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근본불교 초기불교, 根本佛敎貪〕과 혐오〔嗔〕와 우둔함〔恥〕으로 대표되는 모든 번뇌를 극복할 수 있다는 것을 가르치고 있다. 연기 따라서 번뇌를 중심으로 인간의 마음을 다스리는 것은 근본불교의 중요한 탐구주제가 되었으며 번뇌를 원인으로 괴로움이 생성되고 괴로움이 소멸되는 과정은 상세하게 분석되었고 철학적으로 체계화되었다. 일반...
- 유형 :
- 개념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불교 용어 목록 (ㅂ)이에 비해, 선(善)은 제1의제(第一義諦)에 계합[順]하여 일어나는 법을 말한다.sfnsfn 번뇌심소 중의 하나이다.sfnsfnsfnsfn 번뇌심소는 모든 번뇌의 근간인 근본번뇌들로 구성된 마음작용들의 그룹이다.sfnsfn 즉, 번뇌심소는 내면의 마음(8식, 즉 심왕, 즉 심법)으로 하여금 항상 오염된 상태에 있게 함으로써 그 결과...도서 위키백과
-
불교 용어 목록 (구)취결.cw계금취(戒禁取)의 2취(二取) 의결, 진리[諦]에 대하여 망설이는 것 질결, 마음이 질투하고 꺼리는 것 간결, 마음이 비루하고 인색한 것 9결은 6가지 근본번뇌 즉 탐(貪) 악견을 이루는 유신견(有身見, 薩迦耶見, 我見, 我所見) 다시 수번뇌인 질(嫉)과 간(慳)을 더한 것이다.sfn 구기(俱起)는 함께 일어난다...도서 위키백과
-
불교 용어 목록 (묵)수혹 즉 미사혹에 해당된다.sfn 98수면(九十八隨眠) 또는 98근본번뇌 가운데 욕계의 탐(貪) 색계의 탐(貪) 무색계의 탐(貪).cw만(慢).cw치(癡)의 10가지 근본번뇌가 미사혹.cw수혹.cw사혹 또는 구생기에 해당한다. 나머지 88수면 또는 88근본번뇌는 미리혹.cw견혹 또는 분별기에 해당한다.sfnsfnsfnsfn 5온십팔계5위100법도서 위키백과
-
삼보 三寶석가는 35세가 되던 해 12월 8일의 이른 새벽에 대각(大覺)을 이루고, 생로병사(生老病死)의 근원을 단멸(斷滅)하는 확신을 얻게 되었다. 이것은 어떠한 번뇌에도 흔들리지 않는 절대적정(絶對寂靜)인 열반의 세계를 실현한 것이며, 정각(正覺)을 얻어 눈을 뜨게 된 자, 즉 불(佛)이 되었다는 자기혁신의 일대 전환...
- 유형 :
- 개념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무아 無我선악의 행위가 남기는 잠재력) 또는 잠세력(潛勢力: 겉으로 드러나지 않고 숨어있는 세력)의 상태로 있는 오온이다. 결국 중유의 상속에 의한 윤회는 ‘온갖 번뇌와 업에 의해 오염된 온(蘊)에 의한 윤회’를 의미한다. 아뢰야식을 장식이라 하여 인간의 심층의식으로 상정하였던 유식학에서는 아뢰야식을 윤회의 주체로...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종교·철학/불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