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카인득 慶徳, 慶德
    悳) 푹타이(福泰) 7년(1649년) 10월에 연호를 카인득(慶德)으로 개원함.《대월사기전서》(大越史記全書) 본기속편(本紀續編) 권3 - 여황조기(黎皇朝紀) 9《대남식록전편》(大南寔錄前編) 〈태종실록〉(太宗實錄) 카인득(慶德) 5년(1653년) 2월에 연호를 틴득(盛德)으로 개원함. 연대 대조표 카인득 서기(西紀) 간지(干支...
    도서 위키백과
  • 응우옌푹홍캉 阮福洪伉
    1890년), 동복누이인 낙성공주(樂成公主) 응우옌응옥냔득의 상소로 어린 동생인 낭국공(朗國公) 응우옌푹홍젓의 둘째 아들 응우옌푹응히엡(阮福膺協)을 그의 양자로 입양시켰다. 응우옌푹응히엡은 응우옌푹응혹(阮福膺學)으로 개명하였고, 기외후(畿外侯)를 습봉하였다. 《대남식록》정편열전2집(正編列傳二集) 권8(卷八...
    도서 위키백과
  • 틴득 盛徳 (黎朝), 盛德 (越南)
    武公悳) 카인득(慶德) 5년(1653년) 2월에 연호를 틴득(盛德)으로 개원함.《대월사기전서》(大越史記全書) 본기속편(本紀續編) 권3 - 여황조기(黎皇朝紀) 9《대남식록전편》(大南寔錄前編) 〈태종실록〉(太宗實錄) 틴득(盛德) 6년(1658년) 2월에 연호를 빈토(永壽)로 개원함. 연대 대조표 틴득 서기(西紀) 간지(干支) 막...
    도서 위키백과
  • 응우옌푹미엔반 阮福綿𡩄
    자부(字部)를 하사받고 그에 따라 이름을 지었다. 넷째 응우옌푹홍핫(阮福洪𪗾) - 응우옌푹미엔반의 형인 신평군공(新平郡公) 응우옌푹미엔퐁의 양자로 입양되어 응우옌푹홍껏(阮福洪鞊)으로 개명하였고, 기외후(畿外侯)를 습봉하였다. 《완복족세보(阮福族世譜)》 《대남식록》정편(正編) 열전(列傳) 2집(二集) 권7...
    도서 위키백과
  • 남천역 Namcheon station, 南川駅
    남천프레스티지(2022/09 예정) 남천힐스테이트(2023/12 예정) 수영구도서관 수영구청 수영세무소 남부산등기소 모자보건센터 남천해변시장 메가마트 남천점 대남교차로 황령터널 역 노선 승차 인원 주석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호선 5143...
    도서 위키백과
  • 빈찌 永治 (黎朝), 永治 (越南)
    武公俊) 득응우옌(德元) 2년 6월 12일(그레고리력 1675년 8월 3일)에 연호를 빈찌(永治)로 정하고, 다음 해 1월 1일(그레고리력 1676년 2월 14일)에 개원함.《대남식록전편》(大南寔錄前編) 〈태종실록〉(太宗實錄)천문우주지식정보 음양력변환계산 빈찌(永治) 5년 10월 15일(그레고리력 1680년 11월 5일)에 연호를 찐...
    도서 위키백과
  • 응우옌응옥꽝띤 阮玉光靜
    오래 가지 못하였다. 티에우찌 4년 음력 10월 17일(1844년 11월 26일), 사망하니 향년 28세였다. 향라공주로 추봉되었고, 시호를 휘민(徽敏)이라고 하였다. 호앙께비엠은 이후 동각대학사(東閣大學士)로 승진하였으며, 적충자(迪忠子)로 봉해진 뒤 치사하였다. 《대남식록》정편(正編) 열전(列傳) 2집(二集) 권9(卷九...
    도서 위키백과
  • 응우옌푹미엔꾸언 阮福綿宭
    꾸언은 아들 6명과 딸 5명을 두었다. 후예들은 추(隹) 자부(字部)를 하사받고 그에 따라 이름을 지었다. 첫째 응우옌푹홍쭈언(阮福洪準) - 화향후(和鄕侯)를 습봉하였다. 손자 응우옌푹응니(阮福膺𨾿) - 조국경(助國卿)을 습봉하였다. 《완복족세보(阮福族世譜)》 《대남식록》정편(正編) 열전2집(列傳二集) 권7(卷七...
    도서 위키백과
  • 응우옌푹미엔턴 (1817년) 阮福綿宸
    字部)를 하사받고 그에 따라 이름을 지었다. 여덟째 응우옌푹홍떼(阮福洪躋) - 기외후(畿外侯)를 습봉하였다. 응우옌푹홍뉴(阮福洪蹂) - 의화정후(宜禾亭侯)를 습봉하였다. 응우옌푹응뚜언(阮福膺𨀴) - 봉국경(奉國卿)을 습봉하였다. 《완복족세보(阮福族世譜)》 《대남식록》정편(正編) 열전(列傳) 2집(二集) 권5(卷五...
    도서 위키백과
  • 응우옌푹미엔숭 阮福綿寵
    지냈다. 아들 4명과 딸 2명을 두었다. 후예들은 풍(風) 자부(字部)를 하사받고 그에 따라 이름을 지었다. 첫째 응우옌푹홍시에우(阮福洪䫿) - 기외후(畿外侯)를 습봉하였다. 응우옌푹응르엉(阮福膺𩗬) - 좌국경(佐國卿)을 습봉하였다. 《완복족세보(阮福族世譜)》 《대남식록》정편(正編) 열전(列傳) 2집(二集) 권7(卷七...
    도서 위키백과
  • 응우옌푹미엔응오 阮福綿𡨂
    안닌총(安寧總) 안닌트엉사(安寧上社)에 사당을 세우고 제사를 지냈다. 아들 7명과 딸 5명을 두었다. 후예들은 흑(黑) 자부(字部)를 하사받고 그에 따라 이름을 지었다. 다섯째 응우옌푹홍딕(阮福洪䵠) - 기외후(畿外侯)를 습봉하였다. 《완복족세보(阮福族世譜)》 《대남식록》정편(正編) 열전(列傳) 2집(二集) 권7...
    도서 위키백과
  • 응우옌푹미엔찌 阮福綿寘
    현 푸쑤언총(富春總) 안꽌사(安館社)에 사당을 세우고 제사를 지냈다. 아들 13명과 딸 18명을 두었다. 후예들은 립(立) 자부(字部)를 하사받고 그에 따라 이름을 지었다. 둘째 응우옌푹홍까인(阮福洪競) - 기외후(畿外侯)를 습봉하였다. 《완복족세보(阮福族世譜)》 《대남식록》정편(正編) 열전(列傳) 2집(二集) 권7...
    도서 위키백과

멀티미디어3건

가는대남방그물버섯
하이난섬의 6대남약기지의 육두구 열매(중국)
하이난섬의 6대남약기지의 육두구나무(중국)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