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전 고종 익선관 傳 高宗 翼善冠
    양각(兩角)이 모두 자색의 비단으로 싸여진 아주 정교한 익선관으로 높이 18㎝, 지름 17㎝의 크기이다. 모체는 사모와 같이 뒷부분이 높고 앞부분이 낮으며, 뒤로는 양각(兩角)이 위로 향하여 솟아 있다. 양각은 가장자리를 쇠철사와 같은 단단한 것으로 형체를 잡아 주었으며 가장자리는 검은색으로 둘러있다. 안쪽...
    시대 :
    근대
    유형 :
    유물
    분야 :
    생활/의생활
  • 해치관 어사관, 獬豸冠
    중국에서 규정되어 있고 어사(御使)가 이를 쓰기로 되어 있다. 한나라 때의 이므로 이것이 조선시대에 있었을 것으로는 여겨지지 않으며, 『경국대전』의 규정...양관의 앞에 해태상을 붙여 법관으로 인식하였던 것 같다. 어사관(御使)이라고도 한 것으로 미루어 어사가 좌기(坐起 : 관청의 우두머리가 출근하여 일...
    성격 :
    관모, 모자
    유형 :
    물품
    용도 :
    관복, 법관복
    분야 :
    생활/의생활
  • 내용이 없습니다
  • 면류관 冕旒冠
    고려에서 조선까지 국가 대제(大祭), 왕 즉위시, 가례시에 왕·왕세자가 면복(冕服)에 쓰던 이다. 겉은 현색증(玄色繒)이고 안은 훈색증(纁色繒)이며 앞은 둥글고 뒤는 네모난 평천판을 더했으며, 여기에 유(旒), 광(纊), 진(瑱) 등의 수식을 더했다. 〈참조어〉 평천관
    도서 패션큰사전 | 태그 의류
  • 치포관 緇布冠
    조선 시대 유생(儒生)들이 평거(平居)시에 쓰던 이다. 검은 베로 상투를 쌀 정도의 크기로 만들어 쓴 이다.
    도서 패션큰사전 | 태그 의류
  • 평천관 平天冠
    왕이 면복(冕服)을 입을 때 쓰는 으로, 위에 놓인 판이 평평하다고 하여 평천관이라 한다. 겉은 현색(玄色), 안은 홍색으로 하며 유(旒)를 관의 앞뒤에 달기 때문에 면류관(冕旒)이라고도 한다.
    도서 패션큰사전 | 태그 의류
  • 구휘사봉관 九翬四鳳冠
    고종(高宗) 황제 즉위시 황태자비가 대례복에 쓰던 으로, 칠죽사(漆竹絲)로 둥글게 만들어 비취 장식을 하며, 입에 주적을 물린 취휘(翠翬) 아홉, 금봉(金鳳) 넷을 붙인다. 취운(翠雲)이 40편(片), 대주화(大珠花)·소주화(小珠花)가 9수(樹)이다.
    도서 패션큰사전 | 태그 의류
  • 해태관 獬豸冠
    법을 집행하는 관원이 쓰는 으로 《경국대전》에 의하면 ‘조복 사량관 앞에 해태를 붙인다’라고 되어 있다. 해태는 싸우는 모습이 소와 같되 사악한 자(者), 부정한 쪽을 문다는 전설에 의해 법관(法冠)으로 규정되었다. 어사관(禦使)이라고도 한다.
    도서 패션큰사전 | 태그 의류
  • 익선관 翼善冠
    유물설명 임금이 편복(便服)으로 정무(政務)를 볼 때 쓰는 이다. 관의 모체(帽體)가 2단으로 앞은 낮고 뒤는 높으며, 뒤에 부착된 양각이 위를 향해 솟아있다. 표면을 청색 사(紗)로 감쌌다.
    분류 :
    유물 > 의상
    크기 :
    높이: 20.6cmcm, 최대길이: 16.5cmcm
    재질 :
    견, 말총
  • 동파관 東坡冠
    조선 시대 사대부가 평시에 쓰던 으로, 형태는 당건(唐巾), 사방건(四方巾)의 옆에 위로 올라가는 수(收)가 덧달렸다. 말총으로 만들고 외관(外冠)으로 착용했으며, 망건 위에 탕건(宕巾)을 쓰고 그 위에 착용했다.
    도서 패션큰사전 | 태그 의류
  • 진현관 進賢冠
    조선 시대 아악(雅樂)의 문무(文舞)를 추는 악생(樂生)과 악공과 둑잡이가 쓰는 이다. 종이를 배접하여 겉은 검은 칠을 하고 안은 고운 베를 바른다. 모자에 황색 선(襈)을 그리고 청색 명주끈을 단다.
    도서 패션큰사전 | 태그 의류
  • 상투
    조선 시대 임금이 평거시(平居時)에 사용하던 ()으로 망건(網巾)을 두르고 상투 위에 썼다.
    도서 패션큰사전 | 태그 의류
이전페이지 없음 1 2 현재페이지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관련항목

멀티미디어1건

갓 관(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