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담양군의 교육·문화·의료·복지초군놀이 등이 있으며, 설화로는 지명유래담, 자연물 관련 설화, 역사적 인물에 관한 설화가 전해진다. 민요로는 벼농사와 관련된 〈모판 만드는 소리〉·〈모찌기소리〉·〈풍장소리〉 등 노동요가 전해지고 있다. 2017년 기준 의료기관으로는 병원 1개소, 의원 23개소, 특수병원 2개소, 요양병원 4개소, 치과병원...
-
마산시의 교육과 문화등 지명과 기암에 관한 것이 전한다. 이 지역이 공업화되기 전에는 주로 농업과 어업을 생계로 삼았기 때문에 민요는 농·어업에 관한 노동요가 많다. 〈모찌기노래〉·〈논매기노래〉·〈노젓는노래〉·〈얼기돌리기노래〉·〈그물당기기노래〉 등이 있으며, 의식요로는 〈상여노래〉·〈시집살이노래〉 등이 구전되고...
-
부평두레놀이 부평삼산두레농악, 富平두레놀이할 때 두레를 짜서 농사일의 신명을 돋우던 두레패 농악을 계승한 것이다. 부평삼산두레농악은 농사일 시작 전 의식 및 두레기 받기를 기원하는 당산제, 모찌기, 모심기, 김매기 등의 농사 재현, 농사일이 끝나고 호미를 씻어 걸어두는 호미걸이, 일년 농사를 모두 끝내고 당산에 가서 제사하는 당산제의 네 마당으로...
- 유형 :
- 작품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
이상수 李祥洙및 길쌈하는 소리를 엮어 전국민속경연대회에 출전하여 입상하면서 널리 알려졌다. 1985년 중요무형문화재(현, 국가무형유산) 기예능보유자로 인정되었다. 모찌기등지 · 모심기긴등지 · 짜른등지 · 점심등지 · 해걸음등지 · 상사디여 · 방아타령 · 치기나칭칭 등 고성지방 농사짓기소리의 선소리 기예능을 인정...
- 시대 :
- 현대
- 유형 :
- 인물/근현대 인물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경직도 耕織圖경(耕: 논갈이), 파욕(耙褥: 거친 써레질), 초(耖: 고운 써레질), 녹독(碌碡: 고무래질), 포앙(布秧: 씨 뿌리기), 어음(淤陰: 거름주기), 발앙(拔秧: 모찌기), 삽앙(揷秧: 모심기), 일운(一耘: 애벌 김매기), 이운(二耘: 두벌 김매기), 삼운(三耘: 세벌 김매기), 관개(灌漑: 물대기), 수예(收刈: 벼베기), 등장(登場...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예술·체육/회화
-
함안화천농악 咸安化川農樂한바탕 논다. ⑨ 호호굿:전원이 원형으로 돌며 “호호” 하고 외친다. ⑩ 원풍(遠風)대놀이:원형으로 돌면서 을자진(乙字陣) 등 여러 형태를 만든다. ⑪ 개인놀이 ⑫ 풍년 농사기원굿:4각형 대열에서 씨뿌리기 · 모찌기 · 모심기 · 논매기 · 벼베기 · 타작 · 뒤주 모으기 등을 연희하며 풍년을 기원한다. 참고문헌
- 시대 :
- 현대
- 유형 :
- 작품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중원마수리농요 中原馬水里農謠부르는 '갈뜯는 노래'로 구성된다. 마수리농요는 1972년도 전국 민속예술경연대회에서 대통령상을 수상하였다. 절우자는 경상도 모노래 지대의 잦은 모찌기 소리인 ‘조루자’와 관계가 있는 중원형(型)이며, 더 느린 속도로 가창된다. 그 받음구는 “절우자 절우자 이 모자리를 절우자”이다. 아라성은 아라리류(類)의...
- 유형 :
- 작품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구미 발갱이들소리 농사짓기소리, 龜尾 발갱이들소리필두로 농군들이 나무할 때나 풀 벨 때 부르던 「어사용」 · 「가래질소리」 · 「망깨소리」 · 「목도소리」 등의 잡역노동요, 농사일을 할 때 부르던 「모찌기소리」 · 「모심기소리」 · 「논매기소리」 · 「타작소리」 등의 농업노동요, 세벌 논매기를 마치고 상머슴을 깽이말(걸채)에 태워서 마을로 흥겹게...
- 유형 :
- 작품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강진들노래 강진 신전들노래, 康津들노래내용 강진들노래의 노랫말 내용은 다음과 같다.(‘보메기소리’ 제외) <모찌는소리> (후렴) 어기여차 먼뒤요 어기여차 먼뒤요 어울러 보세 어울러 보세 모찌기를 어울러 보세 먼데 사람은 듣기가 좋고 곁에 계원은 하시기 좋게 이 논배미를 다를 찌면 장구배미로 가서 심세 <모심는소리> (후렴) 에헤 에헤에루 상사뒤요...
- 시대 :
- 조선
- 유형 :
- 작품
- 분야 :
- 예술·체육/국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