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야인시대의 등장인물
    이 문서는 야인시대의 등장인물 목록을 정리한 문서이다. 안재모 → 김영철 : 김두한 역 (아역 곽정욱) 김혁 → 김영호 : 이정재 역 조상구 : 시라소니(이성순) 역 정동환 : 최동열 역 박영록 : 김영태 역 이혁재 : 김무옥 역 장세진 : 문영철 역 성우진 : 삼수 역 이동훈 → 성동일 : 개코 역 (아역 류종원) 윤용현...
    도서 위키백과
  • 심영 (야인시대)
    직업은 배우였다. 《야인시대》 작품 내 등장 비중은 적었지만 "내가 고자라니!"라는 말로 신드롬을 일으켰다.이 대사로 다양한 심영물이 탄생하였다. 김두한 : 중앙극장 습격 당시에 심영 측에 최루탄을 던지면서 심영을 습격하려고 하였다. 상하이 조 : 의사. 총격을 받은 심영을 치료한 백병원 의사로서 심영이...
    도서 위키백과
  • 이재희 (1924년)
    인물 정보 이재희(李載熙, 1924년 2월 29일 ~ 1986년 8월 4일)는 김좌진의 첫째 며느리이자 김두한의 부인이다. 본관은 전주(全州), 효령대군(이보)의 18대손. 대대로 서울에서 거주한 이재희는 1944년 김두한과 혼인했으며 1945년 10월 10일(음력 9월 5일)에 딸 김을동을 낳았다. 1950년 한국 전쟁 당시 서울 종로구...
    도서 위키백과
  • 문막읍 文幕邑
    반계리에 있는 은행나무는 높이 33m, 둘레 13m의 고목이다. 약 800년 정도 된 것으로 추청된다. 천연기념물 제167호로 지정되어 있다. 건등리에 있는 김두한 가옥은 250년의 세월 동안 보존된 고택이다. 강원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 제86호로 지정되어 있다. 또한 건등리와 동화리 일대에는 원주자동차부품일반산업단지와...
    인구 :
    18,553 (2019)
    면적 :
    104.3㎢
    행정구역 :
    41개리 210개반 (법정리 10개리)
    소재지 :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강원도
  • 왕초 (드라마) 王朝 (韓國電視劇)
    차인표 - 거지왕초 김춘삼 상사 (멸치) 역 송윤아 - 한연지 역 김남주 - 민재 역 김상경 - 이한영 중위 → 소령 → 중령 (김빠) 역 이훈 - 국회의원 의송 김두한 역 박철 - 임형도 역 김세준 - 앵무새(안무새 하사) 역 (아역 최상학) 이혜영 - 까마귀 역 허준호 - 발가락(심순동) 역 정준호 - 동대문 상인연합회 이정재...
    도서 위키백과
  • 유진산 柳珍山
    청년운동의 활성화에 전력했다. 1946년 4월 9일 좌익청년단체 조선민주청년동맹에 대항한 우익청년단체 대한민주청년동맹을 조직해 회장으로 활동했다. 김두한이 감찰부장으로 있던 이 단체는 미군정에 의해 폭력단체로 해산명령을 받자 1947년 '청년조선총동맹'이라는 조직으로 개명하여 계속 반공활동을 전개했다...
    출생 :
    1905. 10. 18, 충남 금산
    사망 :
    1974. 4. 28, 서울
    국적 :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 야인시대 Rustic Period, 野人時代
    정리 필요외부 미디어 《야인시대(野人時代)》는 2002년 7월 29일부터 2003년 9월 30일까지 방송했던 SBS 월화 드라마로 김두한의 일대기를 그렸다. 또한 야인시대의 회당 최고 시청률은 야인시대 제작사 SBS 프로덕션의 모체 SBS를 비롯한 9개 지역 민방 네트워크를 기준으로 51.8%며 분당 최고 시청률은 57.4%다. 한편...
    도서 위키백과
  • 장동휘 張東暉
    보이는 그의 모습은 화려한 테크닉의 무술로 대표되는 액션 영화와는 거리가 있었으나, ‘보스’ 혹은 ‘큰형님’의 이미지에는 딱 들어맞아 암묵적으로 ‘김두한=장동휘’의 공식을 일반화하며 〈명동 출신〉(1969)·〈명동 노신사〉·〈명동 백작〉 등 ‘명동 사나이’ 시리즈를 주도했다. 〈대평원〉(1963...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배우
  • 김승호 해수, 金勝鎬
    본명은 해수(海壽). 3대독자로 태어나 보성중학을 중퇴했다. 1937년 김두한의 소개로 동양극장 전속인 청춘좌에 들어가 연기생활을 시작했고 해방 이후 자유극장에서 본격적인 연극활동을 했다. 이후 서월영·유계선 등과 함께 극단 청탑을 만들어 공연했고 극단 대지, 낭만극장의 대표를 지냈다. 1948년 박기채 감독의...
    출생 :
    1918. 7. 13, 강원 철원
    사망 :
    1968, 서울
    국적 :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배우
  • 김좌진장군묘
    암살 직후 만주땅에 묻혔다가 아내 오숙근 여사가 1940년에 유해를 비밀리에 홍성군 서부면 이호리에 안장하였다. 그 후 1957년 부인이 타계하자 아들 김두한이 현 위치에 합장하였다. 현재 묘역에는 뒤편으로 담장이 설치되어 있으며, 봉분은 아랫부분에 둘레석을 둘렀다. 봉분 앞에는 상석과 장명등이, 옆에는 묘비가...
    위치 :
    충청남도 보령시 청소면 재정리 162-7
    문화재 지정 :
    [김좌진장군묘] 충청남도 기념물 제73호(1989.12.29 지정)
  • 홍성유 백파, 洪性裕
    도박 기술을 익혀 한때 도박의 달인으로 통하기도 했다. 대표작으로는 〈조선일보〉에 1985~88년에 걸쳐 무려 1,432회를 연재한 〈인생극장〉이 있다. 김두한(金斗漢)을 중심으로 한국 현대사의 이면을 그린 작품으로, 뒤에 〈장군의 아들〉(전8권)로 제목이 바뀌어 발간되었으며 임권택 감독이 같은 제목으로 영화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가
  • 서월영 徐月影
    巨鯨傳〉 등에 출연하였다. 광복 후 서월영은 토월회와 청춘좌·중앙무대·고협 등에서 꾸준히 함께 했던 심영과, 좌익과 우익 계열로 갈라졌다. 심영이 김두한에게 피습을 받고 월북한 뒤 그는 김승호(金勝鎬) 등과 함께 극단 청탑(靑塔)을 창설하였으며, 반공영화 〈성벽을 뚫고〉에도 출현하였다. 1967년까지 신상옥...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배우
이전페이지 없음 1 2 현재페이지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8건

김두한
김두한 가옥
김두한 가옥
김두한 가옥
실록 김두한
김두한가옥
김두한가옥
김두한(1918-1972)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