있는 베일을 벗기는 책(revelatio)인 것이다. 묵시문학은 구약의 예언문학에서 출발한 성서의 매우 독특한 전통에서 연유하고 있으니, 예언자들의 신탁(神託)에 관한 일종의 재해석(re-interpretatio)이라고 규정할 수가 있다. 또 묵시문학은 대략 기원전 2세기부터 성서와 성서주변문학에서 나타나고 있으며(다니 7-12...
단수)], 케루빔[Cherubim(복수)]은 날개가 달려 있고, 천사와 비슷한 존재를 가리키는 히브리 용어이다. 처음에 커룹들은 천사가 아니었는데, 유다교 묵시문학은 그들을 천사와 같은 지위에 올려놓았고 가장 지위가 높은 천사들과 같은 존재로 여겼다. 그리스도교 전승도 이 사상을 받아들였다. 구약 성경에서 묘사하는...
발전과 관련이 있는 좀 더 먼 시기의 일에 관한 것일 때도 있다. 환시의 목적은 하느님의 종들에게 특별한 방향을 제시하고 그들을 안내하는 것이다. 특히 묵시문학을 보면 환시에 대한 정확한 인식과 올바른 해석은 환시 체험자에게 위로와 희망의 수단을 제공하면서 일종의 내밀한 통찰로서 작용했다. 때때로 그릇된...
박힌 그리스도의 환상을 보고 죽는다는 묵시(默示)를 삽입한 작품이다. 또한 망명 시인 치프리안 노르비트(Cyprian Kamil Norwid, 1821-1883)는 동 시대인의 눈...머무르면서 소설의 발달을 위해 공헌했다. 1863년의 민중 최후의 반란 '1월 봉기'가 1년간의 저항도 헛되이 괴멸한 후에는 문학 사상이 낭만주의적 민족...
메시아요 종말론적인 인물로서 하느님께로부터 받은 권위와 권능을 가지고 하늘에서 내려오시는 초월적인 존재로 그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후기 유다교 묵시문학에서도 사람의 아들은 종말에 하느님께서 구원과 심판의 대리자로 보내시게 될 존재로 묘사되어 있다. 이러한 사상들이 신약 성경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성서의 마지막 책이며 표상으로 넘치는 책이다. 예언서로 분류되기도 하지만 엄밀히 말해 이 책은 묵시문학에 속한다고 보는 것이 옳다. 요한 묵시록은 ‘지하 문학’이라고 규정할 수 있는 저술 형태로 쓰였다. 지하 문학은 기원전 200년부터 기원후 200년까지 지속되었고 유다인들과 그리스도인들 모두에게 널리 통용...
하느님의 정의가 달성될 것이라고 생각하여 영혼불멸과 육신부활사상이 움트고 있었으며, 의인은 영원히 하느님과 함께 있기를 바라면서 후기 지혜문학과 묵시문학에서 종말론적 테마가 계시되고 있다. 유태인들의 본래의 전통은 영혼 · 육신을 갈라서 생각하지 않았기에 사람의 불멸을 바라는 생각에는 자연스럽게...
요한의 묵시록, 요한계시록(―啓示錄, 개신교), 요한 묵시록(―默示錄, 가톨릭)는 신약성경의 마지막 책이다. 요한의 묵시록은 신약성경 정경에서 유일한 묵시문학으로, 기독교 종말론에서 중심적인 위치를 차지한다. 이 책의 저자는 본문에서 스스로를 단순히 "요한"이라고 칭하고 있으나, 그의 정확한 정체는 학문적...
① 종말에 완성될 교회를 상징하는 거룩한 도성, 새 예루살렘. 묵시문학은 심판과 구원을 각각 상징하는 두 도시를 대조시킨다. 전자는 허무의 도시(이사 24: 7-13), 교만한 자의 도시(이사 25:2)요, 후자는 하느님 백성의 피난처인 견고한 도시이다(이사 26:1-6). 바빌론은 멸망할 것이며(묵시 17:1-7), 마지막 날에...
사람들이 그리스문화에 깊이 젖어 있던 상태였다. 이런 문제점들을 의식하면서 다니엘서 1장, 3~6장 그리고 13~14장을 읽어 가야 한다. ② 묵시문학 : 유배시대를 기점으로 예언문학은 서서히 하느님의 심판과 이에 뒤따른 구원에 관하여 지대한 관심을 쏟기 시작한다. 종말론적인 이러한 관심은 그에 응답하기 위한...
종말물
Apocalyptic and post-apocalyptic fiction, 終末もの
있다. 현대의 종말의 픽션의 기원은 고대의 묵시적 문학에 그 기원을 볼 수 있다. 세계 각지의 신화나 종교에는 세계나 인간 사회의 마지막을 묘사한 것, 예언한 것이 많이 존재한다. 예를 들면 유다 왕국에서는 바빌론 유수 후에 재액이나 종말에의 지향이 나타나 예언자들에 의한 묵시문학에도 종말에 관한 예언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