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조호익 사우(士友), 曺好益
    心經質疑考誤)』·『가례고증(家禮考證)』·『주역석해(周易釋解)』 ·『역상추설(易象推說)』·『논위학지요(論爲學之要)』·『이기유석등변(理氣儒釋等辨)』·『대학동자문답(大學童子問答)』·『소황이두시가구주(蘇黃李杜詩家句註)』가 있다. 시호는 정간(貞簡)이었으나, 뒤에 문간(文簡)으로 개시되었다. 참고문헌
    시대 :
    조선
    출생 :
    1545년(인종 1)
    사망 :
    1609년(광해군 1)
    경력 :
    정주목사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학자
    대표작 :
    지산집, 심경질의고오, 가례고증, 주역석해, 역상추설, 논위학지요, 이기유석등변, 대학동자문답, 소황이두시가구주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창녕(昌寧)
  • 이목 중옹(中雍), 李穆
    육덕(六德)을 설파하기도 하였다. 저서로 『한재문집(寒齋文集)』 · 『이평사집(李評事集)』이 있다. 상훈과 추모 1552년(명종 7) 이조참판, 1707년(숙종 33) 이조판서에 추증되었다. 충청남도 공주의 충현서원(忠賢書院)과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의 황강서원(黃崗書院)에 제향되었다. 시호는 정간(貞簡)이다. 참고문헌
    시대 :
    조선
    유형 :
    인물/전통 인물
    분야 :
    종교·철학/유교
  • 채충순 정간(貞簡), 蔡忠順
    內史侍郎平章事兼西京留守)가 되고, 이듬해 태자소사(太子少師), 1025년 판상서예부사(判尙書禮部事)를 역임하였다. 1027년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郎平章事)에 승진되었으며, 1030년 판서경유수사(判西京留守事)가 되었다가 이듬해 병으로 치사(致仕)하였다. 글씨에도 일가를 이루었으며, 시호는 정간(貞簡)이다. 참고문헌
    시대 :
    고려
    출생 :
    미상
    사망 :
    1036년(정종 2)
    경력 :
    판서경유수사(判西京留守事),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郎平章事)
    유형 :
    인물
    관련 사건 :
    김치양(金致陽)의 난
    직업 :
    관리, 문신
    성별 :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조원명 치경(致卿), 趙遠命
    가자되고 기로소(耆老所)에 들어갔다. 한성부판윤·동지성균관사·지중추부사·공조판서를 역임하고, 1749년 정헌대부로 의정부좌참찬을 지냈다. 평생 50년을 조정에 봉직했으나 사사로움이 없었다. 평양감사를 지냈으면서도 돌아오는 행장은 타고 나선 말 한 필 뿐이었다고 한다. 시호는 정간(貞簡)이다. 참고문헌
    시대 :
    조선
    출생 :
    1675년(숙종 1)
    사망 :
    1749년(영조 25)
    경력 :
    평안도관찰사, 공조참판·부총관·동지경연사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풍양(豊壤)
  • 정창성 희천(希天), 鄭昌聖
    백성을 제대로 진휼치 못하고 막료의 말에 현혹되어 정무를 돌보지 못했다는 이유로 파직되었다. 또, 막비 윤창문(尹昌文)·김남초(金南楚) 등이 칙사접대비 10만 냥을 유용한 사건의 책임을 물어 중화부(中和府)·운산군(雲山郡)·삭주부(朔州府) 등으로 유배되었다. 1794년에 정간(靖簡)이란 시호를 받았다. 참고문헌
    시대 :
    조선
    출생 :
    1724년(경종 4)
    사망 :
    미상
    경력 :
    우참찬, 평안도관찰사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온양(溫陽)
  • 허후 일영(一寧), 許詡
    훗날 좌찬성에 제수되었으나 이를 끝까지 고사하다 결국 거제도에 안치된 뒤 교살되었다. 1791년(정조 15) 단종을 위해 충성을 바친 신하들에게 어정배식록(御定配食錄)을 편정(編定)할 때 정단배식(正壇配食) 32인에 함께 향사되었다. 그리고 괴산의 화암서원(花巖書院)에 제향되었다. 시호는 정간(貞簡)이다. 참고문헌
    시대 :
    조선
    출생 :
    미상
    사망 :
    1453년(단종 1)
    경력 :
    좌부승지, 우참찬, 예조판서
    유형 :
    인물
    관련 사건 :
    계유정난
    직업 :
    문신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하양(河陽)
  • 김영후 온재(穩齋), 金永煦
