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죽도 竹島및 자갈 산재 - 해안에 타포니, 기반암에 파식대 이외에 나마(gnama) · 토르 · 해식노치 등이 형성 ㆍ주요 해양생물 - 조간대 해양동물 22종 출현하며 삿갓조개류와 굵은줄격판담치가 우점함 - 해조류는 38종 확인, 모자반류, 개그물바탕말, 참깃꼴진두발 등이 우점 ㆍ주요 육상동물 : 청개구리 서식 ㆍ주요 조류...
- 면적 :
- 51,471m 2
- 좌표 :
- 38° 20′ 07″ N, 128° 32′ 00″ E
- 해도번호 :
- 155
- 지번 :
- 죽왕면 오호리 산1
- 소유현황 :
- 공유지(고성군)
- 육지와의 거리 :
- 오호리 0.53km
-
백암도없고 거의 해식애로만 이루어져 있음 - 전체적으로 급경사의 원뿔형 형상으로 접안 · 상륙 불가 ㆍ주요 해양생물 - 조간대 무척추동물 15종이 분포하며 삿갓조개류가 우점함. - 해조류는 14종 확인, 조하대에 구멍갈파래, 그물바탕말류와 미역 혼생 ㆍ주요 육상동물 : 육상동물은 서식하지 않음 ㆍ주요 조류 · 곤충...
- 면적 :
- 6,079m 2
- 좌표 :
- 38° 27′ 00″ N, 128° 28′ 04″ E
- 해도번호 :
- 169C
- 지번 :
- 거진읍 거진리 산105
- 소유현황 :
- 국유지(산림청)
- 육지와의 거리 :
- 거진리 0.11km
도서 무인도서 -
무송정육계사주가 서쪽에 육지부를 향하여 뻗어있음 - 섬의 남쪽에는 원마도가 진행된 거력의 자갈해안이 형성되어 있음 ㆍ주요 해양생물 - 조간대에 삿갓조개류가 우점하며, 작은검은갯지렁이 · 좁쌀무늬총알고동 등 무척동물 총 11종 - 염주말 · 톳 · 지충이 등 해조류는 27종 확인, 조간대 상부에 국수나물과 김파래...
- 면적 :
- 10,258.0m 2
- 좌표 :
- 38° 30′ 40″ N, 128° 25′ 21″ E
- 해도번호 :
- 104
- 지번 :
- 현내면 마차진리 233-4
- 소유현황 :
- 사유지
- 육지와의 거리 :
- 마차진리 0.09km
도서 무인도서 -
흑석도 검은도사빈 해안에서 떨어져 있는 바위섬, 완만한 원추형 암괴, 기반암상에 대규모의 풍화혈과 해식애 발달 ㆍ주요 해양생물 - 부착동물 16종이 분포하며 삿갓조개류가 우점함 - 해조류는 11종 확인, 조간대 해조류 생육 확인되지 않음, 조하대 저층에는 구멍갈파래, 그물바탕말류 소규모 군락 형성, 미역 드물게 관찰 ㆍ주요...
- 면적 :
- 4,549m 2
- 좌표 :
- 38° 19′ 06″ N, 128° 32′ 38″ E
- 해도번호 :
- 155
- 지번 :
- 죽왕면 삼포리 산233
- 소유현황 :
- 국유지(기획재정부)
- 육지와의 거리 :
- 삼포리 0.93km
-
-
-
상노대도 패총 上老大島 貝塚인골과 함께 출토되었다 자연유물은 패류, 어류, 수골 등이 있으며 이 중에서 패류가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한다. 패류는 굴, 홍합, 전복소라, 삿갓조개, 고둥, 투박조개, 개조개 등이 있다. 이외에도 고래, 사슴, 어류 뼈도 소량 출토되었다. 유구는 분묘 1기와 집석유구가 1·2지구에서 여러 기 확인되었다. 분묘는 2...
- 시대 :
- 선사/석기
- 유형 :
- 유적
- 분야 :
- 역사/선사문화
-
원수대유적 元帥臺遺蹟대부분이 깨어진 껍질인 것으로 보아 열매를 까서 먹은 듯하다. 그 밖에 가축화된 중간크기의 개뼈가 나왔으며, 개랑조개·삿갓조개·굴조개·가막조개 등 조개류가 많이 발견되었다. 줄무늬밤조개로 만든 고리[貝輪]도 1점 발견되었는데, 팔찌로 쓰기에는 너무 작고 목걸이나 그 밖의 장식품으로 쓰였던 듯하다. 또...
- 시대 :
- 선사/석기
- 건립시기 :
- 신석기시대
- 유형 :
- 유적
- 소재지 :
- 함경북도 청진시
- 분야 :
- 역사/선사문화
-
따개비 굴등따개비는 울릉도와 같은 바닷가에서 칼국수, 엑기스 등으로 식용한다. 울릉도에서는 따개비죽, 따개비국수, 따개비밥 등을 만들어 먹는데, 실제로 이는 삿갓조개로 따개비와는 다른 종이다. 『자산어보(玆山魚譜)』에도 식용으로서 따개비에 대한 언급이 있다. 암반 조간대 하부에서 흔히 발견되는 거북손은 거북이의 손...
- 시대 :
- 현대
- 유형 :
- 생물
- 분야 :
- 과학/동물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