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미시경제학 Microeconomics
    기업의 산출량 선택 과정, 노동 및 자본과 같은 생산요소 시장에서의 수요와 공급, 구조에 따른 시장 조직 분석, 그리고 각 시장의 의사결정이 서로에게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 주요 관심사이다. 미시경제학과 거시경제학은 분석의 편의를 위해 나눈 개념으로, 둘은 사실상 유기적으로 상호작용을 하며 움직인다.
  • 거시적 동태이론 巨視的動態理論, macrodynamic theory
    이 2가지 원리를 결합하는 데에는 여러 가지 어려움이 있었다. 그러나 새뮤얼슨은 최초로 승수이론과 가속도이론을 결합시킴으로써 양자의 상호작용에 의해 경기순환을 설명했다. 이와 같은 거시적 동태이론의 발전은 소득분석이론 및 통계학의 발달과 더불어 경기순환의 계량경제학적 접근을 촉진시켰다.→경제사, 경제학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제
  • 계량경제학 計量經濟學, econometrics
    계량경제학의 연구를 통해 한계비용이 때로는 어느 정도 고정적으로 유지된다는 사실도 밝혀졌다. 공급함수를 분석하는 연구는 대체로 농업분야에 한정되어 이루어졌다. 이 분야에서 주요문제는 기온·강수량·해충 등 외생변수의 영향과 가격·투입의 변화와 같은 내생변수의 영향을 구분해내는 일이다. 여러 세대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제
  • 경제학 經濟學
    과 칼도(Kaldor)·돕(Dobb)·랑게(Lange,O.)가 번역, 소개되면서도 학파의 계보나 케인스경제학과의 관계가 명시되지는 못하였다. 따라서 케인스적 거시이론과 미시경제학에 대한 소화는 원론 수준의 저변 확대에서부터 시작되지 않으면 안되었다. 물론, 당시까지 출판되었던 국내 학자들의 경제원론서들이 상당수에...
    시대 :
    현대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경제·산업/경제
  • 거시적 분석
    투자라는 지출 형식으로 성립한다. 이 집약적인 수급량의 총체적 균형이 어떠한 소득형성 활동과 생산수준에서 얻어지는가 하는 점을 기축으로 하여 거시경제학(巨視經濟學)의 분석 체계는 구성된다. 이 이론이 흔히 소득분석으로 불리는 것도 바로 이러한 뜻에서이다. 이러한 거시적인 경제의 파악 방법이 일반화된...
    도서 위키백과
  • 시카고 학파 (경제학) Chicago school of economics, シカゴ学派 (..
    한계 때문에 주류학계의 담론으로 발전하지는 못하였다. 이들을 계승한 시카고학파의 대표적인 인물들이 바로 밀턴 프리드먼과 조지 스티글러이다. 거시 경제학의 맥락에서, 시카고 학파는 연안 대학들에 기반을 둔 짠물 학파와 대조적으로, 거시 경제학의 "민물 학파"와 연결된다. 시카고 거시 경제 이론은 1970...
    도서 위키백과
  • 화폐경제학 Monetary economics, 貨幣経済
    and Monetary Economics, including: Money and Interest Rates Monetary Policy, Central Banking, and the Supply of Money and Credit Presentation of Money, credit and finance an slideshow What is money? A slideshow https://www.slideshare.net/MitchGreen/lesson-1-what-is-money#btnNext 거시경제학의 주제들
    도서 위키백과
  • AP 미시경제학 AP 미시경제학, AP Microeconomics
    미시경제학 코스이다. 이 코스는 희소성, 기회비용, 비교 우위 등의 근본적인 경제 개념의 학습과 함께 시작한다. AP 미시경제학은 AP 거시경제학과 함께, 또는 AP 거시경제학을 수강한 이후 수강한다. 2014년에 74,049명의 학생이 AP 미시경제학을 치렀다. 점수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도서 위키백과
  • 케인스 경제학 Keynesian economics, ケインズ経済学
    정책) 케인스는 금리를 낮출 경우, 투자가 활성화되며, 소비가 촉진될 것이라고 보았다. 또한, 중앙은행의 원칙적인 역할은 다양한 통화정책을 바탕으로 금리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라고 생각했다. IS-LM 모형 뉴딜 과소 소비 새케인스학파 신케인스학파 통화주의자 프랭클린 루스벨트 민주혁명당 거시경제학의 주제들냉전
    도서 위키백과
  • 밀턴 프리드먼 일하기 싫은 자, 먹지도 마라
    찍을 수 있었다. 1947년에는 신자유주의라고 하는, 막 태동하고 있던 경제학(구체적으로는 하이에크가 1944년에 펴낸 『노예의 길』)에 관심을 가진 미국의 갑부...Stigler) 등과 그 자리에 함께했다. 여기서 정부의 정책, 평등과 불평등, 거시경제와 미시경제 등 온갖 정치·사회·경제적 아이디어가 오갔고, 상당수의...
    출생 :
    1912년 07월 31일
    사망 :
    2006년 11월 16일
  • 공급측 경제학 供給側 經濟學, supply-side economics
    수요측면 중심의 기존 경제학은 이제 현실의 경제문제에 무력하다고 하는 비판에서 출발하는 것이다. 국민소득이나 물가수준 등의 결정에서 공급측면을 더욱...세제개편을 정책으로 제안했다. 즉 감세로 근로의욕과 투자의욕을 고취시켜 생산능력을 확대함으로써 물가안정과 고용증대라는 2가지 거시경제 목표를 함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제
  • 노동경제학 Labour economics, 労働経済学
    학술적으로 그 역사는 짧다. 노동경제학은 미시경제학의 한 분야로 알려졌지만, 실업과 임금 문제는 거시적인 경제 관점에서 보기 때문에 노동경제학은 미시, 거시경제학의 일부로 나누는 것보다는 응용경제학의 한 분야로 보는 것이 옳다. 요즘에는 노동경제학의 기법을 이용한 노동 시장, 노동 문제 분석도 활발하게...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1 현재페이지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