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안국빈 관보(觀甫), 安國賓개선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그 공로를 인정받아 1749년(영조 25) 황해도 장연(長淵) 현감(縣監)에 임명되었으며 1758년(영조 34) 즈음에는 관품이 종1품 숭정대부(崇政大夫)에 올랐다. 1759년에는 핼리 혜성(Halley彗星)과 일식 등 주요 성변(星變)을 관측하고 그에 관해 영조에게 조언하는 모습이 문헌에 기록되어 있다...
- 시대 :
- 조선후기
- 유형 :
- 인물/전통 인물
- 분야 :
- 과학/과학기술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정세호 자인(子仁), 鄭世虎을 왜관고직(倭館庫直)에 임명하여 은냥(銀兩)을 무역하였다. 또한, 국고물(國庫物)의 도절범으로부터 뇌물을 받고 죄과를 눈감아주는 등 비루한 행동이 많아 양사로부터 탄핵을 받았으나 중종은 파직에 그치게 하였다. 1559년 지중추부사에 오르고, 수릉(守陵)의 공로가 있다 하여 숭정대부에 승자(陞資)되었다. 참고문헌
- 시대 :
- 조선
- 출생 :
- 1486년(성종 17)
- 사망 :
- 1563년(명종 18)
- 경력 :
- 지중추부사
- 유형 :
- 인물
- 직업 :
- 문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하동(河東)
-
박건 자계(子啓), 朴楗연산군 즉위 후 형조판서에 올랐으며, 『성종실록』 편찬에 참여하였다. 무오사화가 일어나자 추관(推官)이 되어 일처리에 앞장섰으며, 그 공로로 숭정대부에 승진하고 의정부좌참찬에 이어서 우찬성에 올랐다. 그 뒤 좌찬성으로서 지경연사(知經筵事) · 세자이사(世子貳師)를 겸했고, 군기시제조(軍器寺提調)가 되어...
- 시대 :
- 조선
- 유형 :
- 인물/전통 인물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이광정 덕휘(德輝), 李光庭예조판서를 거쳐 대사헌이 되었다. 이 때 주청사(奏請使)로서 인목대비(仁穆大妃)의 책봉에 대한 고명(誥命)을 받으러 명나라에 다녀왔다. 그 공로로 숭정대부(崇政大夫)로 승계되었다. 판돈녕 · 판의금을 거쳐 예조 · 이조의 판서가 되었다. 1604년에는 호성공신(扈聖功臣) 2등에 책록되어 연원군(延原君)에 봉해졌다...
- 시대 :
- 조선
- 유형 :
- 인물/전통 인물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이수일 계순(季純), 李守一지훈련포도대장 · 원유제조(園囿提調)를 겸하였다. 1612년 평안도병마절도사가 되었다가 1614년 임기를 마치고 다시 지중추부사가 되었으며, 1616년 숭정대부에 올랐다. 1624년(인조 2) 이괄(李适)이 반란을 일으키자 평안도병마절도사로 부원수를 겸해 길마재[鞍峴]에서 반란군을 무찔러 서울을 수복한 공으로...
- 시대 :
- 조선
- 유형 :
- 인물/전통 인물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홍만식 백헌(伯憲), 洪萬植써서 스스로 죄인임을 자처하였다. 1905년 일제에 의하여 을사조약이 강제로 체결되자 음독자살하였다. 이 소식을 들은 고종은 그 충의를 높이 평가, 숭정대부 참정대신(崇政大夫參政大臣)에 증직하고, 장례를 후히 지내게 하였다. 시호는 충정(忠貞)이다. 상훈과 추모 1962년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참고문헌
- 시대 :
- 근대/개항기
- 출생 :
- 1842년(헌종 8)
- 사망 :
- 1905년
- 경력 :
- 이조참판, 해주관찰사
- 유형 :
- 인물
- 관련 사건 :
- 갑신정변, 을사조약
- 직업 :
- 관료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근대사
- 본관 :
- 남양(南陽: 지금의 경기도 화성)
-
정경부인 貞敬夫人내용 문무관 정1품 대광보국숭록대부(大匡輔國崇祿大夫)·보국숭록대부(輔國崇祿大夫)와 종1품 숭록대부(崇祿大夫)·숭정대부(崇政大夫)의 적처(嫡妻)에게 내린 작호다. 1396년(태조 5)에 문무관 1품의 처를 군부인(郡夫人)이라 하였다. 그 뒤 1417년(태종 17)에 군부인을 정숙부인(貞淑夫人)으로 고쳤으나, 1439년(세종...
- 시대 :
- 조선
- 성격 :
- 관품, 작호
- 유형 :
- 제도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정광적 경훈(景勛), 鄭光績이어 대사헌 · 전주부윤 · 담양부윤을 지내고 향리로 돌아갔다. 인조반정 후 부름을 받아 대사간이 되었고, 이어 우참찬 · 공조판서 · 좌참찬을 지냈으며, 1629년(인조 7) 정헌대부(正憲大夫)에서 숭정대부(崇政大夫)로 승임되었다. 1631년 예조판서, 1636년 판중추부사가 되었다. 시호는 익정(翼正)이다. 참고문헌
- 시대 :
- 조선
- 유형 :
- 인물/전통 인물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장만 호고(好古), 張晩되어 요동 파병에서 패망해 서쪽 국경이 동요되자 이의 무마에 힘썼으며, 왕명으로 찬획사(贊畫使) 이시발(李時發)과 함께 대후금정책을 협의하였다. 이어 숭정대부(崇政大夫)에 오르고 병조판서에 임명되었다. 그러나 공명정대한 공사처리가 도리어 권간(權奸)들의 시기를 받자 벼슬을 포기할 각오로 시정(時政)을 극론...
- 시대 :
- 조선
- 유형 :
- 인물/전통 인물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이숙번 李叔蕃폐지되면서 겸중군도총제(兼中軍都摠制)가 되고, 이듬해 동북면절제사가 되었다. 이어 참찬의정부사·겸지의흥부사(兼知義興府事)를 거쳐, 1412년 말 종1품 숭정대부(崇政大夫)로 승진하였다. 1413년 병조판서, 이듬해 의정부찬성사가 되었는데, 뒤에 의정부의 직제 개편에 따라 동판의정부사(同判議政府事)·좌참찬...
- 시대 :
- 조선
- 출생 :
- 1373년(공민왕 22)
- 사망 :
- 1440년(세종 22)
- 경력 :
- 좌군총제, 지승추부사, 지의정부사, 지공거, 겸의흥시위사상호군, 동북면절제사, 의정부찬성사(
- 유형 :
- 인물
- 관련 사건 :
- 조사의의 난
- 직업 :
- 문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안성(安城)
-
황사우 국보(國輔), 黃士祐國寶), 호는 용헌(慵軒). 사우(士佑)라고도 한다. 봉예랑 황전(黃躔)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자헌대부 호조판서 황귀경(黃貴卿)이고, 아버지는 증직좌찬성 숭정대부 황희성이며 어머니는 진유경(秦有經)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507년(중종 2) 진사가 되었고, 1514년(중종 9) 별시문과에 갑과로 급제하였다...
- 시대 :
- 조선
- 출생 :
- 1486년(성종 17)
- 사망 :
- 1536년(중종 31)
- 경력 :
- 한성부우윤, 대사헌, 우찬성
- 유형 :
- 인물
- 직업 :
- 문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창원(昌原)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