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미생물학 Microbiology, 微生物学
    세균, 고균, 진균류, 원생생물 및 바이러스 등에 관해 연구하고 있다. 이 분야에서는 기생충에 관해서도 연구하고 있다. 17-18세기 - 안토니 반 레벤후크의 현미경 관찰에 의해 미생물의 개념이 생긴다. 이 후, 미생물학은 그 행보를 일단 중지하게 된다. 1837년 - 카냐도 - 라투르, 슈원 , 쿠즈쿠 의해 알코올 발효하는...
    도서 위키백과
  • 비뇨생식기병리학 泌尿生殖器病理學, genitourinary system pathology
    포함한 해부학 서적을 집필했다. G. 팔로피우스는 여성 생식기를 연구하여 근대 비뇨생식기 연구에 일조했다. 17세기에는 동물조직학의 창시자인 A. 레벤후크가 1677년 현미경으로 정자를 관찰한 기록을 남겼다. 1841년 스위스의 A. 쾰리커는 정자에 관해 기술한 책을 집필했다. 주요 연구 영역 비뇨생식기계 병리는...
    분류 :
    의약학 > 병리학 > 비뇨생식기병리학
    도서 학문명 백과 | 태그 학문
  • 자연발생설 Spontaneous generation, 自然発生説
    작성이다. 그 외 개구리나 토끼를 만드는 자연발생설을 지지하는 실험도 행해졌다. 자연발생설 부정의 역사는 대부분이 실험에 의한 것이었으나, 레벤후크가 발견한 미생물에 의해 완전긍정이 곤란함에 빠졌다. 어떤 종류의 생물의 자연발생을 부정하더라도 그 실험결과를 부정하는 반론이나 예가 제기되었고, 게다가...
    도서 위키백과
  • 신경안과학 神經眼科學, neuro-ophthalmology
    시신 해부를 통해 시신경을 관찰하고 상세히 묘사했다. 볼로냐의 C. 바롤리오는 뇌를 절개하여 중추신경계로 이어지는 시신경을 관찰했다. 17세기 A. 반 레벤후크가 현미경을 발명하면서 눈을 정밀하게 관찰하고 시각과 뇌의 신경구조를 한층 더 자세히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18세기 G. B. 모르가니는 시신경 질환의...
    분류 :
    의약학 > 안과학 > 신경안과학
    도서 학문명 백과 | 태그 학문
  • 치주과학 齒周科學, periodontology
    B. 에우스타치는 치주 조직의 설명, 입 질병의 치료 방법에 관한 임상 연구를 기반으로 여러 새로운 개념을 제안했다. 1660년 네덜란드의 A. V. 레벤후크는 현미경을 개발해 최초로 입안의 미생물을 관찰함으로써 치주 질환 원인에 관한 과학적 연구의 기초를 이룬다. 우리나라에서는 1960년 10월 서울대 치과대학에서...
    분류 :
    의약학 > 치의학 > 치주과학
    도서 학문명 백과 | 태그 학문
  • 안과학 眼科學, ophthalmology
    고대 로마의 C. 갈레노스도 눈의 구조와 시신경에 관해 연구했고 눈물샘의 존재에 관해 기술했다. 17세기에는 M. 말피기가 돋보기를 발명하고 A. 반 레벤후크가 현미경을 발명하면서 눈의 해부학적 구조를 자세하게 탐구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18세기 말까지는 의학에서 안과는 면허 있는 의사가 취급한 분야가...
    분류 :
    의약학 > 안과학
    도서 학문명 백과 | 태그 학문
  • 현미경 연대표 Timeline of microscope technology
    네덜란드 델프트에 살았던 Anton van Leeuwenhoek(1632-1732)가 최초로 대물렌즈와 오목렌즈를 이용한 현미경을 만들었고 배율은 100-300배 정도 되었다. 레벤후크가 미생물을 관찰한 최초의 사람인 것은 거의 확실하다. 1665년 Robert Hooke가 Micrographia를 출판하고, 코르크 마개에서 그가 발견한 것에 세포(cell...
    도서 위키백과
  • 자위트홀란트주 South Holland, 南ホラント州
    북쪽으로는 노르트홀란트주, 동쪽으로는 위트레흐트주와 헬데를란트주, 남쪽으로는 제일란트주, 노르트브라반트주와 접한다. 최대 도시는 로테르담이며 그 외의 도시로는 레이던, 델프트, 하우다 등의 도시가 있다. 60개 지방 자치체를 관할한다. 자위트홀란트주의 델프트는 레벤후크가 태어난 곳이다. 전거 통제토막글
    도서 위키백과
  • 생태학 Ecology, 生態学
    동물을 없애기 위한 방안을 생각하던 초기 그리스와 로마인의 생각에서 출발해서 수학과 자연사를 이용하여 현대적인 생태학이 발달하게 되었다. 1968년 레벤후크(Leeuwenhoek)는 수리적인 계산을 통해 딱정벌레의 증식률을 계산했고 한쌍의 파리가 3개월에 약 75만 마리의 파리를 생산할 수 있다고 계산했다. 1798...
    도서 위키백과
  • 델프트 Delft, デルフト
    델프트는 네덜란드 자위트홀란트주의 도시로 로테르담과 헤이그의 사이에 있다. 델프트 도기 및 델프트 공과대학교로 유명하다. 이곳에서 레벤후크가 태어났다. 네덜란드 황금 시대 란드스타트레일 전거 통제토막글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1 2 현재페이지3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3건

레벤후크(1632~1723년)
안토니 반 레벤호크(Antonie van Leeuwenhoek)
레벤후크 식물세포 그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