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미얄 미얄할미
    약간씩 달라 하회별신굿놀이에서는 할미라고도 부른다. 탈의 생김새도 약간씩 다르지만 대체로 흰 치마 저고리와 짚신을 신었고 지팡이를 짚은 할머니로서 보따리와 부채를 들었고, 방울을 드는 수도 있다. 그만큼 외양만 보더라도 매우 꾀죄죄하며 실제로 남편(영감 또는 신할아비)의 박대를 받는 기구한 여자이다...
    유형 :
    인물
    직업 :
    배역
    분야 :
    예술·체육/연극
  • 재미있는 드라마를 많이 틀어달라
    어수선했다. 절망과 고통을 휘발시켜줄 무엇인가가 필요했으니, 바로 웃음이었다. 방송국은 흡사 비극 치료사를 사명으로 삼기라도 한 것처럼 맹렬하게 웃음보따리를 풀어 헤쳤다. 웃음을 통해 각박하고 메마른 사회에 활력을 불어넣겠다는 의도였는데, 그 중심에 드라마가 있었다. 지식인들은 라디오의 교육적 측면을...
  • 미얄
    주로 등장하며 영감이나 신할아비의 늙은 조강지처이다. 지역마다 이름·구실·탈 등이 다르며 복장은 대체로 흰 치마저고리에 짚신을 신고 지팡이·보따리·부채·방울 등을 들고 있다. 영감이 바람을 피워 얻은 첩과 다투다가 영감의 구박을 받고 죽는다. 양반사회의 가정을 풍자한 배역이며, 빠른 장단에 추는 엉덩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무용
  • 어윤희 魚允姬
    정신계몽을 자원하였다. 3·1운동 당시 독립선언서 수백장이 북부교회 목사 강조원(姜助遠)에게 전달되었으나 그가 소심하여 행동으로 옮기지 못하자, 어윤희가 보따리장사를 가장하고 대낮에 집집마다 독립선언서를 돌렸다. 이것을 본 호수돈여학교 사감 신관빈(申觀彬), 장님전도부인 심명철(沈明哲) 등이 합류하였다...
    시대 :
    근대
    출생 :
    1880년(고종 17)
    사망 :
    1961년
    경력 :
    건국훈장 애족장(1995년)
    유형 :
    인물
    직업 :
    독립운동가, 사회사업가
    성별 :
    분야 :
    역사/근대사
    본관 :
    함종(咸從)
  • 학문하는 자세 미투리 신고 책을 끼고 걷는 검소함
    만큼 오랜 역사를 지닌 신입니다. 짚신은 짚 외에 삼, 칡, 닥껍질로 만들기도 하는데 비 오는 날에는 신기가 불편하고, 쉽게 헤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소박한 미투리를 신고 겨드랑이에 책 보따리를 끼고 유유히 걷는 선비 그리고 태사혜를 신고 말 타고 종을 부리는 선비, 누가 더 학자다운지는 쉽게 판가름이 나겠지요...
  • 묵호등대
    오름길, 총 네 구역으로 나뉘고, 어느 곳으로 올라가도 묵호등대에서 만난다. 굽이진 언덕길 따라 “신랑 없이 살아도 장화 없인 못 살고”라는 글귀, 큰 보따리를 머리에 인 할머니, 오징어와 명태를 나르는 지게꾼 등 마을 사람들의 소박한 삶이 담긴 그림을 볼 수 있다. 논골1길 끝자락의 ‘바람의 언덕’은 논골담길...
    위치 :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해맞이길 300 (묵호진동)
  • 남선창고터
    남아있다. 해방 전까지는 주로 명태창고로 활용되어 일명 명태고방으로도 불렸다. 이후 부산산업경제 변화의 흐름을 타고 화공약품, 합판, 신발, 러시아 보따리 상인들의 짐, 가전제품 등을 위탁 보관하는 일반창고의 역할을 해 왔다. 2008년 여름, 부산에 폭우가 쏟아져 건물이 수해를 입게 되면서 소유주의 이해관계로...
    위치 :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로13번길 53 (초량동)
  • 동명항
    있고 국제항로가 개설되어 러시아, 중국을 연결하는 국제 여객터미널이 자리하고 있다. 속초 국제여객터미널은 백두산 관광과 러시아, 중국 상대의 소규모 보따리 무역상들이 자주 이용하는 곳이기도 하다. 동명은 [동쪽에 해가 떠 밝아온다]라는 뜻으로, 이름에 걸맞게 일출이 유명하여 매년 1월 1일에 드넓은 동해바다...
    위치 :
    강원특별자치도 속초시 영금정로 50
  • ㈜팔도 (株)八道
    라면 브랜드명인 ㈜팔도라는 사명으로 2012년 1월 1일에 설립되었다. 한편, '팔도 도시락'은 소련의 붕괴와 함께 개방된 후 대한민국을 오고 가는 러시아 보따리 상인들이 부산항 등을 오가다가 도시락 라면의 맛이 좋아서 소개한 것이 계기가 되어 수출을 시작하였다. 러시아 모스크바 인근에 현지 공장을 신설하여...
    시대 :
    현대
    유형 :
    단체
    분야 :
    생활/식생활
  • 국립국악관현악단 國立國樂管絃樂團
    을 개최하였다. 2006년 12월에는 해외연주회로 일본 동경에서 「한 · 일문화교류의 밤」을 개최하였고, 2007월 4월부터 5월까지 「엄마와 함께하는 국악보따리」를 장기공연하였다. 2008년 4월에는 「젊은예인을 위한 협주곡의 밤」을 개최하면서 협연자를 공개 모집하여 많은 호응을 얻었고, 2009년 6월에는 전북 김제...
    시대 :
    현대
    유형 :
    단체
    분야 :
    예술·체육/국악
  • 김천 평화시장
    조선 5대장인 김천장의 명맥을 잇는 김천 평화시장은 광복 직후 각처에서 모여든 귀향 동포와 월남 동포들이 김천역 주변에 모여 살면서 보따리 장수를 시작으로 자리잡게 된 시장이다. 정식으로 1978년 176개의 점포로 시장 개설 허가를 받고 의류, 잡화, 식료품 상가를 형성하였다. 이후 전통시장의 계승과 시설의...
    위치 :
    경상북도 김천시 김천로 100 (평화동)
  • 영광군립도서관
    책 읽기 습관을 익히는 데 일조하고 있다. 홍농작은도서관과 법성작은도서관에서는 한 달에 1회 이야기 활동 전문가 선생님이 영광군 어린이들을 위한 우리 고장 이야기와 재미있는 그림책을 읽어주는 이야기보따리 할머니 [책 읽어주세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참고문헌 영광군립도서관 http://www.yggunlib.go...
    위치 :
    전라남도 영광군 영광읍 중앙로 228-16
이전페이지 없음 1 2 현재페이지3 4 5 6 7 8 9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