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만회집탄옹문집 판목혼란스러워지자 벼슬을 버리고 세상을 떠돌며 지냈다. 『만회집』은 328판으로, 인조 13년(1635)과 숙종 38년(1712)에 제작한 것이다. 목판은 배나무와 물오리나무의 양면에 조각하였으나 5판은 한쪽 면에만 조각되었다. 권시는 인조 14년(1636) 대군의 선생으로 임명되었으며, 공조좌랑, 승지, 한성부우윤 등의 벼슬을...도서 위키백과
-
청동 은입사 포류수금문 향완 靑銅 銀入絲 蒲柳水禽文 香垸이와 같은 연결법은 조형(造型)이 흙에 비하여 자유롭지 못한 금속기에 있어서 뛰어난 기술적 수법을 요하는 것이기도 하다. 향로의 몸체에는 버드나무 아래에 물오리가 노니는 이른바 ‘포류수금문(蒲柳水禽文)’이 시문되었다. 이 무늬는 상감청자에서도 즐겨 사용된 것으로 금속기 가운데에서는 정병류(淨甁類)에서...
- 시대 :
- 고려
- 유형 :
- 유물
- 분야 :
- 예술·체육/공예
-
-
대전광역시한밭수목원 Daejeon Hanbat Arboretum식이식물원, 특산식물원, 참나무원, 상록수원, 대나무원, 장미원이 있고, 서원에는 감각정원, 습지원, 야생화원, 졸참나무숲, 상수리나무숲, 침엽수원, 소나무숲, 물오리나무숲, 단풍-신갈나무숲 등이 자리하고 있다. 주로 열대성 국가나 지방에서 자라는 특종 수목 및 식물을 전시하는 곳으로 대한민국은 여름과 겨울이...도서 위키백과
-
성하감입사행 城河嵌入蛇行흐르면 100m 정도의 거리이나 S자형의 산골짜기이기 때문에 3㎞나 돌아 흘러 깊은 골짜기를 이루며, 30m의 낙차로 흘러내린다. 이 계곡에는 논과 밭이 있고 우거진 나무들과 벼랑, 깊은 골짜기를 흐르는 맑은 물이 조화를 이루며 강에는 물고기와 물오리가 많이 서식한다. 북한의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다. 참고문헌
- 문화재 지정 :
- 북한 천연기념물 제117호
- 성격 :
- 계곡
- 유형 :
- 지명
- 소재지 :
- 평안북도 강계군 성간면 서동(지금의 자강도 성간군 성하노동자구)
- 분야 :
- 지리/인문지리
-
청동은입사포류수금문향완가는 은선을 넣어 무늬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러한 기법으로 장식하는 것은 고려시대의 향완 및 금속기에서 많이 보이는 특징이다. 향로 몸체에는 버드나무 아래에 물오리가 있는 포류수금문이 새겨 있다. 또한 연꽃무늬를 갖춘 위패형의 장식이 있고, 그 안에 5행 34자의 글이 입사 기법으로 새겼다. 그러나 그 내용...도서 위키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