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디오클레티아누스 Diocletian, ディオクレティアヌス
    각각 니코메디아와 밀라노에서 돌연 은퇴를 선언한다. 후임으로는 부제였던 갈레리우스와 콘스탄티우스 클로루스가 각각 동방과 서방의 정제로 승격하고, 막시미누스 다이아와 세베루스가 부제로 선정되었다. 이로써 제2차 사두 정치가 시작되었다. 디오클레티아누스는 달마티아의 스트라툼(현재 크로아티아의 스플리트...
    도서 위키백과
  • 여섯 황제의 해 Year of the Six Emperors, ローマ内戦 (238年)
    여섯 황제의 해 시대는 235년 세베루스 왕조의 마지막 황제였던 세베루스 알렉산데르가 자신의 병사들에게 살해되며 막시미누스 트락스가 즉위한 이후부터 주후238년 고르디아누스 3세 시기 까지 여섯 명의 황제들이 내전 끝에 무려 1년에만 6명이 교체된 시기를 말한다. 막시미누스 트락스는 3세기의 위기(군인 황제...
    도서 위키백과
  • 파비아노 Fabianus
    전임자 성 안테로의 순교 후 후임 선거 때 한 마리의 비둘기가 그의 머리 위에 내려앉자, 모두들 감동하고 그를 선출했다고 한다. 그의 재위시대는 황제 막시미누스 트락스(Maximinus Thrax, 재위 : 235∼238)의 사후 고르디아누스(Gordianus, 재위 : 238∼244)와 필립보 아라브스(Philippus Arabs, 재위 : 244∼249)의...
  • 폰시아노 Pontianus
    허가하였다. 성 갈리스도 1세(재위 : 217∼222) 때 발생한 히폴리토(Hippolytus)의 이교(離敎)는 성 폰시아노 치하에서도 계속되었다. 성 폰시아노는 황제 막시미누스 트락스(Maximinus Thrax, 235∼288)에 의해 히폴리토와 동시에 사르디니아섬으로 추방되어 그곳에서 퇴위하고 성 안테로가 후계자로 즉위하였다(235...
  • 밀라노칙령 ∼勅令, Edictum Mediolanense
    있다. 이에 따라 박해시대에 몰수되었던 교회의 재산이 모두 반환되었고, 그리스도 교인을 속박하던 모든 법률은 폐지되었다. 이 칙령은 리치니우스가 막시미누스 다자(Maximinus Daza)를 무찌른 후 오리엔트 총독에게 보내 <박해자의 죽음에 대하여>(De mortibus persecutorum, 348)란 서한 속에 실려 있었고, 이것이...
  • 갈레리우스 Galerius, ガレリウス
    기독교를 박해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311년 4월 30일 로마 가톨릭에 신앙의 자유를 허용하는 칙령을 공포했다. 그 후 얼마 안되어 죽고 조카인 막시미누스 다이아가 뒤를 이었다. 타고난 이름 가이우스 갈레리우스 발레리우스 막시미아누스(Gaius Galerius Valerius Maximianus ) 군주 이름 임페라토르 카이사르...
    도서 위키백과
  • 고르디아누스 3세 Gordian III, ゴルディアヌス3世
    마키아 파우스티나의 아들이다. 238년 발비누스와 푸피에누스 두 공동 황제들이 근위대에 의해 살해되자 승계하였다. 244년 살해되었다. 군인 출신 황제인 막시미누스 트락스에 대항하고자 고르디아누스 1세와 고르디아누스 2세의 후임으로 원로원에서 선출된 발비누스와 푸피에누스 두 공동 황제들은 238년 7월 29...
    도서 위키백과
  • 고르디아누스 2세 Gordian II, ゴルディアヌス2世
    마누스 아프리카누스 황제 이름 카이사르 마르쿠스 안토니우스고르디아누스 셈프로니아누스로마누스 아프리카누스 아우구스투스 전임 황제 막시미누스 트락스 후임 황제 푸피에누스, 발비누스 |} 고르디아누스 2세(192년 ~ 238년 4월 12일)는 로마 제국의 스물 여섯 번째 공동황제로 아버지 고르디아누스 1세와 함께...
    도서 위키백과
  • 고르디아누스 1세 Gordian I, ゴルディアヌス1世
    자신의 작품 〈소피스트들의 생애〉를 그에게 바치기도 했다. 그가 아프리카 프로콘술(속주총독)로 일하던 238년 초, 아프리카의 부유한 젊은 지주들은 막시미누스 트락스가 보낸 세리들을 죽이고 고르디아누스를 황제로 선포했다. 원로원도 이를 승인했지만 단 1달 만에 아들이자 공동 황제였던 고르디아누스 2...
    도서 위키백과
  • 코마나의 바실리스쿠스 Basiliscus of Comana
    피오스와 클레오니스와 관련되며, 군중에게 따라다니며 다양한 기적을 행했다.Sfn 다른 판은 코마나의 주교 바실리스코스가 312년경 니코메디아에서 폭군 막시미누스 다자(r. 310–313)에 의해 참수당했다고 전한다. 코마나의 주교 바실리스스가 막시미아누스(r. 310–313) 치세에 순교했다고 전한다.Sfn 바실리스코스는...
    도서 위키백과
  • 엘젬 El Djem, エル・ジェム
    자리를 놓고 하드루메툼(Hadrumetum, 현재의 수스)과 경쟁했지만 238년에 벌어진 반란 때 고르디아누스 1세가 카르타고 인근에 있는 별장에서 자살했고 막시미누스 트락스 황제에 충성을 맹세한 로마 군대가 도시를 파괴했는데 이 때 벌어진 파괴 이후로 더 이상 회복되지 않았다. 1979년 이 곳에 있는 원형극장이...
    도서 위키백과
  • 교황 폰시아노 Pope Pontian, ポンティアヌス (ローマ教皇)
    교황 폰시아노를 재확인하였다. 로마 제국의 새 황제 막시미누스 트락스는 선대 황제인 세베루스 알렉산데르와는 달리 기독교에 대하여 강경한 정책을 펼쳤다. 교황 폰시아노는 대립교황 로마의 히폴리토와 함께 체포된 후 로마에서 추방당하여 사르데냐 광산에서 광부로 노역하며 유배 생활을 보냈다. 유배형을 선고...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1 현재페이지2 3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