다. 관련질병: 각기, 갱년기장애, 관절염(화농성관절염), 관절통, 금창, 낙태, 대변불통, 독기 잘 타는 피부, 동상, 류머티즘, 방광염, 변비, 복수, 사하, 상완신경통, 소변불통, 소염제, 수종, 습열, 습진, 식체(감자), 야맹증, 완하, 요통, 유종, 이뇨, 종기, 창종, 통풍 소아질환: 태독
    학명 :
    Pharbitis nil
    분포지역 :
    전국 각지
    자생지역 :
    들, 울타리, 밭둑
    번식 :
    약효 부위 :
    씨·온포기
    생약명 :
    흑축(黑丑)·견우자(牽牛子)
    키 :
    2~3m
    과 :
    메꽃과
    생활사 :
    한해살이 덩굴풀
    채취기간 :
    9~10월
    취급요령 :
    햇볕에 말려 쓴다.
    특징 :
    차며, 쓰고 맵다.
    독성여부 :
    없다.
    1회 사용량 :
    씨·온포기 4~6g
    주의사항 :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 산수유나무 촉조(蜀棗), 山茱萸나무
    강장보호, 강정제, 건위, 기관지염(기관지천식), 내이염, 냉한, 늑막염, 두통, 두풍, 보간·청간, 보신·보익, 보혈, 붕루, 비색증, 비염, 빈뇨증, 소변간삽, 소변불통, 수렴제, 신경쇠약, 심계항진, 양기부족, 요슬산통, 요실금, 원기부족, 월경불순, 유정증, 음위, 이뇨, 이롱· 난청, 이명, 자양강장, 조루, 졸도...
    분류 :
    낙엽 활엽 소교목
    학명 :
    Cornus officinalis
    분포지역 :
    중부 이남
    자생지역 :
    산기슭, 인가 부근
    번식 :
    약효 부위 :
    과육
    생약명 :
    산수유(山茱萸)
    키 :
    3~7m
    과 :
    층층나뭇과
    채취기간 :
    10~11월
    취급요령 :
    씨를 제거한 뒤 햇볕에 말려 쓴다.
    특징 :
    약간 따뜻하며, 시고 떫다.
    독성여부 :
    없다.
    1회 사용량 :
    말린 건과육 5~8g
    주의사항 :
    오래 써도 무방하다.
    동속약초 :
    맞채나무·층층나무
  • 뽕나무 상근피(桑根皮)
    보로, 보양, 보폐·청폐, 보혈, 복수, 복통, 부종, 분자, 불면증, 불임증, 비뉵혈, 비만증, 빈뇨증, 산후복통, 산후증, 산후출혈, 산후풍, 설사, 소갈증, 소변불리, 소변불통, 소복팽만, 소종양, 소화불량, 수족마비, 수족불수, 수종, 숙취, 습진, 시력감퇴, 식체(가물치, 개고기, 복어), 신경통, 신부전, 신장병, 심장...
    분류 :
    낙엽 활엽 교목 또는 관목
    학명 :
    Morus alba
    분포지역 :
    전국 각지
    자생지역 :
    마을 부근 식재
    번식 :
    약효 부위 :
    열매·잎·가지·꽃·뿌리껍질
    생약명 :
    상백피(桑白皮)
    키 :
    재배종 2~4m, 야생종 10m 이상
    과 :
    뽕나뭇과
    채취기간 :
    수시(뿌리껍질), 6~7월(기타)
    취급요령 :
    날것 또는 햇볕에 말려 쓴다.
    특징 :
    차며 달다.
    독성여부 :
    없다.
    1회 사용량 :
    열매·잎·가지·꽃·뿌리껍질 각각 2~6g
    주의사항 :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동속약초 :
    가시뽕·꼬리뽕·들뽕·몽고뽕·산뽕·왕뽕
  • 타래붓꽃
    저장한다. ②성분 : 精油(정유)가 함유되어 있다. ③약효 : 淸熱(청열), 해독, 지혈, 이뇨의 효능이 있다. 喉痺(후비), 토혈, 鼻出血(비출혈), 小便不通(소변불통), 淋病(임병), 疝氣(산기), 癰疽惡瘡(옹저악창)을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3-6g을 달여서 복용한다. 또는 散劑(산제)로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서 塗布...
