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이의양 필 산수도」 李義養 筆 山水圖
    李英胤)[1561~1611]의 「방황공망 산수도(倣黃公望山水圖)」[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장승업(張承業)[1843~1897]의 「방황자구 산수도(倣黃子久山水圖)」[삼성미술관 리움 소장] 등 조선 시대 황공망의 산수화를 모방한 그림들에서 공통적으로 확인되는 요소들이다. 따라서 「이의양 필 산수도」는 이의양이 황공망의...
    분야 :
    문화·교육
    지역 :
    부산광역시 남구
  • 불설대보부모은중경
    불설대보부모은중경(佛說大報父母恩重經)은 다음을 가리키는 말이다. 불설대보부모은중경 - 보물 제705호, 삼성미술관 리움 소장. 불설대보부모은중경 - 보물 제920호, (재)아단문고 소장. 불설대보부모은중경 - 보물 제1125호,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불설대보부모은중경판 - 보물 제1754호, 화성 용주사 소장. 불설대보...
    도서 위키백과
  • 청자음각 앵무문 정병
    의 주자에 앵무문이 상감기법으로 표현된 예가 있으며, 3마리 앵무새의 배치와 기법, 구조 등에서 가장 유사한 유물로 미국 클리블랜드뮤지엄에 소장된 <청자음각 앵무문 정병>이 있다. 청자 상감연지원앙문 정병 - 국보 제66호, 간송미술관 소장 청자 상감앵무문 표주박모양 주전자 - 보물 제1036호, 삼성미술관 리움 소장
    도서 위키백과
  • 백자 유개항아리
    문화재 정보 백자 유개항아리(白磁 有蓋壺)는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남동, 삼성미술관 리움에 있는 조선시대의 백자이다. 1991년 1월 25일 대한민국의 국보 제261호로 지정되었다. 조선시대 만들어진 백자 항아리로 큰 항아리와 작은 항아리 두개가 있다. 큰 항아리는 총 높이 34.0cm, 높이 27.2cm, 아가리 지름 10.1cm...
    도서 위키백과
  • 월인석보 권11, 12
    문화재 정보 월인석보 권11, 12(月印釋譜 卷十一, 十二)은 서울특별시 용산구 삼성미술관 리움에 있는, 『월인천강지곡』과 『석보상절』을 합하여 세조 5년(1459)에 편찬한 불경언해서이다. 1987년 12월 26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935호로 지정되었다. 『월인석보』는 『월인천강지곡』과 『석보상절』을 합하여 세조 5년...
    도서 위키백과
  • 감지은니 묘법연화경
    이신기가 살아 계신 아버지의 장수와 돌아가신 어머니의 명복을 빌기 위해 만들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법화경을 정성껏 옮겨 쓴 경전들 중에 비교적 만들어진 연대가 빠르며, 특히 7권이 모두 갖추어져 있어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 삼성미술관 리움 감지은니묘법연화경 권7 : 보물 제352호.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도서 위키백과
  • 분청사기 철화어문 항아리
    문화재 정보 분청사기 철화어문 항아리(粉靑沙器 鐵畵魚文 立壺)는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남동, 삼성미술관 리움에 있는 조선시대의 분청사기이다. 1984년 8월 6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787호로 지정되었다. 분청사기 철화어문 항아리(粉靑沙器 鐵畵魚文 立壺)는 조선시대 만들어진 높이 27cm, 아가리 지름 15cm, 밑지름...
    도서 위키백과
  • 청자 상감모란양류문 주전자 및 승반
    및 승반(靑磁 象嵌牡丹楊柳文 注子 및 承盤)은 상감 기법으로 모란꽃과 버드나무 무늬를 새겨 넣은, 고려청자 주전자와 받침이다. 서울특별시 용산구, 삼성미술관 리움에 있으며, 2004년 11월 26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1420호로 지정되었다.문화재청고시제2004-55호, 《국가지정문화재(보물) 지정》, 문화재청장...
    도서 위키백과
  • 청자 음각국화당초문 완
    문화재 정보 청자 음각국화당초문 완(靑磁 陰刻菊花唐草文 盌)은 음각으로 국화와 덩굴무늬를 새겨넣은, 고려청자 완(접시)이다. 삼성미술관 리움에 있으며, 1990년 5월 21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1037호로 지정되었다. 11세기경에 만들어진 고려 청자대접으로 높이 5.9cm, 아가리 지름 17.5cm, 굽지름 4.8cm이다. 굽은...
    도서 위키백과
  • 청자 음각운문 병
    문화재 정보 청자 음각 운문 병(靑磁 陰刻雲文 甁)은 서울특별시 용산구, 삼성미술관 리움에 있는 고려시대의 청자이다. 1990년 5월 21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1035호로 지정되었다. 고려시대 만들어진 청자 병으로 높이 29.0cm, 아가리 지름 5.9cm, 밑지름 9.5cm의 세련된 형태의 술병이다. 아가리 부분은 얇고 밖으로...
    도서 위키백과
  • 청동 진솔선예백장 인장
    문화재 정보 청동 진솔선예백장 인장(靑銅 晋率善濊伯長 印章)은 서울특별시 용산구 삼성미술관 리움에 있는 가야시대(5∼6세기)의 도장이다. 1971년 12월 21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560호로 지정되었다. 청동 진솔선예백장 인장(靑銅 晋率善濊伯長 印章)은 중국 한대(漢代) 이후 이웃나라 왕에게 수여한 도장으로서, 높이...
    도서 위키백과
  • 백자 ‘천’ ‘지’ ‘현’ ‘황’명 발
    문화재 정보 백자 '천' '지' '현' '황'명 발(白磁 '天''地''玄''黃'銘 鉢)은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남동, 삼성미술관 리움에 있는 조선시대의 백자이다. 1995년 12월 4일 대한민국의 국보 제286호로 지정되었다. 조선 전기에 만들어진 백자발 4점으로 크기는 높이 11.1cm, 아가리 지름 21.1cm, 밑 지름 7.9cm 내외이다...
    도서 위키백과

멀티미디어31건

삼성미술관 리움
삼성미술관 리움
삼성미술관 리움
삼성미술관리움
삼성미술관 리움 전경
▲ {청화 백자}(삼성미술관 리움 소장)
▲ {청화 백자}(삼성미술관 리움 소장)
『상설고문진보대전』, 33.0×21.0cm, 1450, 삼성미술관 리움
〈옥순봉도〉 김홍도, 1796년, 종이에 수묵, 26.7×31.6cm, 삼성미술관 리움
〈금강전도〉 정선, 1734년, 종이에 수묵, 94.5x130.8cm, 삼성미술관 리움
「오륜행실도」, 전 김홍도 밑그림, 정조명편, 22.0×15.0cm, 1797, 삼성미술관 리움
〈군선도〉(부분) 김홍도, 1776년, 종이에 수묵, 132.8x575.8cm, 삼성미술관 리움
김중현, 〈실내〉, 비단에 채색, 107×110.8cm, 1940년, 삼성미술관 리움 소장
「문자도」, 종이에 채색, 각 74.2×42.2cm , 18세기 후반, 삼성미술관 리움
〈송하맹호도〉 김홍도·강세황, 18세기, 종이에 수묵, 90.4x43.8cm, 삼성미술관 리움
〈강상조어도〉 강세황, 18세기, 종이에 옅은 채색, 58.0X34.0cm, 삼성미술관 리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