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추성문 현판 秋成門 懸板
    추(秋)’는 서쪽을 의미하고 ‘춘(春)’은 동쪽을 의미하는데 일례로 영추문(迎秋門)과 건춘문(建春門)을 들 수 있다. 추성문의 의미는 『문원영화(文苑英華...열매가 여문다(春華旣落秋實就成)’에서도 찾을 수 있다. 1868년(고종 5) 경복궁의 서쪽 담장문(西墻門)을 추성문으로 정하였는데, 현판 뒷면에도 ‘신무문 밖...
    분류 :
    유물 > 현판
    크기 :
    가로: 188cmcm, 세로: 91cmcm
    재질 :
    나무 / 피나무
  • 연추문계 延秋門契
    조선시대 북부 의통방에 있던 계로서, 계 이름은 경복궁의 서문인 연추문, 혹은 영추문에서 유래되었다. 영조 때부터 고종 초기까지 있었으나 갑오개혁 때 행정구역을 개편하면서 없어졌다. 현재 행정구역으로는 종로구 효자동 일부에 해당된다.
    유형 :
    동명
    도서 서울지명사전 | 태그 서울
  • 대은암천
    쪽에 있는 수문을 통하여 궁내로 유입되어 향원지와 경회루의 물을 이룬다. 두 물줄기는 경회루 남서쪽에서 합쳐져 남쪽 방향으로 흐르다가 영추문 근처에서 직각으로 꺾어지면서 경복궁내수를 분류(分流)시키고, 흥례문과 근정문 사이로 흐르다가 수문으로 빠져나가 동십자각 남쪽에서 삼청동천으로 흘러든다. 조선...
    도서 위키백과
  • 사재감
    호조의 정3품 아문으로 설치했다. 1403년(태종 3년)에 사수감과 합쳐졌다가 1422년(세종 14년)에 다시 떨어져 나왔다. 1882년(고종 19년)에 폐지되었다. 사재감 청사 위치는 시대에 따라 변동되었으나 대부분 기간은 경복궁의 서쪽, 구체적으로는 경복궁 서문인 영추문에서 약 150미터 정도 떨어진 지점에 있었다.토막글
    도서 위키백과
  • 백호 White Tiger (mythology), 白虎
    세계를 지키고 바람을 가르는 빠른 속도로 달리다. 한국에서는 고구려와 고려 시대의 무덤 벽화에 다른 사신들과 같이 그려져 있다. 또한 조선 경복궁의 서쪽 문인 영추문에도 백호가 새겨져 있다. 집안과 평양의 무덤에서 백호의 그림을 찾아볼 수 있다. 백호의 방향이나 형태는 그림마다 약간씩 차이가 있다. 집안: 춤...
    도서 위키백과
  • 의안대군 (1382년) 李芳碩, 宜安大君
    제거되고 난 뒤, 정안대군 세력은 세자를 방석에서 영안대군 이방과(永安君 李芳果·후일의 정종)로 교체했다. 유배되기로 한 폐세자 방석은 잠시 후 영추문을 통해 경복궁에서 나왔고, 이거이(李居易) 등 정안군 세력은 도평의사사와 합의하여 자객을 보내 방석을 죽였다. 사후 시신은 경기도 광주에 안장되고 오원공...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1 2 현재페이지3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30건

경복궁 영추문 
 경복궁, 영추문, 관동별곡 
 hangidan 
 Flickr
경복궁 영추문
경복궁 영추문
경복궁 영추문
경복궁 영추문
경복궁 영추문
경복궁 영추문
경복궁 영추문
경복궁 영추문
경복궁 영추문
경복궁 영추문
경복궁 영추문 상량문
경복궁 영추문 상량문
경복궁 영추문 소문
경복궁 영추문 내측
경복궁 영추문 외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