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교통부 交通部
    이원직(李元稙) 외 17명이 붙잡히는 등, 1922년 이후에는 거의 활동이 중지되었다. 교통부를 통괄하는 교통부의 장은 교통총장이었다. 역대 총장으로는 문창범(文昌範) · 김철(金澈) · 남형우(南亨祐) · 손정도(孫貞道) · 이탁(李沰) · 조상섭(趙尙燮) 등이다. 1925년 이후 교통부는 폐지되었다. 그 뒤, 1942년 제...
    시대 :
    근대
    유형 :
    제도
    분야 :
    역사/근대사
  • 신한민국정부 新韓民國政府
    선언서 말미에는 집정관 이동휘(李東輝), 국무총리 이승만(李承晩) 이하 내무부장 미정, 외무부장 박용만(朴容萬), 재무부장 이시영(李始榮), 교통부장 문창범(文昌範), 노동부장 안창호(安昌浩) 등의 정부 부서와 각료 명단이 밝혀져 있다. 그런데 정부의 부서 가운데 나오는 집정관이나 국무총리와 같은 이름이, 당시...
    시대 :
    근대
    성격 :
    정치단체
    유형 :
    제도
    시행일 :
    1919년
    분야 :
    역사/근대사
  • 계봉우 사방자(四方子), 뒤바보, 북우(北愚), 桂奉瑀
    주요 지도자로 활동하였다. 이동휘와 함께 고려공산당 창립에 참여했으며, 모스크바 코민테른에 대표로 참가하기도 하였다. 이때 이동휘계의 고려공산당 상해파는 문창범(文昌範)을 영수로 하는 세칭 이르쿠츠크파 고려공산당과 치열한 반목 관계에 있었다. 1921년 4월 사할린 의용대가 주둔하는 마사노프에 도착, 제2...
    시대 :
    근대
    출생 :
    1880년(고종 17)
    사망 :
    1959년
    경력 :
    건국훈장 독립장(1995년)
    유형 :
    인물
    직업 :
    독립운동가, 역사학자
    대표작 :
    북간도, 아령실기, 김알렉산드라
    성별 :
    분야 :
    역사/근대사
  • 대한국민의회
    출처 필요 대한국민의회(大韓國民議會)는 1919년 2월 1일 발표된 무오독립선언서에 서명한 문창범 등이 중심이 되어 3월 17일 연해주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설립한 첫 임시정부이다. 1919년 9월 11일 중국 상하이에 있던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통합되었다. 연해주는 1850년대부터 조선인들이 건너가서 개척하기 시작해...
    도서 위키백과
  • 박동희 朴東禧, 朴東熙
    공산당 선전부 스파스카야 위원장으로 활동하였다. 박순화(朴順化)와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자동차 운전수로 일하다가 1923년 블라디보스토크 고려공산당 간부 문창범(文昌範)의 주선으로 스파스카야 비행장에서 훈련을 마쳤다. 1923년 5월 17일 항일문서 5,000매를 싣고 러시아 적군 헌병대장과 동승하여 블라디보스토크...
    출생 :
    1898년, 함북 길주(吉州)
    사망 :
    1938년 3월 31일
    관련 사건 :
    극동공화국 인민혁명군, 고려혁명군, 대한국민회, 고려공산당 선전부
    주요활동 :
    고려공산당 선전부 활동, 고려공산당 항공부장, 『선봉』 주필
    포상훈격 :
    2006년 건국포장
    관련 인물/단체 :
    극동공화국 인민혁명군, 고려혁명군, 대한국민회, 고려공산당 선전부
  • 고창일 니콜라이 키릴로비치 고가이, 高昌一
    전로한족중앙총회를 중심으로 논의가 집중되었다. 당초 파리강화회의 파견 대표로 러시아 한인 사회의 지도자급 인물인 이동휘(李東輝) ・ 최재형(崔在亨) ・ 문창범(文昌範)이 검토되었다. 1919년 1월 27일 개최된 상설위원회(문창범 ・ 최재형 ・ 한명세 ・ 김안드레이 이바노비치 ・ 김야곱 안드레예비치 ・ 엄주필...
    출생 :
    1893년 4월 6일, 함경북도 경원(慶原)
    사망 :
    미상
    관련 사건 :
    파리강화회의, 국민대표회의
    주요활동 :
    국민의회 대표로 파리강화회의 파견되어 한국 독립 문제를 국제적 여론에 호소, 외교 활동으로 소비에트정부로부터 20만달러를 지원받았고, 그 일부를 국민대표회의 개최비용으로 사용.
    포상훈격 :
    1989년 건국훈장 독립장
    관련 인물/단체 :
    전로한족충앙총회, 대한국민의회
  • 김철훈 金轍壎, 金哲勳
    大韓國民議會)로 개편하였다. 당일에는 블라디보스토크 총영사관에 만세운동과 관련하여 한글과 러시아어로 된 선언서를 전달하였다. 대한국민의회 의장은 문창범(文昌範), 서기는 오창환(吳昌煥)이었다. 이때 부의장으로 활동하였다. 대한국민의회에 이어 중국 상하이(上海)와 서울에서도 각각 임시정부가 수립되면서...