    분류 :
    백합목 > 붓꽃과 > 붓꽃속
    꽃색 :
    보라색
    학명 :
    Iris lactea var. chinensis (Fisch.) Koidz.
    개화기 :
    5월, 6월
  • 대극 경대극(京大戟), 大戟
    대극은 뿌리를 말린 것인데 맛이 단 극약이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사용한다. 맹독성이므로 날것으로는 절대 먹지 않도록 한다. 효능 주로 피부과·소화기 질환을 다스린다. 관련질병: 당뇨병, 대변불통, 부종, 소변불통, 수종, 옹종, 임파선염, 종독, 진통, 취한, 치통, 통경, 풍습, 흉통
    학명 :
    Euphorbia pekinensis
    분포지역 :
    전국 각지
    자생지역 :
    산과 들
    번식 :
    약효 부위 :
    뿌리줄기
    생약명 :
    대극(大戟)
    키 :
    80cm 정도
    과 :
    대극과
    생활사 :
    여러해살이풀
    채취기간 :
    가을~이듬해 봄
    취급요령 :
    햇볕에 말려 쓴다.
    특징 :
    차며, 맵다.
    독성여부 :
    있다.
    1회 사용량 :
    뿌리 0.5~1g
    주의사항 :
    많이 쓰면 극약에 가까운 위험한 약재이다.
    동속약초 :
    개감수·낭독·흰대극
  • 질경이 차전초
    결석, 방광염, 변비(조시), 변혈증, 보간·청간, 복수, 복통, 부인병, 부종, 붕루, 비뉵혈, 비만증, 비염, 빈뇨증, 산후복통, 산후출혈, 설사, 설창, 소변간삽, 소변불통, 소염제, 수막염, 습비, 식욕부진, 신경쇠약, 신부전, 신장결석, 신장병, 신기증, 심장병, 안구충혈, 안질, 암(방광암, 유방암), 애역, 액취증...
    학명 :
    Plantago asiatica
    분포지역 :
    전국 각지
    자생지역 :
    들, 빈터, 길가, 풀밭, 인가 주변
    번식 :
    약효 부위 :
    온포기·씨
    생약명 :
    차전자(車前子)
    키 :
    10~50cm
    과 :
    질경잇과
    생활사 :
    여러해살이풀
    채취기간 :
    6~9월
    취급요령 :
    그늘에 말려 쓴다.
    특징 :
    차며, 달고 짜다.
    독성여부 :
    없다.
    1회 사용량 :
    온포기·씨 4~8g
    주의사항 :
    많이 먹어도 무방하다.
    동속약초 :
    왕질경이·털질경이
  • 여근(茹根)
    질환을 다스린다. 관련질병: 각혈, 간염, 강정제, 개창, 결핵, 고혈압, 구충, 구토, 담, 방광결석, 방광염, 보신·보익, 부종, 비뉵혈, 서증, 소갈증, 소변불통, 소염제, 신장병, 안신, 애역, 어혈, 월경불순, 월경불통, 이뇨, 종창, 주독, 창종, 출혈, 취한, 칠창, 토혈, 피부염, 한열왕래, 해열, 황달 소아질환: 백일해
    학명 :
    Imperata cylindrica var. koenigii
    분포지역 :
    전국 각지
    자생지역 :
    산기슭, 들, 길가
    번식 :
    분근
    약효 부위 :
    뿌리줄기
    생약명 :
    백모근(白茅根)
    키 :
    30~80cm
    과 :
    볏과(화본과)
    생활사 :
    여러해살이풀
    채취기간 :
    6월
    취급요령 :
    날것 또는 그늘에서 말려 쓴다.
    특징 :
    차며, 달다.
    독성여부 :
    없다.
    1회 사용량 :
    뿌리줄기 6~9g
    주의사항 :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이전페이지 없음 1 2 현재페이지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