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최진 CHOE Jin
    작품으로 〈전과자〉(제 7권)를 구상했다. 이 작품은 가족을 떠나 방랑하던 주인공이 아버지의 위급을 구하고 전과자가 되는 내용의 영화이다. 이경선과 김연실의 출연이 예정되어 있었다. 실제로 이 작품에는 이경선과 김연실이 출연하여 집을 나간 아들과 오빠를 기다리는 여동생 역할을 맡았으며, 그들의 어머니 역...
    데뷔 :
    1935년 <전과자>(조명)
  • 신청년 新靑年
    그 구성원으로는 서월영(徐月影), 박제행(朴齊行), 장성일(張星一), 주선태(朱善泰), 박전(朴傳), 최종남(崔宗男), 박일용(朴一龍), 박경주(朴景柱), 김연실(金蓮實), 최은희(崔銀姬), 송미남(宋美南), 노재신(盧載信), 강보금, 김양춘(金陽春), 전복자(全福子) 등 역량 있는 연기자들이 있었다. 이 극단은 1947년 10월...
    시대 :
    현대
    설립 :
    1947년 10월 31일
    성격 :
    연극단체
    유형 :
    단체
    해체 :
    1954년
    설립자 :
    김영수·박진
    분야 :
    예술·체육/연극
  • 지경순 JI Gyeong-sun
    朝劇)서 봉절(封切)」, 『동아일보』, 1935년 2월 7일). 제작자는 와케지마 슈지로였고, 경성촬영소의 주축인 이필우가 촬영을 맡았으며, 현순영·이경선·김연실·김인규 등이 주연으로 출연하였다. 이순진은 지경순의 첫 번째 영화 출연작이 이 〈대도전〉이라고 밝혔다. 이 작품에서 지경순은 단역을 맡았을 것으로...
    출생 :
    1915년 혹은 1916년 함흥
    데뷔 :
    1935년 <대도전>
  • 이운방 백연, 李雲芳
    보인다. 1933년 작 <아름다운 희생>은 이운방 작(원작, 편극), 김광주 감독〔도연(導演)〕의 작품이었다. 이신웅이 촬영을 담당하였고, 서월영․이경선․김연실․김선영 등이 출연하였다. 영화사적 평가 해방 이후 영화계에서는 이운방은 <장화홍련전>(1956), <사도세자>(1956), <숙영낭자전>(1956) 등의 시나리오를...
    사망 :
    1957년 2월 11일
    데뷔 :
    1929년 <바다와 싸우는 사람들>
  • 홍길동전 洪吉童傳
    내용 1934년경성촬영소(京城撮影所)에서 제작하였다. 제작자 와케지마(分島周次郎), 촬영·편집 이필우(李弼雨), 출연 김소영(金素英)·김연실(金蓮實)·임운학(林雲鶴)·김근문(金根門) 등이다. 홍정승의 서자로 태어난 길동은 봉건사회제도에 반발하여 의적이 된다. 그는 활빈당을 조직하여 탐관오리들의 재물을 탈취...
    시대 :
    근대
    저작자 :
    윤백남
    창작/발표시기 :
    1934년
    성격 :
    영화
    유형 :
    작품
    분야 :
    예술·체육/영화
    소장/전승 :
    와케지마(分島周次郎)
  • 춘향전 春香傳
    춘향역에 문예봉(文藝峰), 도령역에 박제행(朴齊行), 방자역에 당시 인기코미디언인 이종철(李鍾哲), 향단역에 노재신(盧載信), 기타 임운학(林雲鶴)·김연실(金蓮實) 등이 출연하였다. 이 영화의 특이한 점은 홍난파(洪蘭坡) 작곡, 유도순(劉道順) 작사, 김복희(金福姬)의 주제가가 우리 영화 최초로 주제가 도입을...
