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몽테벨로 제도 Monte Bello Islands
    몽테벨로 제도는 홍수림이 늘어서 있는 작은 만들로 인해 해안의 기복이 심하다. 1622년 영국 선박 '트리알호'가 이곳의 어느 암초에서 난파되었다. 니콜라 보댕이 이곳의 바다를 지도로 그렸으며(1801~02), 프랑스의 장 란 몽테벨로 공작을 기념하여 이름지었다. 1952년과 1956년 영국의 원폭실험지였으며, 방사능 물질...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오세아니아
  • 와르남불 Warrnambool
    홉킨스 강 어귀에 있는 레이디 만을 끼고 있다. 1802년 프랑스의 제독이자 과학탐험가인 니콜라 보댕이 처음으로 답사했던 이 만은 현대식 배가 항해하기에는 수심이 너무 얕다. 한때는 포경선원들이 이용한 적이 있는 이 만에서 많은 배들이 난파당했지만, 지금은 등대가 있다. 1847년 양치기들의 촌락이 마을로 되었고...
    위치 :
    오스트레일리아 남동부 빅토리아 주 남서부, 레이디 만 연안
    인구 :
    34,555명 (2017 추계)
    면적 :
    121㎢
    대륙 :
    오세아니아
    국가 :
    오스트레일리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오세아니아
  • 포틀랜드 Portland
    처음 이 만을 방문한 뒤 영국의 해군장교인 제임스 그랜트가 포틀런드 공작의 이름을 따 포틀랜드 만으로 명명했다. 2년 후 프랑스의 항해가인 니콜라 보댕에 의해 투르빌로 불렸는데 여전히 이 이름이 붙어 있다. 1834년 양목장과 포경기지를 세운 헨티가가 이곳에 빅토리아 최초의 유럽인 영구정착촌을 세웠다. 1863년...
    위치 :
    오스트레일리아 남동부 빅토리아 주 남부, 포틀랜드 만 연안
    인구 :
    11,923명 (2020 추계)
    면적 :
    31.5㎢
    대륙 :
    오세아니아
    국가 :
    오스트레일리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오세아니아
  • 프레시네 Louis-Claude de Saulces de Freycinet
    오스트레일리아의 여러 지역과 태평양상의 섬들을 탐험했다. 1800년 그는 해군 대령 니콜라 보댕이 이끄는 오스트레일리아와 태즈메이니아 남부 및 남서부 연안 탐사항해에 참가했다. 1804년 파리로 돌아온 뒤 이 탐험을 소개한 저서 〈남쪽 지방 답사 항해 Voyage de découvertes aux terres australes〉(1807)를 완성...
    출생 :
    1779. 8. 7, 프랑스 몽텔리마르
    사망 :
    1842. 8. 18, 로리올
    국적 :
    프랑스
  • 종교전쟁 성전, 宗敎戰爭
    단지 신만이 그런 권위를 위임할 수 있으며, 따라서 신이 왕을 선택한다는 것이다. 나바라왕 앙리는 이 이론에 힘입어 프랑스의 왕이 되었다. 여기에 장 보댕은 〈국가론 Six Livres de la République〉(1576)을 써서 백성을 왕권에 복속시키는 정치적 계약은 종교적 차이를 우선한다고 주장해 그의 왕권을 한층 공고히...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전쟁 , 기독교
  • 국가주의 國家主義, statism
    이라고 주장한 고대 철학자 플라톤에 소급된다. 하지만 직접 민주주의 체제였던 고대 그리스에서 개인과 국가의 대립은 부각되지 않았고 중세 유럽에 들어서 보댕의 주권이론과 홉스의 사회계약론에 의해 국가주의의 사상적 기초가 완성됐다. 자본주의 국가에 의한 생산수단의 독점화를 기반으로 하는 국가주의의 사례...
  • 으름덩굴 으름, Five leaf akebia
    길이는 21-25㎛, 적도면지름은 23-27㎛ 발아구는 3 구형 표면무늬는 과립상. 민속·속담·격언 아은 땐(아이때) 조쟁이(남성성기)가 되고 어룬되민(어른되면) 보댕이(여성성기)되는 것은 하고 묻는 제주도 수수께끼가 있다. 으름이 익어 껍질이 툭 터져 벌어진 모양이 여자의 음부와 같다고 해서 임하부인(林下婦人...
    분류 :
    으름덩굴과(Lardizabalaceae)
    서식지 :
    산지
    학명 :
    Akebia quinata Decne.
    본초명 :
    목통(木通)
    분포지역 :
    한국(황해도 이남), 일본, 중국
    근연식물 :
    멀꿀
  • 조제프보나파르트 만 Joseph Bonaparte Gulf
    흘러든다. 네덜란드의 항해가 아벨 타스만이 1644년에 처음 이 만을 방문했는데, 동쪽과 서쪽 해안에 원주민 보호구역이 있다. 1803년 프랑스인 니콜라 보댕이 이곳을 방문했는데, 그는 나폴레옹 1세의 맏형 이름을 따서 이 만을 조제프보나파르트로 명명했다. 1817년 영국 해군의 필립 파커 킹 대위가 해안탐사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오세아니아 , 바다
  • 주권 Sovereignty, 主権
    대해서는 정치학자들마다 다양한 정의가 존재한다. 국가주권 또는 국권이라 부르기도 한다. 근대적 주권의 개념이 형성되고 있던 시기에 주권론을 펼친 장 보댕과 나치 치하에서 정치철학을 연구한 바 있던 카를 슈미트의 정의는 그 가운데서도 특히 살펴볼 만한 정의라고 할 수 있다. "주권은 국가의 절대적이며 영구적...
    도서 위키백과
  • 왕권신수설 Divine right of kings, 王権神授説
    권력에 대한 간섭을 배제하고, 대내적으로는 봉건제후(封建諸侯)의 국왕권력에 대한 간섭을 배제하고자 하였다. 왕권신수설을 주장한 유명한 사람으로는 장 보댕(Jean Bodin), 프랑스의 루이 14세, 스코틀랜드의 제임스 1세 등이 있다. 보댕의 설은 프랑스 절대왕정 확립을 위해 유효 적절한 역할을 했을 뿐 아니라 기타...
    도서 위키백과
  • 그로 미셸 Gros Michel, グロス・ミチェル
    인도네시아에서는 Pisang Ambon, 미얀마에서는 Thihmwe, 캄보디아에서는 Chek Ambuong, 타이에서는 Kluai hom thong이라고 한다. 프랑스 박물학자 니콜라스 보댕은 동남아시아로부터 이 바나나 알뿌리 몇 개를 가져가 카리브해섬 마르티니크의 식물 정원에 심었다. 1835년 프랑스 식물학자 장 프랑수아 뿌아는 보댕의...
    도서 위키백과
  • 이동구 李東九
    작품과 평론을 발표하였다. 1939년 경향잡지사 주관의 기해박해 순교 100주년 기념 현상작품모집에 희곡 ≪순교자≫(殉敎者)로 1등을 수상하였고 1940년에는 보댕(Bodin, 邊若瑟) 신부가 작곡한 성가 <복자찬미가>(福者讚美歌)를 작사(作詞)하기도 하였다. 1942년 계성학교 교장으로 임명되어 재직하다가 1943년 7...
이전페이지 없음 1 현재페이지2 3 4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1건

장 보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