    변정도감(辨整都監)을 파할 것을 주장했다가 받아들여지지 않자, 병을 칭탁하고 조정에 나가지 않았다. 1356년 원나라에서 왕에게 친인보의선력봉국창혜정원(親仁保義宣力奉國彰惠靖遠)이라는 공신호를 내린 것에 사은(謝恩)하기 위해 원나라에 갔다온 뒤, 상락후(上洛侯)에 봉해졌다. 시호는 정간(貞簡)이다. 참고문헌
    시대 :
    고려
    출생 :
    1292년(충렬왕 18)
    사망 :
    1361년(공민왕 10)
    경력 :
    좌정승, 우정승, 상락후
    유형 :
    인물
    관련 사건 :
    조적의 난, 심양왕 고의 모반
    직업 :
    문신
    성별 :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본관 :
    안동(安東)
  • 권혁 자장(子章), 權爀
    김치인(金致仁)의 탄핵으로 파직되었다. 다음해 우의정 정우량(鄭羽良)의 천거로 대사헌에 등용되었다. 1752년 부제학을 거쳐 1755년에 호조참판, 이듬해 우부빈객·함경도관찰사·지돈녕 등을 지내고, 1758년 대사헌을 거쳐 이조판서가 되었다. 1796년(정조 20) 청백리가 되었다. 시호는 정간(靖簡)이다. 참고문헌
    시대 :
    조선
    출생 :
    1694년(숙종 20)
    사망 :
    1759년(영조 35)
    경력 :
    이조판서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안동(安東)
  • 홍억 유직(幼直), 洪檍
    죄로 파직당하였다. 이듬 해 대사헌이 된 뒤 내의원제조(內醫院提調)·한성부판윤, 예조·형조·공조 등의 판서를 역임하였다. 1793년 판의금부사에 이어 지경연사를 겸하였다. 1798년 광주부유수(廣州府留守)를 거쳐, 1804년(순조 4) 지의금부사가 된 뒤 지중추부사를 역임하였다. 시호는 정간(貞簡)이다. 참고문헌
    시대 :
    조선
    출생 :
    1722년(경종 2)
    사망 :
    1809년(순조 9)
    경력 :
    한성부판윤, 공조판서, 광주부유수(廣州府留守), 지중추부사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남양(南陽, 지금의 경기도 화성)
  • 이명 요서(堯瑞), 李蓂
    1557년 좌참찬이 되어 세자빈객(世子賓客)을 겸하였다. 1559년 좌찬성, 1564년 우의정이 되었다. 이듬해 나이 70이 되어 사직할 것을 청하여 궤장(几杖)을 하사받았다. 1566년 좌의정이 되었다가 선조 즉위 초 나이가 많아 사직하고 영중추부사가 되었다. 명종 때 청백리에 녹선되었다. 시호는 정간(貞簡)이다. 참고문헌
    시대 :
    조선
    출생 :
    1496년(연산군 2)
    사망 :
    1572년(선조 5)
    경력 :
    좌찬성, 우의정, 좌의정
    유형 :
    인물
    관련 사건 :
    을사사화
    직업 :
    문신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예안(禮安: 지금의 경상북도 안동)
  • 유옥 계언(啓彦), 柳沃
    없어 영암의 월출산(月出山)에 기도해 태어난 유옥은 어려서부터 문장에 뛰어나 신동으로 불렸다. 장성해 문무를 겸비했으나 젊은 나이로 요절해 대신들도 애석해하였다. 1805년(순조 5) 이조판서에 추증되었고, 순창의 화산서원(花山書院)에 제향되었다. 저서로는 『석헌집』이 있다. 시호는 정간(靖簡)이다. 참고문헌
    시대 :
    조선
    출생 :
    1487년(성종 18)
    사망 :
    1519년(중종 14)
    경력 :
    사헌부장령, 의정부사인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대표작 :
    석헌집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문화(文化: 지금의 황해도 신천)
  • 임호신 무백(武伯), 任虎臣
    뒤 청백리에 녹선(錄選)되었다. 1552년 경연특진관, 이듬 해 한성부좌윤, 1554년 우윤을 거쳐 1555년 형조판서에 제수되었으나 신병으로 사직하였다. 1556년 호조판서에 기용되었으나 다시 병으로 사직하고 지돈녕부사 역임 중 돌아갔다. 청정(淸淨)하고 신중함이 뛰어나다는 평을 받았다. 시호는 정간(貞簡)이다. 참고문헌
    시대 :
    조선
    출생 :
    1506년(중종 1)
    사망 :
    1556년(명종 11)
    경력 :
    호조판서, 경상도관찰사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풍천(豊川, 지금의 황해도 송화)
이전페이지 없음 1 현재페이지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관련항목

멀티미디어2건

정간(coffer)
장백정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