    시대 :
    현대
    저작자 :
    이기세(각본), 이구영(각색)
    창작/발표시기 :
    1935년
    성격 :
    영화
    유형 :
    작품
    분야 :
    예술·체육/영화
    소장/전승 :
    경성촬영소(京城撮影所
  • 세동무 삼걸인(三乞人)
    내용 1928년 5월 6일 단성사에서 개봉하였다. 금강·서광영화사 합작으로, 촬영 이명우(李明雨), 출연 김연실(金蓮實)·이원용(李源溶)·이재현(李在鉉)·복혜숙(卜惠淑)·추청운(秋靑雲)·이동일(李東一) 등이다. 원한을 남기고 죽은 세 사람의 거지가 살아 생전에 맺힌 한을 풀기 위해서 밤이 되면 이 세상에 귀신으로...
    시대 :
    근대
    저작자 :
    김영환
    창작/발표시기 :
    1928년
    성격 :
    영화
    유형 :
    작품
    분야 :
    예술·체육/영화
    소장/전승 :
    금강영화사, 서광영화사
  • 종소리 鐘─
    이와 같은 이상주의적이며 현실도피적인 소재는 일제강점기에 우리의 영화인들이 흔히 추구할 수 있었던 유일한 것이었는지 모른다. 촬영 이필우(李弼雨), 출연에 김연실(金蓮實)·이경선(李慶善)·이원용(李源鎔) 등이다. 이 영화는 당시로서는 수준작이었으며, 김상진의 데뷔작인 동시에 대표작이라고도 할 수 있다.
    시대 :
    근대
    저작자 :
    김상진
    창작/발표시기 :
    1929년
    성격 :
    영화
    유형 :
    작품
    분야 :
    예술·체육/영화
    소장/전승 :
    금강키네마
  • 잘있거라
    있는 부호 민범식(이금룡 분)과 그의 총지배인인 정두현(이경선 분)은 호색과 빚놀이로 약자들을 괴롭히는 사람들이다. 더구나 두현은 범식의 첩 홍련(김연실 분)과 부정한 관계까지 맺고 있다. 이러한 사정을 건달인 경호는 잘 알고 있다. 한편 경호는 마음이 착한 정송(주삼손 분)과 차송(안인옥 분) 형제를 도와주며...
    시대 :
    근대
    저작자 :
    나운규
    창작/발표시기 :
    1927년
    성격 :
    영화
    유형 :
    작품
    분야 :
    예술·체육/영화
    소장/전승 :
    나운규프로덕션
  • 김상진 金尙鎭
    담당하였다. 1929년 그는 자신이 직접 쓴 시나리오 〈종소리〉를 영화로 만들면서 감독으로 데뷔하였다. 〈종소리〉는 '금강키네마'의 2번째 작품으로 김연실(金蓮實)·이원용(李源鎔)·이경선(李慶善) 등이 출연하였는데, 당시로서는 수준급 작품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젊은 남녀가 여러 가지 사회적 제약 때문에 사랑...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화가
  • 전옥 전덕례, 全玉
    찾는 무리〉에서 임운학의 상대역으로 나오며 영화계에 발을 들였다. 같은 해 나운규프로덕션이 설립되자 입사하여 〈잘 있거라〉에서 주인공으로 나운규·김연실·이금용 등 일류 인기배우와 출연하였고, 이어 〈옥녀〉·〈사랑을 찾아서〉에도 출연하였다. 이 무렵 연극무대에서도 활동을 병행하여 화조회와 토월회...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배우
  • 김상진 金尙鎭
    풍운아」(1926)에서는 미술을 담당하였다. 1929년에는 영화감독으로 처음 등장하여 자신이 쓴 시나리오 「종소리」를 영화로 만들었는데, 이 작품은 김연실(金蓮實)·이원용(李源鎔)·이경선(李慶善)이 출연하였다. 이어서 역사극 「방아타령」(1931), 발성영화 「노래 조선(朝鮮)」(1936)을 만들었다. 「노래 조선」은...
    시대 :
    근대
    출생 :
    1905년
    사망 :
    미상
    유형 :
    인물
    직업 :
    영화인, 영화감독, 영화미술가
    대표작 :
    방아타령, 노래 조선(朝鮮)
    성별 :
    분야 :
    예술·체육/영화
이전페이지 없음 1 현재페이지2 3 4 5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4건

김연실
청춘의 십자로
김연실이 보낸 저축금 환부 청원서(1928)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