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무극대도 無極大道
    내용 ‘끝없이 훌륭한 진리’라는 뜻이다. “천은이 망극하여 경신 4월 초5일 글로 어찌 기록하며 말로 어찌 형언할까, 만고없는 무극대도 여몽여각 득도로다.”라는 <용담가 龍潭歌>의 구절은 1860년 4월 5일의 체험을 나타내고 있다. 최제우의 종교적 신념을 결정적으로 굳어지게 하였던 하느님의 가르침의 내용은...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종교·철학/천도교
  • 무극광산 無極鑛山
    내용 지질은 화강편마암(花崗片麻岩)·규장암(硅長岩)·흑운모화강암(黑雲母花崗岩)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광상(鑛床)은 열극충전함금석영맥(裂隙充塡含金石英脈)이며, 맥수는 50개조이고, 연장 300∼600m, 심도 200m, 맥폭은 0.3∼0.5m이다. 고려시대부터 알려진 우리 나라의 대표적인 금광산으로, 1909년 광업권이...
    성격 :
    광산
    유형 :
    지명
    면적 :
    연장 300∼600m, 심도 200m
    소재지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용계리
    분야 :
    경제·산업/산업
  • 진동학제화교 유일무극대도진동학대도문(唯一无極大道眞東學大道門), 眞東學濟和敎
    明道使者)의 신명(神明)과 강증산(姜甑山)과 김환옥의 신교(神敎)를 동시에 받게 되었다고 한다. 그 후 그는 이한우(李翰雨)와 협의하여 보화교 내에 유일무극대도진동학대도문(唯一无極大道眞東學大道門)이라는 간판을 걸고 보화교와 별개의 종단을 형성하였다. 이들은 같은 해에 전북도 정읍 남산동으로 이전하여 포교...
    시대 :
    현대
    유형 :
    단체
    분야 :
    종교·철학/신종교
  • 무극전적 국민관광지
    무극전적 국민관광지는 6.25 전쟁 때에 국군이 최초로 승리를 거둔 음성지구 전투인 감우재 전투의 격전장이 되었던 곳에 전투의 승리를 기념하고 애국정신을 기리고자 국민 관광지 조성계획으로 1986년 6월 30일 18,499㎡의 부지에 무극전적 국민관광지를 조성하였다. 6·25 전쟁 최초승전을 기리기 위해 전승비...
    위치 :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생음대로 594
  • 혼구 구을(丘乙), 混丘
    과 진표전간(眞表傳簡) 아래에 부기한 관동풍악발연수석기(關東楓岳鉢淵藪石記)는 그가 지은 것이다. 한편 혼구는 몽산덕이가 보내 준 ‘무극설(無極說)’을 터득하고 말년에는 무극노인(無極老人)이라 자호하였다. 이는 고려 후기 선종계가 몽산과 적극적으로 교류하던 연속선상에 있다. 혼구가 몽산과의 간접적인 교류...
    시대 :
    고려
    유형 :
    인물/전통 인물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증산도 무극대도 증산도, 甑山道
    1974년 안운산(安雲山, 본명 안세찬)과 아들 안경전(본명 안중건)이 창립한 종교. 그는 원래 보천교 출신으로 증산교 연합운동에도 참여했으나 그뒤 대전을 중심으로 증산교 혁신운동을 일으켰다. 이 운동이 본격적으로 활성화된 것은 안경전이 대학가를 중심으로 현대사상과 과학을 수용하면서 증산사상을 재해석하기...
  • 단군성주교 무극대도(無極大道), 檀君聖主敎
    한 증산(甑山)이 천지대도를 전수하고 인장을 주며 ‘포덕만민하여 도탄에 빠진 중생을 제도하라’고 하였다. 그 후 일심으로 수도하여 1936년부터 도명을 무극대도(無極大道)라하고 포교를 시작했다. 1937년 일황불경(日皇不敬), 치안유지법 위반 등의 혐의로 구속되어 복역하다가 해방 후에 풀려나왔다. 1946년 정위...
    시대 :
    근대
    설립 :
    1936년
    성격 :
    증산계 교파
    유형 :
    단체
    설립자 :
    강승태
    분야 :
    종교·철학/신종교
  • 보화교 무극대도, 普化敎
    神力)을 얻게 되었다고 한다. 그로부터 금강대신(金剛大神)이라 자처하면서 포교활동을 하다가 1930년 전라북도(현,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칠보면 백암리에서 무극대도(無極大道)라는 교명으로 정식 종단을 설립하였다. 1943년 치안유지법 위반 혐의로 구속되었으나 해방과 함께 출옥하여 다시 포교활동을 시작...
    시대 :
    현대
    유형 :
    단체
    분야 :
    종교·철학/신종교
  • 무극대도교 無極大道敎
    내용 천도교 계통의 신종교이다. 김현범은 1906년 천도교에 입교하여 활발한 활동을 하다가 1926년 자신의 세력을 모아 보다 ‘순수한 동학의 도’를 펼치고자 하였으나 추종신도가 적어 유명무실하게 되었다. 그러나 평양 서성리로 본부를 옮긴 뒤 그 다음해 72명의 신도를 확보하고 재기하였다. 교리는 천도교에 준거...
    시대 :
    근대
    설립 :
    1927년 4월
    성격 :
    신종교
    유형 :
    단체
    설립자 :
    김현범(金賢範)
    분야 :
    종교·철학/신종교
  • 무극장 / 무극시장 (5, 10일)
    무극시장은 상가주택건물형의 중형시장이다. 평소에는 상설시장으로 운영되며 매월 5일, 10일 단위로 장이 크게 서는 시장이다. 시장 천장에는 아케이드가 설치되어 있어 비나 눈이 내려도 편안하게 장을 볼 수 있다. 다양한 농수산물과 간식거리, 생활 필수용품 등 다양한 품목이 있다. 그리고 무극시장 고객지원센터...
    위치 :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금석로75번길 5
  • 양주익 군한(君翰), 梁周翊
    개설 본관은 남원(南原). 자는 군한(君翰), 호는 무극(无極). 양도(梁燾)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양우하(梁宇夏)이고, 아버지는 생원 양명진(梁命辰)이다. 어머니는 전의이씨(全義李氏) 이규삼(李圭三)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754년(영조 30) 사마시에 합격하고, 이어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전적(典籍...
    시대 :
    조선
    출생 :
    1722년(경종 2)
    사망 :
    1802년(순조 2)
    경력 :
    춘추관기주관(春秋館記注官), 칠원현감(漆原縣監), 병조참의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대표작 :
    무극집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남원(南原)
  • 2차무극 그리드 secondary neutral grid
    주어진 영역 내에서 전원장치 개개의 변압기의 2차 측의 모든 무극 콘덕터를 연결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는 무극 콘덕터의 계통으로 통상 접지되어있다. 〈참조어〉 배전부하중심점
이전페이지 없음 1 현재페이지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9건

주희(Chu Hsi)
육구연
무극저수지
무극집
무극집
무극중학교
무극전적 관광지 충혼탑
무극전적 국민관광지
무극초등학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