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지구를 지켜라 - 인간이 만든 우주 불꽃 쇼 ‘딥 임팩트’가한 것”에 불과한 이번 실험으로는 더 말할 나위도 없다. 그렇다고 방법이 아예 없는 것은 아니다. 이론상으로는 영화 아마겟돈처럼 혜성에 착륙한 다음, 수소폭탄을 장치해서 폭발 시키면 된다. 이렇게 하면 지름 1km 정도의 혜성의 진로는 바꿀 수 있다. 그러나 이를 위해서는 소행성의 진행방향과 나란히 날아가서...
-
군사용 장비, 212급 잠수함산화수소 연료에 의해 생성되는 전기를 2차 에너지원으로 사용해 몇 주 동안 잠수할 수 있다. 212급 잠수함은 수중에서 3주 동안 버틸 수 있다. 수면 근처에서 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경우 12주까지도 가능하다. 재급유하려면 212급 잠수함은 약 670km 이상되는 먼 거리를 항해해야 한다. 잠수함의 최대 속도는 시속...
-
영화 속 투명망토 현실이 된다?단위로 해체해서 에너지로 바꾸고, 이것을 이동시켜 다시 조립하기만 하면 돼. 물론 순간이동은 고사하고, 60㎏의 사람을 원자로 바꾸는 데만 1메가톤급 수소폭탄 1,000개에 해당하는 엄청난 에너지가 필요하다는 정도의 문제점은 남아 있지.” “뭐예요!! 어쨌든 지금은 불가능하다는 거잖아요!!” “그런가? 하지만...
-
원자력 첫째도 안전, 둘째도 안전폭탄의 원리는 같으면서도 다르다. 원자력발전에 주로 쓰는 우라늄을 예로 들어 보자. 우라늄235가 핵분열을 하면 약 2개의 중성자가 나온다. 이 중성자들은 인근에 있는 다른 우라늄235의 원자핵과 충돌하며 분열시킨다. 이렇게 되면 2개의 중성자로 인해 핵이 각각 분열되면서 또다시 빠르게 활동하는 중성자가...
-
품페이 살아있는 화석의 비밀주는 것이 바로 화산 폭발이다. 역사상 가장 커다란 규모의 폭발은 19세기말 인도네시아의 크라카토어 섬에서 일어난 화산 폭발이었다. 당시의 폭발은 초대형 수소폭탄 1백 개가 동시에 터진 것 같은 어마어마한 에너지의 분출이었다. 1883년 8월 27일 오전 5시 30분 경부터 일어난 당시 폭발로 원래 47...
-
오펜하이머 (영화) Oppenheimer (film), オッペンハイマー (映画)진행된다. 또한 오펜하이머의 이야기 파트는 관점의 차이를 보여주는 컬러파트(핵분열)와 흑백 파트(핵융합)로 나뉘어 핵분열은 원자폭탄의 원리로, 핵융합은 수소폭탄의 원리로 교차되며 영화가 진행된다. 핵무기 회의론자가 되어 매카시즘(McCarthyism), 미국 원자력위원회 의장 루이스 스트로스의 희생양이 되었던 그...도서 위키백과
-
배터리는 자주 갈아야 한다는 편견을 버려-10년 이상 가는 전지그 원리는 기존의 화학전지나 물리적인 반응을 이용하는 전지 등과는 달리 방사성 동위원소에서 나오는 방사선, 즉 베타(β)선을 에너지원으로 이용하는 것이다...방사선의 일종이며, 그 실체는 바로 다름 아닌 고속으로 움직이는 전자 입자들의 흐름이다. 또한 수소의 동위원소인 질량수 3의 트리튬은 수소폭탄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