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강맹경 姜孟卿, 姜孟卿
    1451년(문종 1) 우부승지에 임명되고, 이듬해 도승지의 자리에 올랐다. 1453년(단종 1) 이조참판에 임명되었고 예문관제학, 의정부우참찬 등도 지냈다. 계유정난에서 세조의 집권에 공이 있어 좌익공신 2등에 책록되고 진산부원군(晋山府院君)에 봉해졌다. 1456년(세조 2) 좌찬성에 임명되었고 이듬해에는 우의정, 그...
    도서 위키백과
  • 이현로 (인물)
    1452년 9월 6일 수양대군이 자신의 부하들을 시켜 이현로를 야산으로 끌고 가서 폭행한 사건이 있었는데 이른바 이현로 폭행 사건이다. 이듬해 1453년 계유정난(癸酉靖難) 때 세종(1450년 붕어)의 둘째아들 수양대군(首陽大君, 훗날 세조)이 보낸 수하들의 손에 암살되었다. 홍성민 - 설중매(MBC, 1984년~1985년) 안형식...
    도서 위키백과
  • 박원형
    7촌)이 연좌되어 죽고 그의 가족이 노비로 분배될 때, 재종숙의 노비 출신 첩이었던 의비(義非)를 자신의 첩으로 삼아 두 명의 아들을 두었다. 부인: 우승원의 딸 아들: 박안성(朴安性) 손자: 박수문(朴守紋) 계유정난 세조 찬위 단종 복위 운동 봉석주 한명회 신숙주 정인지 종묘배향공신좌의정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도서 위키백과
  • 정차온
    선위하고 상왕이 되자 '충신(忠臣)은 두 임금을 섬길 수 없다' 하며 벼슬을 버리고 고향으로 내려왔다. 세조가 평양판관(平壤判官)을 제수(除授)하였으나, 나아가지 않고 학문 연구와 후진 양성에 전념했다. 세조 찬위 계유정난 정희균 정차양 아들 정희균의 입격기록 1 아들 정희균의 입격기록 2 토막글 [분류:1399...
    도서 위키백과
  • 충희공 이인손 묘
    지냈다. 1429년(세종 11) 천추사(千秋使)의 서장관으로 명(明)에 다녀온 후 형조좌랑과 대사헌 등을 역임하였다. 1454년(단종 2) 수양대군(首陽大君)이 계유정난(癸酉靖難)을 일으켜 정권을 잡게 되자 호조판서에 승진되었고, 이듬해 세조의 즉위와 함께 원종공신(原從功臣) 2등에 봉해졌다. 이후 판중추부사와 우찬성...
    도서 위키백과
  • 정혜옹주 (태종)
    옹주는 결혼한 지 5년만인 1424년에 죽었고 세종은 이에 조회와 저자를 정지하고 쌀·콩 1백 석과 종이 1백 권을 부조하였다. 박종우는 이후 재취하였고 계유정난에 협력하여 정난공신(靖難功臣) 1등에 책록되고 운성부원군(雲城府院君)으로 봉해졌다. 친정 전주 이씨(全州 李氏) 아버지 : 제3대 태종 어머니 : 의빈 권...
    도서 위키백과
  • 금오신화 Geumo Sinhwa, 金鰲新話
    소설의 형태로 등장인물은 모두 재자가인이며, 현실과는 거리가 있는 한가적이고, 비현실적인 내용을 다루고 있다. 과거시험을 준비하다가 세조의 쿠데타(계유정난)이 일어나자 세상에 나아갈 뜻을 꺽고 생육신으로 살았던 김시습의 철학이 담긴 단편소설들이기 때문에 방외인 문학이라고 불린다. 《금오신화》는 일본...
    도서 위키백과
  • 정홍덕 (조선 전기)
    에는 명나라에 파견되는 사신으로 연경에 다녀왔다. 귀국 후, 단종이 폐위당하자 벼슬을 버리고 낙향하였다. 1457년에 단종 복위 운동의 실패로 단종이 유배지에서 죽음을 당하자 자결을 시도하였으나, 실패하여 모친과 함께 전라북도 남원의 교룡산으로 낙향하여 여생을 보냈다. 단종 복위 운동 계유정난 세조 찬위 토막글
    도서 위키백과
  • 이척 (조선)
    조선 전기의 훈구파 문신이다. 본관은 여주(驪州)이다. 교위공파 이인덕의 10세손이자 대제학을 지낸 이행(李行)의 아들이다. 양녕대군과는 사돈관계이며, 계유정난 공신이자 영의정을 지낸 후 종묘에 배향된 한명회의 외조부이고, 예종 비 장순왕후와 성종 비 공혜왕후의 증외조부이다. 대제학을 지낸 이행(李行)의...
    도서 위키백과
  • 정차양 (1424년)
    1455년(단종 3) 세조(世祖)가 훈신들의 추대를 받아 단종(端宗)을 폐위하고 즉위하자 형(兄)들과 더불어 벼슬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와 평생 은거하였다. 그의 형제 5명이 관직에 올랐다가 일시에 다같이 돌아와 세칭(世稱) 오영교(五榮橋)라고 하였다. 계유정난 세조 찬위 단종 복위 운동 정차온 원호 정보 생육신 토막글
    도서 위키백과
  • 회인 홍씨
    회인 홍씨(懷仁洪氏)는 충청북도 보은군 회인면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회인 홍씨(懷仁 洪氏) 시조 홍연보(洪延甫)의 증손자 홍윤성(洪允成)이 계유정난 때 수양대군을 도와 정난공신 2등이 되고, 예종 때에는 좌의정을 거쳐 영의정에 올랐으며, 인산부원군(仁山府院君)에 봉해졌다. 회인(懷仁)은 충청북도...
    도서 위키백과
  • 정극인
    軒)ㆍ다헌(茶軒)ㆍ다각(茶角)이다. 세종 때 생원시에 급제하였으며, 문종 때 학행으로 추천을 받았다. 1453년 단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정언에 이르렀으나, 계유정난으로 단종이 왕위를 빼앗기자 사퇴하고 고향인 태인으로 내려가 후진 양성에 힘썼다. 1472년 성종 때 후진 양성에 노력한 공으로 3품 교관이 되었다...
    도서 위키백과

멀티미디어2건

조선 세조
신숙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