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옹딘 Ondine (play)
    《옹딘》(Ondine)은 장 지로두의 3막 희곡이다. 젊고 범용(凡庸)한 기사 한스는 지상(地上)의 인간을, 물의 정(精) 옹디느는 자유롭고 큰 자연을 대표케 하여 두 사람의 사랑과 한스의 죽음으로 인한 비련과 별리(別離)를 묘사하고 있다. 이 비극적인 상황에 지로두 특유의 그러한 것들의 조화, 새로운 질서의 꿈, 소망...
    도서 위키백과
  • 장 아누이 Jean Anouilh, ジャン・アヌイ
    맞지 않아 중단하고 광고 회사에 다니며 일종의 문장 훈련 기간을 보낸다. 청년 아누일은 샹젤리제 극장에서 자주 공연을 관람했는데 1928년 공연된 장 지로두(Jean Giraudoux)의 <지그프리트(Sigfried)>에 완전히 매료되어 연극계에서 일하기로 결심한다. 그는 당시 샹젤리제 극장의 상임 연출가였던 루이 주베(Louis...
    도서 위키백과
  • 카산드르 Cassandre, アドルフ・ムーロン・カッサンドル
    오로지 그래픽 디자인 분야에서만 활약을 계속하여 디자인 근대화의 선구적인 추진자가 되었고 아울러 국제적으로도 큰 영향력을 가지게 되었다. 또한 그는 지로두와 모차르트 가극의 무대장치도 한 적이 있었다. 카산드르 설계를 통해 Deberny & Peignot에 의해 제작된 글꼴 타입은 다음과 같다: Acier Noir (1936...
    도서 위키백과
  • 에드비주 푀예르 Edwige Feuillère
    10월 29일 ~ 1998년 11월 13일)는 프랑스의 배우다. 극계의 귀부인이란 별명이 있다. 불바르에서도 품위 있는 연기를 보였고, 바로의 극단에 객연(客演)하여 지로두나 폴 클로델의 작품에서 깊은 문학적 이해를 보이고 있다. 올리비아 (1951) 메이어링에서 사라예보까지 (1940) 데얼즈 노 투모로우 (1939) 골고다 (1935...
    도서 위키백과
  • 장루이 바로 Jean-Louis Barrault, ジャン=ルイ・バロー
    가까이 가로수로 둘러싸인, 파리에서도 가장 호화스러운 이 대극장에서, 지드의 번역에 의한 <햄릿>을 스타트로, 라신에서부터 카프카, 몰리에르에서부터 아샤르, 지로두에서부터 사르트르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상연 종목으로 인기를 모았는데, 특히 폴 클로델의 <크리스토프 콜롱의 서>의 연출에서 전체적 연극을 주장...
    도서 위키백과
  • 새뮤얼 베어먼 S. N. Behrman
    그의 대표작은 <유성(流星)>(1929)에서 시작되어 <한순간>(1931), <자전(自傳)>(1932), <즐겨하는 술>(1936), <희극적인 때가 아니다>(1939) 등이며, 지로두의 <앙피트리옹 38>의 각색이나 조슈아 로간과의 공동작으로 파뇰 작품을 뮤지컬화(化)한 <화니>등의 명작도 남기고 있다. 엘리아 카잔이 링컨 센터에서 활약해...
    도서 위키백과
  • 크리스토퍼 프라이 Christopher Fry
    과 천사들>(1948) <맏아들>(1948) <포로의 잠>(1951)과 같은 종교사극(宗敎史劇)은 물론 성서극(聖書劇)에도 뛰어나며, 아누이의 <성(城)으로의 초대>나 지로두 작품의 번역도 있다. 50년대 후반부터 1961년 <짧은 외투>를 발표할 때까지 몇 해의 공백이 있었고, 다시 침묵이 계속되다가 1970년 9년 만에 <태양의 뜰>을...
    도서 위키백과
  • 루이 주베 Louis Jouvet, ルイ・ジューヴェ
    계산된 명쾌한 연출과 연기로 라틴적 지적 시정(知的詩情)을 낳았다. 쥘 로맹의 <크노크>나 아샤르의 <달님, 장>에서 명연기를 보였을 뿐만 아니라, 극작가 지로두를 낳았고, 한평생 그와 떨어질 수 없는 협력자가 됐다. 고전의 상연에도 뛰어나, 특히 몰리에르의 <신부학교> <돈주앙> <타르튀프> 등에 독창적인 해석을...
    도서 위키백과
  • 코메디 프랑세즈 Comédie-Française, コメディ・フランセーズ
    주베의 협력도 얻어 여러 가지 개혁을 행하고, 46년 오데온 극단을 합병한 뒤 새로운 작품을 적극적으로 채택하게 되어, 욘넬이나 앙리 롤랑이 활약하고 지로두, 루노 등을 육성시켰다. 1959년 다시 오데온 극단을 잃었으나 자크 샬롱, 로베르 일슈, 아니 듀코 등을 중심으로 하여 몰리에르, 라신 등의 고전은 물론 페이...
    도서 위키백과
  • 엘렉트라 Electra, エーレクトラー
    스트로피오스 왕의 아들 필라데스(방황하는 오레스티스를 도와 항상 그의 곁에 있었다.)와 엘렉트라는 사랑에 빠져 결혼하게 된다. 오레스테이아, 아이스킬로스의 비극 3부작 엘렉트라, 소포클레스의 연극 엘렉트라, 에우리피데스의 연극 엘렉트라, 장 지로두의 연극 엘렉트라, 다닐로 키스의 연극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도서 위키백과
  • 그리스 신화와 서양 예술 Classical mythology in culture, ギリシ..
    취미의 영역에 속하여 있다."T. Bulfinch (1855). , p.11. Sanborn, Carter, and Bazin. 근대에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프랑스의 장 아누이, 장 콕토, 장 지로두, 미국의 유진 오닐, 영국의 T. S. 엘리엇 등의 주요 극작가와 아일랜드인 제임스 조이스, 프랑스인 앙드레 지드 등의 주요 소설가가 고전 신화 속 주제를...
    도서 위키백과
  • 엘렉트라 (소포클레스) Electra (Sophocles play), エレクトラ (ソポク..
    인 애덤 브랜트와 놀아난 어머니 크리스틴을 증오하는 딸로, 오레스테스에 해당하는 오린을 어머니 크리스틴을 사랑하는 아들로 그려낸다. 프랑스 극작가 지로두(Jean Giraudoux)는 <엘렉트라>(1937)에서 공포와 불안 속에서 삶의 환멸감을 표출하는 현대인을 묘사한다. 독일의 극작가 하웁트만(Gerhard Hauptmann)의...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1 현재페이지2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1건

장 피에르 지로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