    출생 :
    1885년 8월, 함경북도 명천(明川)
    사망 :
    1938년 10월 10일
    주요활동 :
    노령으로 이주하여 권업회의 회원, 한민학교의 교사, 대한국민의회의 부의장, 대한군민부의 외교부장 등으로 민족운동을 전개
    포상훈격 :
    2006년 건국훈장 애국장
    관련 인물/단체 :
    권업회, 대한국민의회, 조선공산당 만주총국
  • 국민대표회의
    문제는 이후 임시정부의 분열과 함께 국민대표회의 개최를 야기한 중요한 요인 중 하나가 되었다. 상하이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는 이승만·이동휘·박용만·문창범·안창호 등 각지의 명망가들을 각원으로 임명하였다. 그러나 신채호·김숙·박용만등은 이승만의 위임통치 청원 문제로, 문창범은 한성정부의 '승인...
    도서 위키백과
  • 김치보 김감리, 金致寶
    한편, 전러시아 한인들의 자치기관 설립을 위한 활동을 전개하기도 하였다. 1917년 5월 18일 ‘노령한인협회 발기회’가 조직되었는데, 최재형(崔在亨) ・ 문창범(文昌範) ・ 윤 니콜라이 ・ 김 야콥 등과 함께 의사원으로 참가하였다. 이에 따라 6월 17일 니콜스크-우수리스크에서 제1회 전로한족대표회의가 개최되어...
    출생 :
    1859년 9월 17일, 평안남도 평양(平壤)
    사망 :
    1941년 11월 18일
    관련 사건 :
    성명회 선언, 3・17 연해주 독립만세시위, 강우규 의사 의거, 대한독립선언 1주년 기념식, 연해주 4월참변
    주요활동 :
    1908년 연해주의병 조직을 위한 자금 모금, 국민회 블라디보스토크 지방회 회원으로 활동, 1909년 ‘안의사추도회’ 개최, 1910년 ‘성명회 선언서’ 서명, 1911년 권업회의 통신부장, 1918년 신한촌 한민회 회장, 1919년 2월 대한국민의회 상설의회 의원 선출, 3・17 연해주 독립만세시위 이후 대한노인동맹단 조직, 이발 등 노인동맹단 단원의 종로 시위와 강우규 의사의 폭탄 투척 의거를 지원, 대한민국 임시정부 아령총판부 부총판 선임, 고려혁명위원회 조직
    포상훈격 :
    1996년 건국훈장 독립장
    관련 인물/단체 :
    국민회 블라디보스토크 지방회, 청년돈의회, 자선공제회, 신한촌민회, 권업회, 대한국민의회, 대한노인동맹단, 대한민국 임시정부 아령총판부, 고려혁명위원회
  • 대한민국 임시 헌장 大韓民國臨時憲章
    국무원 선거를 실시하였으며, 국무총리 이승만, 내무총장 안창호, 외무총장 김규식, 법무총장 이시영, 재무총장 최재형, 군무총장 이동휘, 교통총장 문창범을 선출하였다. 또한 조소앙(趙素昻)이 제안한 대한민국 임시 헌장 전문 10조를 검토하여 이 중에서 2개 조항에 일부 수정을 거친 후 통과시켰다. 대한민국 임시...
    도서 위키백과
  • 박승길 朴昇吉
    토벌을 피해 러시아 연해주로 이동할 때 박승길은 오하묵(吳夏默) 등과 함께 한인보병자유대대의 일원이 되었고, 러시아 귀화 한인 단체인 대한국민의회의 문창범(文昌範) 등과 활동하였다. 박승길은 다시 중국 둥베이로 가서 둥닝 현[東寧縣]에서 항일 운동을 하였고, 1928년 일본군에게 체포되었지만 탈출에 성공...
    분야 :
    역사
    지역 :
    부산광역시 중구
  • 박인권 朴仁權
    만세운동 이후 길림성(吉林省) 훈춘현(琿春縣) 회룡봉(回龍峯) 지역에서 항일운동에 참가하였다. 1919년 하반기 러시아와 중국 만주지역의 한인 사회에서는 문창범(文昌範)과 이동휘(李東輝) 주도로 의용병을 조직하려고 하였다. 만주지역에서는 임기전(任基甸) ・ 오덕현(吳德鉉) ・ 정주학(鄭周鶴) 등이 이에 호응하여...
    출생 :
    1892년, 미상
    사망 :
    1920년 11월 2일
    주요활동 :
    1919년 의용병 모집 참여, 1920년 경신참변 당시 사망
    포상훈격 :
    1991년 건국훈장 애국장
이전페이지 없음 1 2 현재페이지3 4 다음페이지 없음

관련항목

멀티미디어10건

문창범
문창범 일제감시대상인물카드
하와이 대한민국민회 지방총회에서 발행한 대한독립선언서(1919. 4)
『동아일보』에 실린 신한촌 전경(1920년 4월 12일)
『독립신문』에 게재된 한민학교(1920년 6월 24일)
연해주 우수리스크 푸틸롭카 마을 입구
대한독립선언서(무오독립선언서)
전로한족회 중앙총회 개최지
대한국민의회 독립선언서
이갑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