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안맹담
    尉)에 봉해졌다.《안맹담 묘비명(安孟聃 墓碑銘)》 1442년(세종 24년), 숭록대부(崇祿大夫)로 승진하였으며, 1444년(세종 26년) 광덕대부(光德大夫)가 되었다. 계유정난에 세조를 지지하여 1453년(단종 원년) 11월에 성록대부(成祿大夫)에 가자되었다. 세조 즉위 이후 왕실의 지척으로 대우받으며 각종 왕실 모임과 연회...
    도서 위키백과
  • 류자환
    晃)을 피하여 자환으로 개명하였다. 1451년(문종 1) 능직(陵直)으로서 증광문과에 정과로 급제하였고, 1452년 승정원주서에 제수되었다. 이때에 세조(世祖)가 계유정난을 평정(平定)하고 모든 군사를 호령(號令)하니, 류자환이 승지(承旨) 박원형(朴元亨)을 보고 말하기를, "국가의 대사(大事)는 군사에 있는 것인데...
    도서 위키백과
  • 이징옥 Yi Ching-ok, 李澄玉
    그해 수양대군(首陽大君)이 정권을 잡자 일찍이 김종서의 천거로 함길도 도절제사가 된 이징옥을 파면시키고 박호문(朴浩文)을 임명하였다. 수양대군은 계유정난으로 김종서(金宗瑞)를 죽이고 집권, 그러나 김종서의 부관인 이징옥의 존재를 인식한 수양대군 일파는 이징옥을 역모의 가능성이 있다 하여 파면하고 은밀히...
    도서 위키백과
  • 박팽년 Pak Paengnyeon, 朴彭年
    등과 함께 문종과 단종을 보필하였다. 세종 말년에 신숙주, 성삼문, 윤기견, 윤회, 김종서 등과 고려사절요, 고려사의 편찬과 간행에 참여하였다. 1453년 10월 계유정난을 전후해서 좌부승지(左副承旨)가 되었다. 1454년 좌승지(左承旨)를 거쳐 1455년 충청도 관찰사에 제수되었다. 수양대군이 황보인, 김종서, 안평대군...
    도서 위키백과
  • 이사철 (1411년)
    창제를 보좌하였다. 1432년(세종 14) 임자식년시에 등제하여 집현전 학사로 활동하였으며, 홍문관 제학을 세 번 역임하였다. 세조의 측근으로 세조를 도와 계유정난에 참여한 공로로 정난공신 2등에 책록되고 견성군에 봉해졌으며, 1455년에는 단종의 손위를 도운 일로 좌익공신 2등에 책록되고 견성부원군(甄城府院君...
    도서 위키백과
  • 홍달손 Hong Tal-son
    신숙주, 홍윤성 등의 천거로 수양대군의 심복이 되었다. 그 뒤 한명회의 천거로 요직에 복직, 1453년(단종 1)에는 무과에 급제하여 중추원첨지사에 올랐다. 계유정난 때에는 수양대군을 보좌하여 김종서·황보인을 제거하고 정난의 성공을 도운 공으로 수충위사협책정난공신(輸忠衛社協策靖難功臣) 1등에 책록되었다...
    도서 위키백과
  • 덕종 (조선) Crown Prince Uigyeong, 懿敬世子
    손자이자 세조와 정희왕후 윤씨의 맏아들이며 예종의 형이다. 월산대군, 성종 형제의 아버지이다. 그가 태어난 때는 아버지 세조가 수양대군 시절이었다. 계유정난(1453)으로 수양대군이 왕위를 찬탈한 후 세자(世子)에 책봉되었다. 건강이 좋지 않아 잔병치레가 잦던 중에박영규, 한권으로 읽는 조선왕조실록 (들녘...
    도서 위키백과
  • 김종서 (1383년) Kim Chongsŏ, 金宗瑞
    영토에 조선인을 정착시켰고, 이후 1440년까지 북방의 경계와 수비를 7년 동안 맡았다. 1453년 수양대군에 의하여 두 아들과 함께 집에서 암살(살해)되어 계유정난의 첫 희생자가 되었다. 그의 묘는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舊 충청남도 공주시 장기면)에 있다. 김종서는 1383년(고려 우왕 9년) 양광도 공주에서 아버지...
    도서 위키백과
  • 양정 (조선)
    당시의 집정대신이며 그의 반대파였던 김종서(金宗瑞)·황보 인(皇甫仁) 등을 죽이고 정권을 잡을 때, 적극적으로 군사를 이끌고 정난에 참여하였다. 계유정난이 성공하자, 정난을 성공시킨 공로로 정난공신(靖難功臣)2등에 책록되고 청원군(淸原君)에 봉군되었으며, 1455년(단종 3년) 세조가 즉위하자 즉위를 도운 공로...
    도서 위키백과
  • 계양군 Prince Gyeyang, 桂陽君
    의 둘째 딸인 정선군부인 한씨(旌善郡夫人 韓氏)와 혼인하여 3남 3녀를 두었다. 정선군부인 한씨는 성종의 어머니인 인수대비의 언니이기도 하다. 계양군은 계유정난 당시 수양대군을 지지하였으며, 이복 동생인 정현옹주의 남편 영천위 윤사로와 함께 금성대군을 탄핵하였고, 같은 해 파평위(坡平尉) 윤암(尹巖)과 함께...
    도서 위키백과
  • 임영대군 Grand Prince Imyeong, 李璆 (朝鮮)
    구(璆),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헌지(獻之)이다. 둘째 형인 수양대군처럼 무술에 능하였으나 궁녀와 대궐의 하녀들과의 성추문으로 물의를 빚기도 했다. 계유정난 이후 둘째 형인 수양대군을 지지하여 그를 도왔다. 예종 때의 정승이었던 귀성군 이준의 아버지였고, 영의정 신승선의 장인이며, 연산군의 부인 폐비 신...
    도서 위키백과
  • 문치주의
    신경진, 조영무, 구인후, 어유소, 신여철, 유수, 신관호 등 일부 무관들은 정승이나 판서에 오른다. 그러나 조선도 대부분 재상들이 문관이었고, 심지어 계유정난에 공을 세운 한명회도 문신이었다. 심지어 김종서, 황보인, 한명회, 신숙주, 유성룡, 윤두수, 권율, 이원익, 정광필, 심연원, 김여물, 박문수, 오명항...
    도서 위키백과

멀티미디어2건

조선 세조
신숙주
더보기