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노래가 된 고소설물나니 가야사실 보구파고 가삼속에 잇는말을 어데가여 회포하리 자나깨나 옥단춘아 버들잎에 옥단춘아 너를한번 다시보면 온갖회포 하잤더니 어데가서 다시보리 보고지고 보고지고 또보고 또보고 보고짚다. - 조동일, 《서사민요연구》 자료편 민요화한 부분은 과거 보러 떠난 낭군과 이별, 그리고 시비의 모함으로...
-
「수라도」 修羅道표현한 말이다. 가야 부인의 행로는 수라도를 헤치는 고통의 행로였던 것이다. 따라서 「수라도」는 일제 아래 민족적 저항 의식이 강하였던 허 진사 가문의 며느리 가야 부인의 비극을 사실적으로 전개하면서, 우리 민족이 걸어온 수난사가 동일한 국면으로 전개되고 있음을 보여 준다. [의의와 평가] 김정한은 자신의...
- 분야 :
- 구비 전승·언어·문학
- 지역 :
- 부산광역시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
용당리 마을 龍塘里 마을遊觀錄)』[1635]에서 여러 친구와 함께 배를 타고 낙동강을 따라 김해 대동의 신산 서원(新山書院)에 갈 때 상용당[경상남도 양산군 원동면 용당리에 위치한 가야진사를 일컬음]이 밀양의 작원(鵲阮)에서 10리 아래에 있다고 언급하였고, 또 황산역에서 배를 타고 수리(數里)를 가서 황산강 하용당[금곡 동원 근처에...
- 분야 :
- 지리
- 지역 :
- 부산광역시 북구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
신라 29대 왕, 태종무열왕 신라 제29대 왕, 太宗武烈王지은 온탕비(溫湯碑)·진사비(晉祠碑)와 신찬(新撰)한 〈진서 晉書〉를 주는 등 후대했다. 김춘추는 백제 공격을 위한 군사 원조를 약속받고 특진(特進)을 제수...데에는 정치적·외교적으로 활발한 활동을 벌였던 그 자신의 역량뿐만 아니라, 전쟁수행을 통해 군사적으로 강력하게 성장한 가야왕족 출신의 신흥 진골...
- 출생 :
- 604(진평왕 26)
- 사망 :
- 661(태종무열왕 8)
- 국적 :
- 신라, 한국
- 종교 :
- 불교
- 재위 :
- 654년∼661년
- 능묘 :
- 경주 무열왕릉(慶州 武烈王陵)
-
당초문 唐草文또, 가야계의 금동관으로 알려진 경상북도 고령지산동제32호분 출토 금동관(계명대학교 소장)과 전 고령 출토 금관(호암미술관 소장) 등은 인동초화형식이 특색을 이루고 있다. 경주 금관총 출토 금동초두(金銅鐎斗)의 경우, 긴 손잡이의 윗면에 넣은 당초문은 툼숙(Tumshuq)의 불전도(佛傳圖, 파리 기메박물관 소장) 등...
- 유형 :
- 개념
- 분야 :
- 예술·체육/공예
-
경상남도의 민속문화재 慶尚南道民俗文化財명칭변경 6호 창녕 관룡사 석장승(昌寧 觀龍寺 石長丞) 경남 창녕군 창녕읍 옥천리 관룡사 1983년 8월 12일 지정, 2018년 12월 20일 명칭변경 7호 양산 가야진사(梁山 伽倻津祠) 경남 양산시 원동면 용당리 보존회 1983년 12월 20일 지정, 2018년 12월 20일 명칭변경 9호 거창갈계리임씨고가(居昌葛溪里林氏古家) 경남...도서 위키백과
-
질지왕 김질왕(金銍王), 銍知王내용 재위기간은 451년부터 492까지이다. 김질왕(金銍王)이라고도 한다. 아버지는 7대 취희왕(吹希王)이며, 어머니는 진사(進思) 각간(角干)의 딸 인덕(仁德)이다. 왕비는 김상(金相) 사간(沙干)의 딸 방원(邦媛)이다. 즉위한 이듬해에 시조인 수로왕과 왕후 허황옥(許黃玉)의 명복을 빌기 위하여 그들이 처음 만난 자리...
- 시대 :
- 고대/삼국
- 출생 :
- 미상
- 사망 :
- 492년(질지왕 42)
- 유형 :
- 인물
- 관련 사건 :
- 왕후사(王后寺) 창건
- 직업 :
- 왕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고대사
-
취희왕 질가(叱嘉), 吹希王내용 질가(叱嘉)라고도 하였다. 재위기간은 421년부터 451년까지이다. 아버지는 좌지왕(坐知王)이며, 어머니는 대아간(大阿干) 도녕(道寧)의 딸 복수(福壽)이다. 비는 각간(角干) 진사(進思)의 딸 인덕(仁德)이다. 질지왕(銍知王)의 아버지이다. 451년 2월 3일에 죽었다. 참고문헌
- 시대 :
- 고대/삼국
- 출생 :
- 미상
- 사망 :
- 451년(취희왕 31) 2월 3일
- 유형 :
- 인물
- 직업 :
- 왕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고대사
-
한국의 토기와 도자기 Korean pottery and porcelain, 朝鲜陶瓷있었다. 가야의 토기와 비교했을 때 3차원의 토기 위에 더 많은 물체를 올려놓을 수 있었다. 신라에서 발견된 토기 중에는 다른 동아시아 국가에서는 발견할 수 없는 특이한 형태가 많이 있다. 뿔, 말, 로마 군인, 아라비아인, 개미핥기, 코끼리 같은 특이한 토기를 많이 남겨 신라의 외교도 파악할 수 있다. 불교 사찰...도서 위키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